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쪽"(으)로 총 1,192건 검색되었습니다.
- [Go!Go!고고학자] 늑도의 특이한 유물들, 어디서 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북쪽에 해발고도 60m의 ‘작은섬산’이 있어요. 두 산 사이의 평지가 넓지는 않지만, 섬 남쪽의 넓은 암초 지대에서 다양한 식용 조개류가 자라요. 주변 다른 섬들에 비해 지하수도 풍부해서 사람이 살기에 어려움이 없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육지와 늑도 사이를 흐르는 빠른 조류로, 늑도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발사 D데이, 이륙 900초 전 자동 카운트다운 시작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움직임을 원격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수신장치를 탑재한 해양경찰청 함정은 제주도에서 남쪽으로 약 1700km 떨어진 필리핀 동부 해상으로 나가 대기했다. 발사 50분 전, 나로호를 꼿꼿이 세워놓았던 이렉터가 철수되면서 현장의 긴장감은 더욱 고조됐다. 발사 15분 전, 발사까지 900초가 남은 시점에서 ... ...
- 오리온의 겨드랑이 별 '베텔게우스' 에 대한 궁금증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것이라는 괴담까지 떠돈다. 베텔게우스를 둘러싼 궁금증을 총정리했다. (*겨울철 남쪽 하늘에서 관찰되는 오리온자리. 중심부 3개의 별이 그리스 신화 속 용사 오리온의 허리띠를 상징한다. 2개의 1등급 별을 포함해 약 60개의 별이 있다. 왼쪽 위 노랗게 빛나는 알파별이 적색 초거성 ... ...
- 천문학자가 남극점에서 본 우주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전파 관측을 하기가 정말 좋은 장소니까요.” 김 박사의 대답은 명쾌했다. 지구의 가장 남쪽, 남위 90도 지점인 남극점은 대도시와 멀리 떨어져 있고 해발고도가 2830m가 넘는 고지대라 대기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게다가 남극은 세계에서 가장 넓은 사막이다. 남극점에 수북한 눈은 바람을 타고 온 ... ...
- [Go!Go!고고학자] 바이킹은 왜 그린란드를 떠났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생각했답니다.붉은 머리 에리크가 이끄는 아이슬란드 농민들은 985년경 그린란드 남쪽에 첫 번째 정착지를 세웠고, 또 다른 집단은 그 서쪽에 자리를 잡았어요. 정착 초기 그린란드의 바이킹 인구는 4000~5000명 정도였지만, 14세기 이후 숫자가 점점 줄어들기 시작해 15세기 중반에 이르면 완전히 ... ...
- [비하인드로켓] 마치산 중턱에 발사대를 세우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폭발할 가능성에 대비해 안전반경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 마치산 부지는 발사 방향이 남쪽을 향하고 뒷면은 산으로 둘러싸여 유리한 조건이었다. 발사방위각도 1단 낙하지점이 제주도에, 3단 낙하지점이 인도네시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하는데 제한된 범위에서 가능했다(자세한 내용은 2019년 ... ...
- 국경 넘나드는 초원수리, 연구비 거덜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위치를 보내줘요. 2018년 러시아 남부 하카스 지역에서 태어난 민은 그해 겨울, 남쪽으로 약 3000km 떨어진 인도 북부로 날아갔어요. 해가 바뀌고 다시 날씨가 따뜻해지자 북쪽으로 2500km를 날아 카자흐스탄에 도착했지요. 그러다 2019년 5월부터 민에게서 더 이상 연락이 오지 않았어요. 이전에도 통신 ... ...
- 수리류의 여정을 쫓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북쪽 지역에서는 겨울이 되면 포유류가 자취를 감추기 때문에 비교적 먹이가 많은 남쪽으로 내려오는 거예요. 러시아맹금류연구보존네트워크 연구자들이 2018년 한 해 동안 16마리의 초원수리를 추적한 결과, 일 년 중 41.9%는 번식지에서, 31.5%는 월동지에서, 나머지 26.6%는 이동하며 보냈답니다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이 외나로도에 오던 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발사체 조립장 안에는 철로가 놓여 있다. 나로호 1단을 기차에 싣고 모스크바에서 동남쪽으로 약 700km 떨어진 울리야놉스크까지 3일 동안 달렸다. 울리야놉스크에서 우리나라 김해국제공항까지는 러시아의 수송기인 안토노프(AN-124-100)로 날랐다. 안토노프는 군용 화물을 선적하고 하역하기 위해 ... ...
- 빅토리아● 혹등고래가 물기둥을 주욱!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돌아온 것이죠. 지금은 매년 여름 약 400마리의 혹등고래가 이곳에서 머물다 10월이 되면 남쪽으로 내려간답니다. Q오늘 혹등고래가 바다 위로 뛰어오르지 않아 아쉬워요그런 멋진 모습을 기대하시는 분이 많지만, 사실 혹등고래는 수면 위로 거의 뛰어오르지 않아요. 수면 위로 뛰어오르는 행동은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