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쪽"(으)로 총 1,192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지구온난화 주범 vs. 청정에너지 진흙화산의 두 얼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지름 3km의 움푹 파인 지형에 3개의 작은 진흙화산이 모여 있는 진흙화산군이다. 남쪽에는 약 500m의 지름을 가진 원통형 진흙화산이 발달해 있고, 북쪽에는 원뿔 형태의 진흙화산이 자리잡고 있다. 동쪽으로 약간 떨어진 곳에는 형태가 뚜렷하지 않은 진흙화산이 있다. ROV가 보내온 영상에는 마치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일곱 가지 색을 띠는 팔색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되었지요. 이 새는 5월 중순쯤 우리나라를 찾아와 알을 낳고, 가을이 되기 전에 따뜻한 남쪽으로 이동하는 여름 철새랍니다.지난 6월에는 남해의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 작은 뱀을 물고 있는 팔색조의 모습이 포착됐어요. 1964년 한국문화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이런 습성이 적혀 있지만, 실제로 뱀을 ...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오창환 전북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동쪽의 태평양판, 남쪽의 필리핀판, 서쪽의 인도판 등 3개 판이 한반도 지하를 자극하는 응력의 원천”이라며 “포항 지진의 경우 태평양판과 필리핀판에서 미친 응력이 더 컸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와 올해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방법을 가르쳐줬다”고 생각했다. 이후 그로텐디크는 프랑스 중부 생테티엔 남쪽에 있는 해발 900미터의 삼림지대인 르샹봉쉬르리뇽으로 피신했다. 현지 학교인 콜레주 세베놀에 다니며 프랑스 대학 입학 자격시험인 바칼로레아에 합격했다. 그로텐디크는 수학 교과서에 나오는 진부한 문제에 ... ...
- [과학뉴스] 다친 친구를 구조하는 개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전투 중 부상당한 친구를 버리지 않고 구조하는 것을 발견했어요. 이들은 사하라 사막 남쪽에 살며 하루에 2~4번, 200~500마리의 군대를 이끌고 흰개미를 사냥해요. 하지만 흰개미도 이들의 공격에 맞서 싸우기 때문에 아프리카 마타벨레 개미도 부상을 입지요.연구팀은 코트디부아르 코모에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부리를 휘저어 먹이를 찾는 저어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부리를 물속에서 휘저어 새우나 물고기를 사냥하는 저어새예요. 이 새는 대만이나 일본 남쪽 지역에서 겨울을 보내고 따뜻해지는 4월쯤 우리나라로 와요.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서해안의 갯벌과 연안에 가까운 습지를 따라서 살다가, 알을 낳을 때가 되면 바위로 이뤄진 무인도로 이동하지요 ... ...
- [Origin] 그날 에드워드 뭉크는 무엇을 봤을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북극과 남극 주위에서 주로 만들어지고, 드물게는 알프스 산맥과 히말라야 산맥의 남쪽에 나타나는 것이죠.진주구름은 1870년 스웨덴에서 처음 관측됐습니다. 노르웨이에서는 크리스티아니아 천문대에서 1871년부터 1880년대까지 자주 관찰했습니다. 당시 기록은 아주 다채로운 색상을 나타냈다고 ... ...
- [Origin] 명상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인간의 뇌에 대해 알아보는 야심찬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코흐 교수팀은 인도 남쪽에 있는 티베트의 승려를 만났다. 그들은 수 년 동안 일상을 떠나 인간의 근원에 대해 명상하며 지낸다. 명상을 할 때 이들의 뇌에서는 일반인과 확연히 다른 고주파 신호가 나타났다. 이제는 과학을 통해 마음이나 ... ...
- Part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과학동아 l2017년 05호
- 8632/aging.101020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국인은 어쩌다 장수의 민족이 됐을까Intro. 남쪽의 작은 고장 ‘순창’, 장수로 흥하다Part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Part 4. 할아버지, 어떻게 그렇게 건강하세요 ... ...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않게 볼 수 있는 특이한 식생 패턴입니다. 나미비아 북쪽에 국경을 맞댄 앙골라에서 남쪽의 남아프리카공화국까지 이어지는 넓은 영역에서 나타나죠. 둥근 원 모양의 땅에는 모래가 훤히 드러나 있고, 주변에만 식물이 자라는 특이한 모양입니다. 원의 지름이 2~15m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한눈에 잘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