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최근 몇 년 사이 생물학계에서 ‘핫’한, 앞으로도 많은 연구로 우리를 놀라게 할 분야입니다. 관련 연구를 하나 소개하자면, 2015년 이사벨 만수이 스위스 취리히대 의학부 교수팀이 발표한 트라우마 연구가 있습니다.doi:10.1038/ncomms6466 만수이 교수팀은 어릴 때 자라는 환경이 장기적으로 ... ...
- 수학자들이 병원에 간 이유는? “질병 문제 함께 풀어요”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한 걸음 더 나아 가고 있다. 또 지문 연구처럼 의학 분야에서 풀리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도움을 줄 전망이 다. 현윤경 선임연구원은 “우리나라 수학의 수준이 그만큼 높아졌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수학 이론을 적용해 현실의 ... ...
- part 1. 오일러 앞선 최석정의 직교라틴방진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반도체칩 설계부터 이동통신 시스템 구축까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수학의 한 분야라고 합니다. 최근 김종락 교수님께서 최석정의 직교라틴방진에 관한 새로운 연구를 하셨다면서요 ... ...
- [영재교육원 탐방 10]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미래 인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캠프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2일 동안 진행되는 캠프에서는 첨단 과학기술 체험과 예술 분야 특강 등을 통해 관심의 폭을 넓힐 기회가 주어진다. 또 다른 특징은 끈끈한 선후배 관계다. 과학전시관 영재교육원 수료생들은 자발적으로 동문 모임을 정기적으로 갖는데 이 모임이 굉장히 활발하게 ... ...
- 전해진 서울시립대 총장장학생 - “나만의 공부 방법을 만들어 보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속 화학 성분을 연구·개발하는 연구원을 꿈꾸고 있다. 다른 하나는 연료전지 분야다. 전 씨는 “최근 전공 설계 수업에서 고분자를 이용한 태양전지를 배웠다”며 “고분자를 이용한 연료전지나 태양전지를 설계하는 일에 관심이 생겼다”고 말했다. 전 씨는 예비 수험생들을 위한 격려도 잊지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최고의 학과’ 만드는 ‘최고의 학생’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점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화학생물공학부의 자랑거리를 묻자 정 씨는 “각 분야에서 세계적인 석학들이 교수진으로 포진해 있고, 그만큼 학생들의 수준도 높다”고 말했다. ‘취업은 잘 되는데 졸업장을 받기가 어렵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로 공부할 양이 절대적으로 많지만, 그만큼 ... ...
- ‘영원’을 쫓는 수학자, 2018 대한수학회 학술상 최영주 포스텍 교수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매력적이고 아름다운 느낌이 있어서인 것 같아요. 정수론은 정말 아름답고 역사가 깊은 분야면서 암호나 IT 같은 최신 기술에 많이 응용돼요. 저는 정수론에서도 특히 ‘L-함수’를 연구해요. L-함수는 어떤 함수의 무한급수에 관한 해를 구할 때 쓰는 함수예요. 리만 가설에 등장하는 ‘리만제타 ... ...
- [과학뉴스] 플라스틱 쓰레기로 만든 에어로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내구성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에어로겔의 표면을 다양하게 처리해 여러 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에어로겔 표면에 메틸 화합물을 코팅하면 다른 제품보다 최대 7배 많이 기름을 흡수했다. 뿐만 아니라 불에 잘 타지 않는 화학 약품으로 코팅하면 에어로겔은 62 ... ...
- 韓 문명의 뿌리는 과학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삼국시대 고분 벽화, 그리고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천문도인 국보 제228호 천상열차분야지도로 이어져 내려온다”며 “우리 민족이 과학에 대해 꾸준히 관심을 가져왔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12m 미디어아트로 재탄생한 ‘태평성시도’ 한국과학문명관은 전통과학기술이 한국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조용한 침략자, 과불화화합물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독성 연구는 2000년대 들어서야 시작됐습니다. 환경독성학 분야의 저명한 학자인 존 기지 당시 미국 미시간주립대 환경독성연구소 교수(현 캐나다 서스캐처원대 교수)와, 같은 연구소에서 일했던 쿠룬타칼람 칸난 박사(현 미국 뉴욕주립대 교수)는 전 세계에서 수집한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