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3,918건 검색되었습니다.
변이 바이러스, 지역 유행 아니라지만…꾸준한 확산으로 감염자 800명 넘어
동아사이언스
l
2021.05.11
TEM)으로 촬영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모습.
표면
에 있는 돌기 모양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변이가 생기면 감염력이 높아지거나 항체에 대한 면역 회피 능력이 생길 수 있다.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제공 11일 0시 기준 국내에서 기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보다 전파력이 ... ...
NASA 탐사선 ‘오시리스-렉스’, 소행성 표본 싣고 23억km 지구 귀환길 올라
동아사이언스
l
2021.05.11
지구로 가져오는 데 성공해 현재 연구가 진행중이다. 오시리스-렉스가 소행성 베누의
표면
에 접근해 시험하고 있다. NASA 제공 오시리스-렉스는 2년 반 동안 태양을 두 번 돌아 2023년 9월 24일 지구에 도착할 예정이다. 비행거리만 약 23억 km에 이른다. 오시리스-렉스가 표본을 담은 캡슐만 분리해 ... ...
코로나19 항바이러스 마스크 나왔다…바이러스 99.9% 비활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1.05.11
선임연구원은 “이번 기술을 개발한 이유는 KF94 마스크가 바이러스를 막아주기는 하지만
표면
에 바이러스가 남아 있을 수 있는 현상과 구리박막의 인체 독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승훈 선임연구원은 “다양한 방역 소재 개발도 중요하지만 고병원성 병원체를 활용한 실증 ... ...
자율주행차의 눈 '라이다' 나노광학 기술로 손가락 만하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10
등 연구팀에서 개발 중인 나노 광학 기술도 함께 소개됐다. 노 교수는 “현재 메타
표면
장치 기반의 초소형 복합 라이다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여러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이 연구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손가락 한 마디 정도 크기를 갖는 초고속·초정밀 라이다 장치를 값싸게 구현할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19 백신 개발 3대 키워드
2021.05.10
항체(monoclonal antibody)를 다량 투입하는 방법이 있다. 단일 항체는 타깃이 되는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붙도록 인공 제작된 항체다. 따라서 단일 항체를 투여할 경우 ADE 억제에 상당한 효과를 줄 수 있다. 이 외에도 ADE가 일어나지 않도록 백신의 타깃 단백질을 선정하는 등의 다양한 ...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손일령 포스코 수석연구원·박영구 세화이에스 대표
동아사이언스
l
2021.05.10
내식성이 더 우수한 강판을 개발했다. 수입에 의존하던 건설용 소재를 대체하고 높은
표면
품질이 요구되는 가전 및 자동차용 강판을 새롭게 공급해 국내 소재부품산업 경쟁력을 높인 것으로 평가받았다. 해외 업체가 시장을 독점하고 있던 강건재와 태양광용 합금도금 소재로 수출에도 성공했다. ... ...
[우주산업 리포트]중국도 '제2 스페이스X'를 키우고 있다
2021.05.07
창어 5가 중국 북부 네이멍구자치구 초원지대 쓰쩌왕에 무사히 착륙했다. 창어5호는 달
표면
북서부 화산단지에 도착해 로봇팔과 드릴을 이용해 2m 깊이로 토양을 채취해 지구로 가져왔다. 중국국가항천국(CNSA) 제공 2014년은 중국의 우주개발 역사에서 특별한 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미국을 ... ...
물체에 묻은 코로나19 바이러스 생존시간,
표면
구조가 결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07
않는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
표면
접촉을 통해 바이러스에 감염될 확률은 1만 분의 1로,
표면
을 1만 번 만졌을 때 한 번 감염되는 수준이어서 비말을 통한 공기 중 감염보다는 감염 위험이 훨씬 낮다 ... ...
태양탐사선 '파커' 중력도움 비행 중 금성 전리층 30년만에 통과
연합뉴스
l
2021.05.04
파커호는 지난해 7월 11일 금성에 세 번째 접근해 행성의 중력을 이용한 비행을 할 때
표면
에서 833㎞ 상공을 지나갔다. [NASA/Johns Hopkins APL 제공 / 재판매 및 DB 금지] 파커호는 이때 태양의 전기·자기장 측정을 위해 장착한 '필즈'(FIELDS)를 통해 7분간 자연적으로 생성된 저주파 전파 신호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ATCG가 아니라 ZTCG로 이뤄진 바이러스
2021.05.04
dZTP 합성의 첫 단계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밝혀졌다. 시아노파지 S-2L이 박테리아
표면
에 붙어 세포 안으로 게놈을 투입하면 전사와 번역이 일어나 PurZ 효소가 만들어진다. PurZ는 박테리아 세포질에 있는 dGMP(데옥시구아닌일인산)를 dSMP로 바꾼다. 한편 박테리아 게놈에는 dSMP를 dZTP로 바꾸는 효소의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