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쪽"(으)로 총 1,192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생태계와 에너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사막화란 토양의 생산력이 저하돼 사막으로 변해가는 현상으로,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남쪽의 사헬 지역에서 주로 나타난다. 사막화의 직접적인 원인은 강수량의 감소다. 그러나 인간에 의한 과잉 경작이나 과잉 방목, 지나친 삼림 벌채 등도 사막화를 촉진한다. 사막화가 진행되면 식수와 식량이 ... ...
- 빛의 속력으로 정의한 ‘완벽한 단위’ 미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이 삼각형들의 각도를 측정해 거리를 알아낼 수 있다. 들랑브르와 메솅은 각각 북쪽과 남쪽의 11.8 km, 11.7 km 길이의 기준선을 측정한 뒤, 수많은 삼각형의 각도를 재 덩케르크에서 바르셀로나까지 총 1050 km에 해당하는 거리를 쟀다. 그리고 지구의 타원도를 적용해 북극에서 적도까지의 자오선 ... ...
- [Culture] 커피콩으로 와인 세계 첫 제조, 진짜 오리지널 제주 커피 재배기과학동아 l2018년 09호
- 2012년 제주도에 자리를 잡았다. 제주도에서도 가장 남쪽에 있는 산방산 근처 바닷가에서 카페를 열었다. 올레길 10코스 근처인데다 워낙 해안가 경치가 아름다워서 항상 손님이 많았다. 제주도에 내려오기 전까지는 서울에서 대기업에 다니는 직장인이었다. 바쁘게 살았던 그 시절 카페는 어쩌다가 ... ...
- Part 1. ‘풍수’는 21세기 환경공학과학동아 l2018년 09호
- 防風林)과 방수림(防水林)이다. 보통의 전통마을은 겨울철에 따뜻한 햇볕을 받기 위해 남쪽을 향해 산을 등지고 있는데, 이 마을은 북쪽을 향해 들어서 있다. 겨울철에 찬 북서계절풍을 바로 받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마을 북쪽에 조성한 이 마을숲이 마을로 불어 닥치는 매서운 찬바람을 병풍처럼 ... ...
- 100억 년 동안 1초도 안 틀리는 광시계로 더 정확해진 초과학동아 l2018년 09호
- 그들은 1초를 평균태양일의 8만6400분의 1로 정의했다. 여기서 평균태양일은 태양이 정남쪽에 와 있을 때(남중)부터 지구가 자전해 다음 번 남중할 때까지의 시간이다. 평균태양일을 24등분한 것이 시간(hour), 시간을 60등분한 것이 분(minute), 분을 60등분하면 초(second)가 된다. ‘second’는 ‘두 번째 ... ...
- [통합과학 교과서] 토끼 찬스 발동!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콜럼버스는 바람과 파도를 아주 잘 아는 뱃사람이었어요. 그는 편서풍을 피하기 위해 남쪽으로 내려갔지요. 그 다음 서쪽으로 부는 무역풍을 타고 대서양을 건너 아메리카 대륙까지 무사히 도착할 수 있었답니다. 바람은 지금도 여전히 대륙을 오가는 데 중요한 요소예요. 2016년 인도 항공사인 ... ...
- Part 2. 남극에 사는 별별 생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살고 있었답니다. 남극특별보호구역 171, 펭귄마을을 소개합니다!세종과학기지에서 남쪽으로 2km 떨어진 곳에는 ‘펭귄마을’이 있어요. 정식명칭은 ‘남극특별보호구역 171’로, 해마다 수천 쌍의 턱끈펭귄과 젠투펭귄이 번식하는 곳이지요. 우리나라는 2009년 남극조약 협의회에서 이곳의 관리권을 ... ...
- [Culture] 그 많은 감귤 패밀리는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윈난성과 미얀마, 인도 북동부 히말라야 일대로 추정했다. 여기서 동쪽으로 만다린이, 남쪽으로 포멜로가, 서쪽으로 시트론이 진화했다. 실제로 윈난성에서 800만 년 전 감귤류 화석이 발견되기도 했다. 호주에 자생하는 독특한 감귤류인 호주 라임 세 종류는 게놈 분석 결과 금귤과 가까운 것으로 ... ...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로스해 전역에서 빙하기 동안 서남극 빙상의 영향이 우세했고, 따라서 빙하는 북쪽에서 남쪽 방향으로 후퇴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그런데 아라온호로 로스해 서부 지역의 해저 지형을 정밀하게 탐사한 결과, 빙하가 동쪽에서 서쪽으로 후퇴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는 동남극 빙상의 영향이 ... ...
- [Issue]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2002년에는 발생 지역이 더 넓어졌고, 2016년에는 단 8.9%의 산호만이 백화의 타격을 피했다. 남쪽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산호가 본연의 색을 잃었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생태기반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처음에는 육지에서 가까운 바다에 백화 현상이 발생하다가 점차 대양으로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