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함대
수군
해군대학
대학
해군사관
사관
해군신호
d라이브러리
"
해군
"(으)로 총 363건 검색되었습니다.
새총으로 비행기 날리는 바다 위의 요새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추진해 하늘로 날아올라야 하므로 두 개의 엔진이 달린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 하나,
해군
전투기는 날개를 접을 수 있다. [니미츠급 항공모함은 모든 시설이 갖춰진 바다 위의 도시다. 한국 서해 훈련에 참가했던 조지워싱턴호의 경우 승조원 6250명이 탑승할 수 있고, 선실은 3360개가 넘는다. 각종 ... ...
인공 파도 속 해양강국의 꿈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배와 인연이 많은 사람이다.
해군
사관학교를 졸업했고, 직장은 대한민국
해군
이다. 병사들을 지휘하며 전략을 짜는 장교로 근무하고 있다. 지금은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에서 박사과정을 공부하고 있다.석사학위도 2005년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에서 받았다. 잠수체를 이용한 모형시험을 통해 ... ...
남태평양 리얼 야생 체험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세계아침 일찍 일어나 센터 뒷산에 올랐다. 축주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의
해군
기지가 있던 곳이다. 1945년 일본이 패전할 때까지 축에 머물렀던 일본군의 흔적은 곳곳에서 발견된다. 바닷속에도 전쟁 당시의 유해가 발견되기도 한다. 센터 뒷산에 있는 등대도 그때 세워진 곳이다. 우거진 수풀을 ... ...
말보다 정직한 ‘몸의 언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깨달음으로써 성공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지난 3월 서해에서 침몰한
해군
초계정 천안함이 최근 다시 논란에 휩싸였다. 지난 9월 민군합동조사단(합조단)이 낸 공식보고서의 결론을 부정하는 실험 결과가 공개됐기 때문이다. 안동대 지구환경과학과 정기영 교수는 어뢰 추진체에서 ... ...
국기로 떠나는 세계여행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효와 효 사이의 모든 간격은 0.375cm다.태극기의 역사 우리나라의 태극기는 1882년 7월 미국
해군
부 항해국이 제작한 책 ‘해상국가들의 깃발’에서 공식적으로 처음 확인할 수 있다. 그 뒤 1882년 9월 수신사 박영효는 일본으로 가는 배 안에서 태극과 4괘를 넣은 국기를 고안했다. 고종 황제는 다음해 이 ... ...
변화무쌍 수조 진짜 남극바다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해도 폭이 2.8m이고 높이가 1.8m로 중형 자동차가 지나갈 수 있는 면적이다. 과연 미국
해군
연구소 다음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수조라는 말이 과장이 아니었다. 캐비테이션 터널 수조는 총 207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2009년 말 완공했다.캐비테이션 터널 수조의 별명은 ‘선박용 러닝머신’이다. 터널 ... ...
총상 위치 알리고 유아 돌연사 막는 스마트 의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가 있다. 플라스틱 광섬유와 전기전도성 섬유를 이용해 만든 옷으로, 1990년대 후반 미국
해군
의 지원으로 연구가 시작됐다. 미국 타임지는 2001년 스마트 셔츠를 최고의 발명품으로 선정하기도 했으며, 현재 민간용으로 응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이 옷은 호흡이나 맥박 같은 생체신호를 측정해 ... ...
하늘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그런데 지난 2008~2009년 태양활동 극소기에 열권에서 심각한 문제가 발견됐다. 미
해군
연구소(NRL)의 존 에머트 박사팀은 열권의 공기역학적인 마찰이 인공위성의 속도를 변하게 한다는 사실을 이용해 열권의 대기 밀도 변화를 산출했다. 궤도가 변했다는 것은 인공위성의 운동을 방해하는 대기 밀도가 ... ...
태풍 이름을 미리 맞혀 보자~!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앤더슨이 태평양 해상에서 헤매고 있는 중입니다” 와 같이 예보했다.이후 미국 공군과
해군
에 의해 태풍 이름이 공식적으로 정해졌다. 보통 자신의 아내나 애인의 이름을 사용해서 태풍 이름을 지었는데, 그 결과 1978년까지 태풍 이름의 대부분은 여성 이름이었다. 사라와 루사, 그리고 마리아와 ... ...
로켓은 하루 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이뤄졌다. 그러나 이륙한 지 137초 만에 고도 70km 지점에서 1단 로켓이 폭발해 추락했다.
해군
이 제주도 남쪽 바다에서 나로호의 잔해를 찾아 냈지만, 아직 1단 로켓이 폭발한 이유는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러시아는 나로호의 실패 원인을 1단 로켓이 아니라 제어장치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