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세기의 난제 ‘짐 쌓기’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말했어요. 옷감 자르기도 상자 채우기 문제라고? 상자 채우기 문제는 활용
분야
가 무척 다양해요. 예를 들어 3차원 공간이 아닌 2차원 평면을 생각해 볼까요? 얇고 넓은 옷감을 잘라서 옷을 만들려고 해요. 남아서 버리는 옷감이 적을수록 좋겠죠? 이 문제는 2차원의 상자 채우기 문제라고 볼 수 ... ...
[오일러 프로젝트] 길 찾기 달인 모여라! 경로 찾기 문제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단순히 점과 선 위에서 길을 찾는 문제에 불과하지만 활용도가 무궁무진하게 넓은
분야
라는 걸 생각하며 20×20 격자의 경로 찾기를 풀어 보자. 오일러 프로젝트 15번 문제를 해결하려면? 경로 찾기 문제는 어떤 관점으로 보는지에 따라서 여러 가지 해법이 있을 수 있답니다. 가장 많이 쓰는 ... ...
[서울대 공대|컴퓨터공학부] 4차 산업혁명의 주축 컴퓨터공학부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세이건의 ‘코스모스’, 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처럼 과학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분야
의 책들을 읽어갔다. 실제로 이 씨는 면접에서 독서 목록과 관련된 수준 높은 질문들을 받았다. 면접을 마치고 돌아서는데 면접관이 고개를 끄덕이는 데서 합격의 희망을 봤다. “면접관들이 지원자에 ... ...
[폴리매스 프로젝트]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어떤 상황에 대한 경우의 수를 따지는 순열이나 조합처럼 유한한 대상을 다루는
분야
예요. 다양한 문제를 참신한 아이디어로 해결하는 데서 매력을 느끼고 있어요. 지금은 이번 호 특집 기사에 나오는 ‘소파 문제’를 연구하고 있어요. Q 친구들에게 조언하고 싶은 점이 있나요? 자기 풀이에 ... ...
[수셰프 피터팍의 맛있는 수학] 떡국 한 입, 타원 한 입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문제를 해결하는 데 쓰지는 않았습니다. 타원이 본격적으로 연구되고 세상의 많은
분야
에 응용하기 시작한 건 2천여 년이나 지난 17세기에 이르러서였습니다. 케플러, 우주의 원리를 타원으로 설명하다 천문학에서 인류에게 가장 충격을 준 발견은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일 겁니다. 그런데 ... ...
[이달의 PICK] 숙제할 때 찾는 위키백과 서로 못 믿어서 내용이 정확해졌다?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지오그래픽’ 최초의 여성 편집장이었던 수잔 골드버그도 기억에 남는다. Q 과학
분야
에서 여성의 수가 적은 이유가 여성이 생물학적으로 과학적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과학계에는 여성의 참여를 막는 다양한 문제가 있다. 부모나 교사가 갖는 ... ...
Part 4. 좁은 공간도 문제 없다! 가구 옮기기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만든 문제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피아노 운반 문제는 로봇공학과 게임 개발 등 다양한
분야
에서 동작을 계획하는 데 아주 중요하게 쓰이고 있어요. 현대 공학에서 피아노 운반 문제는 ‘동작 계획’이라는 문제로 발전해 활용되고 있어요. 동작 계획이란 현재 위치에서 목표 위치까지 움직일 수 ... ...
[핫이슈] AR을 찍자 눈앞에 한자가 나타났다! 마법천자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연기에 가상의 이미지가 더해져 환상적인 무대가 펼쳐졌답니다. 또 SK텔레콤은 스포츠
분야
에 AR 기술을 적용해 야구 경기장에서 실시간으로 선수 정보를 보여 주는 앱을 만들기도 했지요. 손오공의 한자마법을 실감나게 보고 싶은 친구들은 2월 1일자 표지를 찍어 보세요! ● ... ...
[과학뉴스] 헉! 치실에서 발암성 물질 검출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치실 제품에서 발암물질로 의심되는 과불화화합물인 PFAS가 검출됐다고 환경및공공보건
분야
학술지 ‘노출과학및환경역학저널’ 1월 8일자에 발표했다. PFAS는 열에 강하고 제품의 오염을 막아 산업계 전반에 두루 사용되는데, 최근 인체에 심각한 질병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미국 ... ...
[이달의 PICK] 분노는 발명의 어머니? 난다 화가, 한다 발명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렇게 말했다. 1980년대 후반, 나카무라 교수가 일본의 화학
분야
중소기업인 니치아 화학공업에 재직할 당시 적색과 녹색 LED는 있었지만, 청색 LED는 없었다. 나카무라 교수는 “당시 사장이 ‘청색 LED는 만들어지지 못할 것’이라고 말해 화가 났고, 나는 청색 LED를 개발하게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