어린이과학동아
"우리말"(으)로 총 144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스팅 예절 꼭 지킵시다기사 l20170726
- 바랍니다. 1. 욕설 등은 하지 않는다. 욕설을 쓰면 상대방도 기분 나쁩니다. 가는 말이 고아야 오는 말도 곱다는 것과 같이 아름다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2. 쓸데없는 포스팅은 많이 쓰지 않는다. 예전에는 많은 쓸데없는 포스팅이 올라왔지만 지금은 많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 분위기를 끝까지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3. 신고 버튼은 ...
- 헷갈리는 우리말, 이건 알고 가자!기사 l20170327
- 안녕하세요? 저는 김주현 기자입니다. 오늘은 제가 우리말에서 자주 헷갈리는 단어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1. 냄세? 냄새? '냄새'[냄ː새]는 코로 맡을 수 있는 온갖 기운을 나타내는 명사로 냄세는 잘못된 표현입 ... 불쾌할 정도로 끈끈하고 무더운 기운이 있다는 뜻의 형용사인 후텁지근하다는 [후텁찌근하다]라고 발음합니다. 지금까지 ...
- 앵무새! 그것이 궁금하다!기사 l20170315
- 크기는 16~17 cm 입니다. 그리고 손노리개로 사육하기 쉅습니다. ( 손노리개란 사람 손에서 노는 새를 말 합니다) 2. 잉꼬 잉꼬는 우리말로 사랑앵무라고도 합니다. 그래서 잉꼬와 사랑앵무는 같은 종 입니다. 크기는 18cm입니다. 3. 구관조 구관조는 사람 말을 잘 따라하여 애완용으로 사육됩니다. 크기는 25~30cm 입니다. ...
- 마크 저커버그의 바이오 프로젝트가 무엇일까?기사 l20170219
- 합니다. 보통 부자들은 이만큼하면 칭찬을 많이 받겠지만 마크 저커버그는 자진해서 연구원들에게 생물학, 물리학 등을 배우고 있죠. 우리말로 솔선수범, 프랑스 말로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하고 있는 것이죠. 그리고 연구 논문을 무료로 공개하겠다고 했습니다. 그는 “2100년까지 세상의 모든 질병을 퇴치하겠다”라며 노력을 쏟아붓고 있습니다. 어린 ...
- 소중한 우리말, 올바르게 사용하자기사 l20170213
- 한국어 없이 외국어만 적혀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는 콩글리시 등 외국어가 옳지 않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들도 우리말보다 외국어가 더 멋지고 세련됐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간판과 옷에도 영어 등 외국어가 적혀져 있습니다. 이모티콘 사람들은 이모티콘이 안 좋은 거라고 생각하지만, 이모티콘은 자신의 기분이나 감정을 그림으로 나 ...
- 알고 보면 신기한 우리말의 뒷이야기기사 l20170119
- 써 보았는데요. 이와 같은 단어의 뜻을 잘 알게 되었으리라고 봅니다. 대박, 개~, 노잼 등과 같은 비속어, 은어보다는 이렇게 흥미로운 우리말을 더 많이 사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러면 모두가 같이 화합하는 우리나라가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임소정 기자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
- 고운 말 고운 마음기사 l20170112
- 키-열쇠 도어-문 와사비-고추냉이 닭도리탕-닭볶음탕 애매모호하다-애매하다 *고운 우리말 다은-따사롭고 은은한 사랑 다솜-애틋한 사랑 붙박이 별-북극성 닻별-카시오페이아 자리 살별-혜성 윤슬-빛에 비치어 반짝이는 잔물결 ...
- 초등학생 때부터 한자를 배워야 할까요?토론 l20161207
- 익히는 것이 좋을까요? 찬성 : 한글의 뜻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때부터 한자어를 함께 배워야 해요! 반대 : 순우리말을 배우는 것이 먼저예요. 한자어는 초등학교 때 배우지 않아도 돼요! 토론터에 의견을 작성해 줄 때는 찬성 또는 반대하는 입장을 먼저 밝히고,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이유를 작성해 주세요. 예시를 들어도 좋습니 ...
- 섭섭박사님이 전수해 준 글쓰기와 취재 비법!기사 l20161024
- 읽기가 힘들다면, 읽기 편하도록 끊어서 문장 3개로 만드는 것도 방법이에요. 제 2법칙. 쉽게 쓸 수 있어야 해요. 글을 쓸 때 순수한 우리말로 써야 해요. 제 3법칙. 미사여구를 자제해요. 여기서 잠깐! 미사여구가 무슨 뜻인지 알고 있나요? 미사여구란, 아름다운 말과 글귀라는 뜻입니다. 제 4법칙. 적절한 용어를 선택해요. 문맥의 ...
- 한글날 기념! 한글 이모저모~기사 l20161009
- 바른 소리'라 하여 '훈민정흠'이라 하였습니다. 일제 강점기 시절, 독립운동을 하던 중 우리말이 제대로 표기되어야 하겠다는 생각에 우리말을 고치셨습니다. 그때 '크다', '바르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는 고유어, '한' 이라는 것에서 한글이 비롯되었습니다. 한글은 1443년에 3년간 실제로 사용해 본 후 발행되었습니다. 세종과 ...
이전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