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차별
분할
갈라내기
선별
분류
분리
d라이브러리
"
구별
"(으)로 총 1,481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름철 건강의 적 식중독을 이기려면
과학동아
l
198808
이 나고 발병후 12시간내에 설사가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또 피가 섞인 변을 보여 이질과
구별
이 어렵다. 발병한지 12시간이 지나면 열을 제외한 다른 증상은 완화된다. 42시간 후에는 열도 점차 떨어지기 시작하며 2~3일안에 회복된다.예방법을 알아보자, 어패류를 생식할 경우, 맑은 물로 잘 씻거나 6 ... ...
진공과 양자역학
과학동아
l
198808
하지 않은 곳이란 있을 수 없었다. 그 이유는 이렇다. 진공내에선 방향이나 앞뒤 등을
구별
할 수 없으므로 무한의 우주를 상정하게 된다. 따라서 이는 자신의 내세운 유한한 우주구조를 근본적으로 파괴하는 것이기 때문에 받아들일 수 없었다.또 아리스토텔레스는 진공이 존재할 수 없는 이유를 ... ...
"결국 그성맞고 탐욕스런 종(種)이 번창하고 있다"
과학동아
l
198808
함께 둥지에서 자라는데 어미 노래새들은 제새끼와 찌르레기 새끼를
구별
하지 않는다.
구별
하지 못하는것인지도 모른다. 따라서 어미새는 먹이를 달라고 아우성치는 새끼한테 먹이를 우선으로 준다. 관찰자들의 조사에 따라면 노래새의 새끼들은 얻어 먹는 예가 아주 드물어 굶어죽는 경우가 ... ...
특히 아름답고 희귀한 왕오색나비와 홍점알락나비
과학동아
l
198807
홍점알락나비의 유충은 복부 제2절에 1쌍의 3각형 인편상이 없어서 왕오색나비의 유충과
구별
할 수가 있다. 한편 홍점알락나비의 유충은 2~3령때 두부(頭部), 흉부(胸部)를 들고서 정지해 있는데 왕오색나비의 유충은 몸전체를 잎면에 밀착하는 경우가 많다. 월동유충에 있어서도 3령유충 때 월동하는 ... ...
암세포만을 공격하는 가장 효과적인 무기
과학동아
l
198807
맞으면 좋고 안맞아도 상관없다는 식이었다. 즉 치료제가 암세포와 정상세포를 전혀
구별
하지 못했다. 그 결과 암세포뿐만 아니라 정상세포까지도 파괴하여 부작용이 매우 컸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단세포군항체는 마치 저격병의 총알같이 암세포만을 골라서 선택적으로 공격한다 ... ...
컴퓨터에세이① 인공지능은 바벨탑인가
과학동아
l
198807
$, 40억)개의 서로 다른 정보를 만들어낼 수 있다. 즉 기계는 인간으로 이와같이 서로 다른
구별
할 수 있는 정보의 집합을 숫자의 행렬로 받아들여 각 숫자간의 사칙연산, 비교 등을 통하여 디자이너가 미리 정의해 놓은 계산 방법의 길을 따라 숫자 형태로 일초 동안에 수억회 이상의 일을 처리해낸다. ... ...
깨끗하고 맛있는 물을 마시려면
과학동아
l
198807
지나면 냄새가 없어진다. 그런뒤에 차게하면 병에 넣어 냉장고에 두었던 물과 거의
구별
이 되지 않는다.또 다른 방법으로는 물을 끊이는 것이다. 끊을때 불을 바로 끄지말고 4~5분간 뚜껑을 열어 놓은채 계속 끊이는 것이다. 그러면 잔류염소가 모두 날아가 냄새가 없어진다.좀더 확실한 방법은 ... ...
솔입혹파리 때문에 소나무 전멸위기
과학동아
l
198807
확대되면서 피해잎의 길이성장이 정지되고 8월에 이르면 외부적으로 건전한 잎과 뚜렷한
구별
이 생기며 혹의 성장이 완료되는 9월 중순경부터 벌레혹 부위가 갈색으로 변한다. 피해가 진전되어 유충의 성장이 3령으로 완료되는 시기인 10월 이후가 되면 피해잎은 건조하기 시작하고 11월에 이르면 ... ...
난세이제도 개발 일본의 진주, 그 빛을 잃다
과학동아
l
198806
있고 자그마한 섬들이 군도(群島)를 이루고 있다는 현상은 자연히 아시아대륙과는
구별
되는 특이한 종의 분포를 가져왔다. 섬들은 5천4백만년전에 왕성한 화산폭발때문에 해저에서 솟아올라 형성된 것이다. 처음에는 일본의 큐슈와 연결이 되어 있었으나 5백만년전쯤에 분리되기 시작했고 현재와 ... ...
첨단의 약제를 찾아서 미사일 약 딱 한번 약 붙이는 약…
과학동아
l
198806
것이다. 이 방법은 실제로 임상에서 쓰이고 있다. 그러나 병소부위가 다른 부위와 명확히
구별
되지 않는다든지 또는 몸속 깉은 곳이어서 직접 투여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을 것이다.또 일단 병소에 직접투여(보통은 주사)하였다고 할지라도 해당 병소에만 약물이 머무는 것이 아니라 혈류를 따라 곧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