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함대
수군
해군대학
대학
해군사관
사관
해군신호
d라이브러리
"
해군
"(으)로 총 363건 검색되었습니다.
떠다니는 과학 실험실 아라온 호, 남극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부드러운 전기모터가 적합하기 때문이다. 충돌 때 생기는 충격을 줄이기 위해 뱃머리는
해군
의 대형 상륙함인 독도함보다 2배나 두꺼운 39.5mm의 강판으로 만들었다. 영하 40℃의 극한 환경에서도 끄떡없도록 강판 아래에는 열선도 깔았다.충돌로 부수기 어려운 큰 얼음이라면 얼음을 선체로 눌러서 ... ...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말았지. 특히 연합국의 암호전문가가 독일이 보낸 암호 메시지를 일명 40호실이라 불리는
해군
본부 소속의 암호국에서 모두 풀어 냈어.40호실의 활약 중의 하나인 ‘치머만 전보’ 사건은 전쟁에서의 암호 해독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말해 주고 있어. 치머만 전보는 독일의 외무장관인 아르투르 ... ...
“아라온 호, 극지 심해서 자원 확보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호의 견고함은 군함을 뛰어넘는다.“아라온 호 뱃머리 철판 두께는 39.5mm나 됩니다. 2005년
해군
이 진수한 아시아 최대 수송함인 독도함의 경우 20mm 정도이지요. 아라온 호는 어디 내놔도 빠지지 않을 정도로 튼튼한 배입니다.”아라온 호가 갖고 있는‘싸움의 기술’은 박치기뿐만이 아니다. ... ...
[에너지]상온핵융합, 부활하나?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실제로 일어났음을 강력히 시사하는 최초의 증거가 나왔다.미국
해군
의 파멜라 모지어-보스 박사팀은 상온핵융합이 일어날 때 생긴 고에너지 중성자가 특수 플라스틱에 남긴 흔적을 발견했다고 지난 3월 23일 미국화학회 237차 모임에서 발표했다.상온핵융합이란 중수를 이용한 전기분해 과정에서 ... ...
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확인하지 못했다. 수천km 밖의 궤적을 쫓을 만한 첨단 레이더가 없기 때문이다. 한국
해군
의 최첨단 이지스함 세종대왕함에 장착된 SPY-1D 레이더는 울릉도 근해에 대기하며 무수단리를 떠난 로켓을 1000km까지 추적했다. 나머지는 미국·일본의 첨단 레이더 시스템이 맡았다. 최종 추적은 ... ...
[핫이슈] 뛰는 사이코패스 위에 나는 프로파일러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자신과 친분이 있던 한 의사의 학적 기록 전부를 위조해 캐나다
해군
에 군의관으로 입대했다. 고도의 전문지식이 필요한 의료 영역에까지 뛰어든 것이다. 혼자 익힌 의학 지식으로 한국전에서 부상을 입은 병사들을 구해낸 뉴스가 크게 보도되면서 신분을 위조당한 의사의 ... ...
진화론 논쟁 감상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부터 매력적인 제안을 받게 된다. 남미 대륙의 해안선 지도를 제작하 기위해떠나는
해군
탐사선비 글호에 자연물 수집가로 승선 하라는 것이었다. 그는 남아메리카와 오스트레일리아, 아프리카 등지를 돌면서 식물이나 곤충, 조류와 포유류의 생물표본에서부터, 화석과 광물 등의 지질학적 표본에 ... ...
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이는 정신이상 증세를 보이면서 성서를 손에 들고 휘두르던 말년의 모습일 뿐이다. 영국
해군
은 남미 지역의 해도를 정교히 만들기 위해 1825~1830년 비글호를 띄웠고, 피츠로이는 중간에 항해에 참여해 2년간 승선했다. 두 번째 항해를 앞둔 젊은 선장 피츠로이는 항해술이나 측량술은 물론 과학 특히 ... ...
시끌벅적 소리로 가득 찬 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수신해 바닥이 얼마나 깊으며 딱딱한지 알아내는 음향측심기, 그리고 잠수함을 탐지하는
해군
함정의 소나가 바로 반향정위음의 원리를 이용한 장치다. 물속에서는 공기 중에서 사용하는 레이더 역할을 초음파가 톡톡히 하고 있는 셈이다. 그럼 물속에서는 왜 전자기파를 이용하는 레이더를 ... ...
사회 곳곳에 흐르는 다윈의 향기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전 시작됐다. 내 동료인 데이비드 롤트-필립스는 존 롤트 스토크스의 후손인데, 그는 영국
해군
이 비글호를 취역시킨 날부터 임무를 다한 날까지 비글호에서 근무했다. 비글호의 호주 항해에서는 선장이 되기도 했다. 데이비드는 다윈의 업적에 관심이 많을 뿐 아니라 비글호가 호주 발견에 어떤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