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SPACE] 21세기 우주경쟁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계획과 투자가 이뤄져 가능한 결과”라며 “중국의 유인탐사와 다른 천체 탐사는 국방 분야는 물론이고 우주산업 분야, 특히 우주 자원 활용과 우주 영토 개척을 통해 최강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하려는 중국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미중 우주경쟁은 ‘최초 경쟁’이 아니라는 점에서 ... ...
- DGIST 신물질과학전공 - 원자 하나하나 제어해 고온 초전도체 원리 밝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서 교수가 2009년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있을 때부터 파고들었던 분야다. 그는 2013년 DGIST에 임용된 뒤 위상물질을 고온 초전도체에 접목하기 시작했다. 아직 초전도 현상을 나타내는 위상물질의 비율이나 배열, 두께 등에 대해서는 실험적으로 밝혀진 바가 없다. 서 교수는 ... ...
- [INTERVIEW] 사람이 좋은 수학자, 천정희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그래서 사람과 세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연구에 매력을 느낀 것 같아요. 많은 수학 분야 중에서 정수론을 전공한 이유 중 하나가 정수론 문제는 대부분 증명은 어려워도 문제는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제 박사 논문 주제도 10분만 주면 수학을 모르는 사람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할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인싸력+1) 국제학술지 ‘네이처’와 ‘사이언스’는 모두 ‘2019년 가장 기대되는 과학 분야’ 중 하나로 극지 프로젝트를 꼽았다. 미국과 영국이 공동으로 남극의 붕괴 시점을 조사하는 대형 프로젝트를 2018년 4월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 프로젝트는 2033년 마무리 될 예정으로 올해부터 중요한 ... ...
- Part 2. 日 2040년 문 밸리 건설, 지구-달 오가는 ‘달 셔틀’ 운영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아이스페이스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산하 랩에서 출발한 국방, 우주 등 첨단기술 분야의 비영리 기업인 드레이퍼(Draper)와 팀을 이뤄 참가했다. 여기서 선정된 기업에는 향후 10년간 최대 26억 달러(약 2조9000억 원)가 투입된다. NASA는 2019년 바로 달 탐사를 시작해 해마다 두 차례씩 총 20회에 걸쳐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큰 행사였던 ‘재료한마당’을 소개했다. 재료공학부에는 연구실도 많고, 연구 분야도 다양해서 어떤 연구를 하는지 다 모르는 경우가 많은데, 재료한마당에서는 각 연구실마다 직접 어떤 연구를 하는지 쉽게 소개해주고 1, 2학년 학생들에게도 이후의 진로를 친절하게 알려준다. 하씨는 “연구뿐만 ... ...
- Part 5. 전문가에게 물었다 제2의 달 탐사 경쟁, 한국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그는 “미국조차도 과거에는 상업용 통신만이 거의 유일한 우주 산업이었다”며 “우주 분야에서 상업적인 비즈니스를 이어나가는 것은 굉장히 힘든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한국이 프랑스 등과의 협력을 통해 위성 기술을 빠르게 축적하는 것을 인상 깊게 봤다”며 “정부가 국제 ... ...
- 인문학을 사랑한 수학자 게오르디 윌리엄슨 호주 시드니대 교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표현론은 대칭, 군 같은 수학적 대상을 다른 방법으로 표현해서 성질을 연구하는 분야예요. 저는 특히 ‘군’이라는 대수적 구조의 성질을 파악하기 위해 군을 ‘벡터 공간’의 대칭과 연결지어 연구하지요. 벡터 공간을 빌딩이라고 생각하면 빌딩을 이루는 ‘빌딩 블록’을 잘 이해해야 군을 벡터 ... ...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4차원 세계로 들어간 화가, 파블로 피카소와 큐비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급격한 산업화로 인한 변화는 신진 학자들의 혁명적인 사상을 이끌어냈고, 그 영향으로 분야를 막론하고 구시대의 것을 타파해 새로운 시대에 맞는 새로운 사조와 문화를 만들려는 운동이 움텄습니다. 전통과 권위에 반대해 근대 과학과 문화에서 변화를 꾀하는 운동이 일어난 것이지요. 유럽 ... ...
- Part 1. 한국 수학자 152명이 고른 ‘타임캡슐에 담을 수학’은?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이런 미분과 적분을 하나로 엮어주는 정리다. 이는 수학의 판도뿐 아니라 다른 모든 과학 분야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현재 자연의 법칙을 설명하는 거의 모든 정리는 미적분학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복잡한 자연 현상을 설명하는 ‘스토크스 정리’나 ‘그린의 정리’도 모두 미적분학의 기본 ...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