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암석
바위
암벽
돌
d라이브러리
"
암반
"(으)로 총 127건 검색되었습니다.
대 빙하(大氷河)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빙하 흐름표면에 바위부스러기가 드러나 줄지어 늘어선 것은 흐르는 도중에 밑바닥
암반
위에서 구르고 있던 것이 흐름에 따라 솟구쳐 올라 표면에 얹혀 퇴적된 것이다. 흐르는 도중에 얼음폭포(氷瀑)가 생기기도 한다. 빙폭 아래쪽에는 유동속도의 계절변화를 반영하는 빙탑(氷塔)의 열이나 바위 ... ...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다는 스웨덴 포스마크 원전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사용후 핵연료는 지하의 수냉식 저장고에 보관되며 고준위 폐기물은 지하 5백m의
암반
속에 최종적으로 저장된다. 포스마크 발전소에 가려면 인적 없는 침엽수림을 뚫고 한시간 이상 승용차로 달려야 한다. 드리마일 아일랜드 사고 이후 국립방사선방호연구소의 권고에 따라 비상대책이 한층 ... ...
신깐센은 왜 2등이 되었나?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지중해 연안부를 제외한 서유럽의 대지는 1억년 내지 2억년 전의 중생대에 퇴적된
암반
이 침식되어 생긴평원이다.이에 반해 일본열도는 대부분이 겨우 1백 만년 전에 퇴적되었기 때문에 충분히 굳어져 있지 않다. 대체로 1만년전에는 해저였다고 한다.따라서 토지만 놓고 보더라도 일본은 ... ...
높은 산에서 자라는 식물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강한 광선이 작열하는 반면에 밤에는 기온이 급격히 내려가 일교차가 심하다. 따라서
암반
의 풍화작용이 빨리 진행되어 바위틈의 곳곳에 식물들이 뿌리를 내리고 살 수 있는 장소가 마련된다.이와 같이 높은 산은 평지에 비하여 낮은 기온, 공기중의 높은 습도, 심한 일교차, 거센 바람, 많은 ... ...
산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것이다. 후자는 마이산(鎭安)으로서 대표되는 산형인데 이는 말귀와 깉이 우뚝 솟은 단일
암반
으로 되어 기이하다.그리고 마이산같은 산형은 인젤베르크(島山의 뜻)로 불려 외국에서도 관광지로 알려진 경우가 있다. 또한 속리산은 인젤베르크형의 석산들이 법주사를 에워싸듯이 솟아 아름다운 ... ...
해안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암반
이 노출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해빈이나 사주로 되어 있는 해안을 사빈해안,
암반
이 노출되어 있는 해안을 암석해안이라고 보통 부르는데, 우리나라 동해안에서와 같이 사빈해안과 암석해안이 교대로 나타나는 곳은 경치가 대단히 좋다. 암석해안은 바다쪽으로 돌출되어 있어 파식을 강력히 ... ...
열강의 각축장 남극대륙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그 두께는 평균 2천 4백50m, 최대 약 4천8백m나 되며 지구상의 얼음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암반
지대등 노출된 지표는 연안쪽 일부와 얼음 밖으로 정상을 내밀고 있는 산의 일부 뿐이다.남극대륙이 언제부터 얼음에 덮이게 되었는지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7천만년 이전에는 아마 ... ...
이전
9
10
11
12
13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