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차별
분할
갈라내기
선별
분류
분리
d라이브러리
"
구별
"(으)로 총 1,481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 문자코드란?
과학동아
l
198812
발견할 때까지 추적해야만 한다. 이러한 지시부호 및 코드를 이용한 한글과 영문의
구별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 나타난 것이 8비트 코드 체계이나 '한'은 'ㅎ ㅏㄴ'와 같이, '가'는 'ㄱ ㅏ'와 같이 표현되므로 역시 가변길이로 인한 문제점은 극복할 수가 없다.그러므로 화면에서 차지하는 영역에 대해 ... ...
감시·탐색·공격용으로 훈련시켜
과학동아
l
198811
유조선 선복에 붙여논 비타민 알을 찾아 내기도 했고 알루미늄 박판과 구리 박판을
구별
하기도 했다는것. 물론 모든 돌고래의 능력이 다 그렇다는 것은 아니고 훈련결과 그같은 능력을 보였다는 것이다.핵 잠수함 주변에도 배치지난 6월, 워싱턴주 '뱅고'해군기지 사령관은 16마리의 돌고래를 ... ...
눈·코·귀의 기능을 기막히게 향상시킨 첨단의 센서들
과학동아
l
198811
필드경기의 거리기록 측정광센서는 빛을 감지대상으로 한다. 빛에는 파장에 따라
구별
이 있으므로 가시광선을 감지하면 가시광센서라 하고 그외의 파장을 감지하면 적외선센서 등으로 구분한다.광센서의 원리는 여러가지가 있고 이를 설명하려면 반도체 이론부터 시작해야 되겠지만 너무 ... ...
97%가 잘못 사용 이런 안경은 눈을 나쁘게 한다.
과학동아
l
198811
거의가 시력이상이라는 초기증상으로 나타난다. 안경점에서는 그런것과 시력장해와의
구별
이 거의 되지 않는다.결국 바른 안경은 안과의와 안경점이 2인3각으로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안경이란 정밀기구다. 만들었을때는 바르게 조정되어 있어도 사용하면서 점점 모양이 비뚤어져 간다. ... ...
4배 수록 가능한 CD
과학동아
l
198811
개발된 방법은 16개의 비트 대신 4개의 비트만 사용하는데도 불구하고 재생음이 원음과
구별
할 수 없을 정도로 맑은 음질을 낼 수 있다.'맥캐니'씨는 이 신기술이 녹음산업계의 대전환점이 될 것이라면서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쉽게 말하면 이 기술은 기존 콤팩트디스크 레퍼터리의 4배의 분량을 ... ...
하나의 신약이 나오기까지 0.01%의 가능성을 찾는 일
과학동아
l
198810
할 수 있을까? 알약처럼 생긴 과자도 있는 것을 보면 모양만 보고는 약인지 아닌지를
구별
할 수가 없는 모양이다. 법대로 이야기하면 약으로 허가받은 것만이 약이다. 그러나 좀 더 넓은 의미로 해석하면 약이란 '생명현상을 조절하는 열쇠' 바로 그것이다.열쇠 만들기 같은것몸이 아픈 것은 ... ...
인삼연초연구소장 이종화박사
과학동아
l
198809
손색이 없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합니다. 저희 연구소에서 가끔 국산담배와 양담배를
구별
할 수 없게 한 채 피우게 한 뒤 소감을 물어보는데요. 국산담배쪽이 더 좋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아마 과거부터 양담배 선호의식이 아직도 남아 있어 일종의 선입견으로 작용돼 양담배를 찾고 있는 게 ... ...
PART3 파멸에의 유혹, 약물복용
과학동아
l
198809
'휴렛팩커드'사의 약물분석장비는 채취한 소변 중에 포함된 10억분의 1g정도의 약물까지
구별
이 가능할 정도다.또 88년캘거리동계올림때부터는 소변을 묽게해 다른 약물의 농도를 낮춤으로써 검사를 피하게 하는 이뇨제와 신경안정제의 일종인 베타블록커등 2가지 부류의 약물이 금지항목에 ... ...
색깔의 본질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8809
물체에 부딪친 후 우리 눈에 들어오는 경우였다. 따라서 '참된 색깔'과 '거짓 색깔'을
구별
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이로써 기계적 철학자들은 고대 그리스 과학자들이 제기한 색깔에 대한 3가지 문제중 두가지를 해결했다. 이제 무지개와 관련된 두번째 문제만 풀면 색깔에 관한 문제는 ... ...
왜 빛을 내는가? 그 결과로 무엇을 얻고 잃는가? 여름밤의 영롱한 빛 반딧불
과학동아
l
198808
내다가 어두워질 때는 0.1초간의 섬광으로 바뀐다.많은 분류학자가 반딧불의 종(種)을
구별
하기 위해 숫컷의 섬광유형을 사용한다. 이때 분류에 앞서 전제돼야 할 게 있다. 먼저 그 종이 섬광유형의 변화를 과연 보여 주는지를 알 필요가 있다.포터리스 속(屬) 반딧불들은 종(種)간의 차이가 적다. 즉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