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데이터 사이언스팀은 직접 접촉이 없이도 정서가 전이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실험에 참가한(정확히 말하면 참가‘된’) 피실험자 수는 68만9003명으로, 실험은 2012년 1월 11일부터 일주일간 실시됐다. 연구팀은 정서를 정량화하기 위해 긍정적인 단어,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개발 중이다.이 기업은 최근 현장 실험을 끝내고 상용화 초기 작업에 들어갔다. 미국
국립
과학재단(NSF)은 올해 2월3일, 알트에어로스 에너지스사에 700만 달러(한화 약84억 원)의 자금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NSF의 프로그램 매니저 벤 슈라그는 선정 배경에 대해 “쉽게 이동해 빨리 설치할 수 있고 ... ...
세포들의 사회 들여다보는 융합 연구의 대가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단장이다. 올해 4월 말에는 미국
국립
과학원(NAS) 회원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미국
국립
과학원은 과학분야 노벨상 수상자 대부분이 회원으로 활동하는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단체다. 세포들의 사회학물리화학 분야 권위자인 그의 최근 연구 성과는 ‘세포가 물질을 원하는 장소로 운반하는 ... ...
[생활] 백제의 흔적을 찾아 나선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전시돼 있다고 하니, 시간을 내어 꼭 둘러보세요.특별한 모양의 연못을 품은 공산성
국립
공주박물관을 나와 차로 5분쯤 이동하면 공산성에 도착할 수 있어요. 공산성은 조선시대 때 부르던 이름이고, 백제시대에는 웅진성이라고 불렀어요. 공산성의 금서루에 올라 오른쪽 성벽을 따라 걸으면 석성과 ... ...
전통의 색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분자식에서도알 수 있듯 독성이 강한 비소(As) 성분이 있어 지금은 생산하지 않습니다.
국립
문화재연구소에서 작년부터 하고 있는 연구는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단청 안료를 파악합니다. ‘우리의 색’을 보다 가까이에서 만날 수 있게 되길 기대합니다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천왕성의 표면은 액체 다이아몬드로 가득찬 다이아몬드 바다일 가능성이 높다. 미
국립
로렌스 리버모어 연구소가 ‘네이처 피직스’ 2010년 1월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다이아몬드가 고체에서 액체로 녹는 순간의 온도와 압력 조건이 두 행성의 환경과 유사하다. 실제로 두 행성에는 다이아몬드 ... ...
[Knowledge] 예수는 어떤 와인을 마셨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유력한 후보 중 하나다. 미국 펜실베니아대 고고학과 패트릭 맥거번 교수는 2003년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중국 허난성 지하우 지역의 신석기 유적에서 오래된 발효주의 흔적을 찾았다고 발표했다. 기원전 7000년 토기 조각 16개 중 13개에서 타닌을 발견한 것이다. 타닌은 와인의 재료인 포도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살아남을 수 있을지에 대해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의문을 가져왔다. 그런데 이탈리아
국립
천문학연구소(INAF)팀이 태양계 밖에서 해답을 찾았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지구는 태양이 폭발한 이후에도 살아남긴 한다.연구팀이 주목한 건 지구에서 4570광년 떨어진 페가수스자리의 백색왜성 V391 Peg이다. ... ...
[과학뉴스] 심해 ‘스파게티 괴물’ 촬영!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사우스햄프턴대
국립
해양학센터 연구팀이 무인잠수정(ROV)을 이용해 1220m 깊이의 심해에서 괴생명체의 영상을 처음으로 촬영했다. 석유나 가스를 시추하는 직원들에게 종종 목격된 미지의 생물이다. 언뜻 생명체가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촉수를 이용해 느리게 움직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이 ... ...
[과학뉴스] 소의 ‘메탄방귀’ 줄이는 신물질 개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소의 장내 미생물이 만드는 메탄가스는 강력한 온실가스다. 소가 뀌는 방귀는 미국 전체 메탄가스 배출량의 25%를 차지할 정도로 많은 양이다. 최근 미국 연구진 ... 낭비되는 에너지를 눈에 띄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는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7월 30일자에 실렸다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