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함대
수군
해군대학
대학
해군사관
사관
해군신호
d라이브러리
"
해군
"(으)로 총 363건 검색되었습니다.
어과동과 함께 월드컵 역사 속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아니지만 16세기 스페인은 세계의 바다를 지배했다. 그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 막강한
해군
인‘아르마다(무적함대)’였는데 세월이 지나 축구국가대표팀의 별명이 되었다.불굴의 사자 카메룬1990년 8강에 오른 카메룬은 아프리카 축구의 힘을 세계에 보여 줬고 강렬한 인상을 받은 축구팬들은‘불굴의 ... ...
자오선이 영국으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검증할 기술이 당시로서는 없었기 때문이다.1707년 이탈리아 시실리섬 근처에서 영국
해군
의 배 4척이 안개 속에서 위치를 잘못 파악하고 암초에 부딪쳐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2000명 이상의 병사가 목숨을 잃었다. 그 뒤 경도 문제에 관한 대책을 촉구하는 상인과 뱃사람의 탄원서가 ... ...
3. 달려라 달려, 무적 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1.5m 두께 철판 관통, 이중선체 잠수함 파괴 가능).특징 세계에서 7번째로 개발. 2006년
해군
배치 운용 중.K-10개발 2005년용도 로봇형 탄약운반장갑차. 자주포 탄약 운반용.특징 세계 최초 개발(미국은 크루세이드 자주포용 개발 중단). 50kg짜리 자주포 포탄 104개를 한꺼번에 탑재하고 사격진지로 이동해 ... ...
수직 기록 방식 하드디스크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그 크기는 물체 주위의 유체로 바꾸어 놓을 때, 거기에 작용하는 중력과 같다 프랑스
해군
소속의 최신예 심해조사선 프랑스 발음으로는 아르시메드이다 길이 213m, 너비 4m, 높이 78m로 수중 속도는 시속 2~38kt, 승무원은 3명이다 이 잠수정의 동력원은 축전지(蓄電池)를 사용하며 세계에서 가장 갚은 곳( ... ...
한국 최초의 우주인은 누구?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빼앗긴 미국은 1961년 5월 부랴부랴 자국 최초의 우주인을 탄생시켰다. 앨런 세퍼드
해군
소령이 지구를 반 바퀴쯤 돌고 태평양으로 귀환했던 것이다. 이듬해 2월 존 글렌 해병대 중위가 지구 궤도를 완벽하게 도는데 성공했다. 가가린과 글렌의 공통점 하지만 글렌이 귀환하는 과정에 우여곡절이 ... ...
기획5. 깊은 바닷속은 잔잔하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년전 미국에서 트라이던트라는 잠수함이 침몰한 적이 있었다.
해군
을 비롯한 전문가들이 나섰지만 원인은 끝내 수수께끼로 남았다. 지금 과학자들은 당시의 침몰 원인을 ‘파도’라고 추측하고 있다. 파도라고 하면 보통 해안가에서 보이는 수면 위의 파도가 떠오른다. 그런데 사실 깊은 바다 ... ...
로봇 물고기 로피를 소개합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미국은 수중 기뢰를 탐지하는등 로봇물고기를 주로 군사적인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해군
이 대학, 연구소등에막대한예산을지원하고있다.일본에서는 1999년 미쓰비시가 수족관에 전시할 목적으로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리는 실러캔스를 4억년 전 모습과 똑같이 재현했다. 제작기간만 4년, ... ...
개는 죽어서 우정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지난 1월 1일 SBS의 ‘개가 사람을 살린다’에서는 영국인 알렌의 사례를 소개했다.
해군
으로 복무하다 전쟁에서 다리를 잃고 기억상실과 언어장애를 겪던 알렌은 ‘엔돌’이란 골든 리트리버와 생활하면서 증세가 크게 호전됐다. “평생 말하지 못할 것”이라는 의사의 진단을 뒤집고 말문을 연 ... ...
스트루베와 뉴컴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천문대의 91cm 망원경으로 처음 발견됐다. 즉 러시아 풀코보 천문대의 38cm 망원경과 미국
해군
천문대의 66cm 망원경은 프로키온의 동반성을 발견하기에 너무 작았던 것.또 프로키온의 동반성은 하나가 아닌 여러 개였다. 이밖에도 프로키온의 동반성에 얽힌 많은 일화가 전해지고 있다.이 같은 역사적 ... ...
1905년 11월 1일 날씨맑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관측소에서도 매일 새로운 기상 관측 자료를 수집했으며 군대 집결지와 섬 지역의 일본
해군
감시 망루에서도 기상관측을 실시했다.이 정도라면 일기도를 작성하고, 천기(일기)예보와 폭풍경보를 발표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정보였다. 더욱이 와다유지는 도쿄에서 일기예보를 해왔던 유능한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