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립"(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던지는 것은 비합리적인 행동이다.실마리가 될지 모를 연구 결과가 지난해 11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됐다. 영국 옥스퍼드대 인지 및 진화인류학과 브라이언 맥퀸 박사는 2011년 북아프리카 리비아에서 일어난 정부-반정부 간 내전인 리비아 혁명 직후부터 4개월 동안 리비아 북부의 ... ...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실제로 대기에 존재하는 온실가스 농도에 차이가 발생한다는 논문을 올해 4월 ‘미국국립과학원회(PNAS)’에 발표했다. 각 나라가 제출한 온실가스 감축안인 국가자발적감축목표(INDC)에서 설정한 기준이 나라별로 제각각인 점도 정확한 목표를 세우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번에 제출된 INDC를 ... ...
- 암세포 골라 잡는 ‘표적 기술’ 꿈꾼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최근 사육시설을 완성하고 제브라피쉬를 도입했다.명 교수팀은 이들을 활용해 미국국립보건원(NIH) 시절 진행하던 연구를 이어나갈 예정이다. NIH에서 명 교수는 DNA 복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서 생기는 암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항암제’를 연구했다. 암세포의 DNA 복구를 방해해 ... ...
- 킁킁~, 비 냄새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철비는 바로 이 시기에 내린 거예요.연구팀은 철비가 생긴 과정을 알아내기 위해 샌디아 국립연구소에 있는 방사선 장치인 ‘Z머신’을 이용했어요. 이 장치로 490GPa(기가파스칼) 이상의 아주 높은 압력을 만들었지요. 그리고 압력을 조금씩 높여가자, 507GPa에서 철이 액체를 거치지 않고 바로 기체로 ... ...
- 생태관광…야생동물, 감 떨어진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잡아먹힐 확률이 높아진다고 우려했다.실제로 미국 와이오밍주에 있는 그랜드티턴국립공원을 관찰한 결과 큰사슴과 가지뿔영양은 주변에 관광객이 있으면 먹이를 오랫동안 먹고, 움직임의 민첩성이 떨어졌다. 사람과 친숙한 은여우는 일반 은여우보다 온순하고 겁이 없었다.블룸스타인 교수는 ... ...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센터시험이 있는데 매년 1월 13일 이후 첫 번째 토요일과 일요일, 이틀간 시험을 치른다. 국립대는 센터시험의 점수와 대학에서 실시하는 대학별 고사를 합산한 점수를 토대로 학생을 선발하며, 사립대 일부는 센터시험 100% 혹은 대학별 고사 100%인 전형도 있다.과목은 국어(일본어), 수학, 사회, 영어 ... ...
- 따뜻한 피를 가진 빨간개복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잡긴 쉽지 않죠.넌 다른 물고기랑 다른 특별한 점이 있다던데….맞아요. 최근 미국 국립해양대기청 니콜라스 웨그너 박사는 제가 다른 물고기들과 달리 온몸에 따뜻한 피를 갖고 있는 온혈동물이라는 걸 밝혀냈어요. 상어와 참치가 사냥할 때 일시적으로 근육이나 심장에 따뜻한 피를 갖기도 하지만, ... ...
- #캣스타그램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고양이나 백구는 포식자의 눈에 잘 띄기 때문에 야생에서 살아남기 힘듭니다.최연호 국립축산과학원 가축개량과 연구원은 “이런 형질은 야생에서라면 자연도태 됐겠지만, 귀여운 것을 좋아하는 인간의 눈에 띄면서 애완동물로 입지를 다지게 됐다”고 말했습니다.[스코틀랜드 들고양이 “지금 ... ...
- 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 티라노사우루스의 운동을 연구하기 위해 닭에게 인공 꼬리를 붙인 연구자가 있다. 국립칠레대 브루노 그로시 교수팀이다. 나무 막대로 만든 꼬리를 닭에게 붙여 닭의 운동을 관찰한 연구팀은 닭의 움직임이 마치 수각아목 공룡의 운동과 흡사하다고 밝혔다(사진➎).진단의학상 : 충수염이 ...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지형인 서호주 필바라 지역에서 지구 초기 미생물의 흔적을 찾아 다녔다. 미국 옐로스톤국립공원의 그랜드 프리스매틱 간헐천에서는 호열성 미생물을 분석했다. 또 유럽우주국(ESA)과 함께 남극 보니 호수에서 수중탐사 로봇을 이용한 미생물 조사를 했다. 모두 우주로 직접 가기 위한 사전 탐사였다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