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닷속 경주에서 만난 수중 고고학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부분을 만든 뒤 기존 유물과 유사한 색으로 칠하는 복원 작업이 필요하다. 정용화
국립
해양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는 “문화재를 다룰 땐 반드시 다시 원래대로 되돌릴 수 있는 물질을 써야 한다”며 “현재 사용하는 복원 방법은 최선의 방법이기는 하지만 최후의 방법은 아니기 때문”이라고 ... ...
500년 역사서 ‘실록’ 보존하는 과학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제거할 수 있었습니다.아직은 실제 실록에 보존 기술을 적용하지 않았습니다. 박종서
국립
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학예연구관은 “밀랍본 중 상태가 아주 나쁜 것은 10권 내외로 소수”라면서 “상태가 급격히 나빠지지는 않기 때문에 보다 신중을 기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정혜영 ... ...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대한민국내에서 처음 통계물리학 연구를 시작한 학자는 조순탁 교수다. 과천에 있는
국립
과학관에는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이 있는데, 그 곳에 이름을 올린 순수 이론물리학자는 아직까지 이휘소 박사와 조교수 딱 두 명이다. 조 교수의 지도교수는 네덜란드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 게오르그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식으로 깎여 나가게 된다. 그 결과 좁고 깊은 협곡이 생긴다. 이 곳의 협곡은 칼바리
국립
공원의 협곡과는 비교도 안되게 가파르다. 칼바리의 사암층보다 카리지니의 철광층이 훨씬 단단하기 때문이다.서호주의 철광석은 순도가 높기로 세계적으로 유명해서 호주 경제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지금 ... ...
번데기 한 마리로 갈린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않았다. 목을 매달아 죽었는지, 상처가 나서 죽었는지, 매장이 됐는지 등 제각각이다.
국립
과학수사연구원에서도 사체감정 업무에 적용하기 위한 법곤충 연구를 최근에야 시작했다. 유 씨와 같은 사례가 또 생긴다면, 그땐 법곤충학이 제대로 힘을 발휘할 수 있을까 ... ...
[수학뉴스] 슈퍼컴으로 지구의 속살을 보다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지날 땐 느린 속도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이 지도는 미국 오크릿지
국립
연구소에 있는 슈퍼컴 타이탄을 사용해 만들었습니다. 타이탄은 1초당 1000조 번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연구를 이끈 트롬프 교수는 “현재까지 지도는 부분적으로 완성한 상태이며, 올해 연말까지 지구 ... ...
한옥에 살어리랏다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하얀 스케치북에 집을 그려 보자. 집이라고 하면 아파트가 가장 먼저 떠오른다. 한옥을 그려 넣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우리에게 한옥은 집보다 전통 문화재에 가깝다. 그런데 최근 한옥이 도시 속 아파트와 다세대주택 틈에서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미래에는 고층 한옥이나 한옥 도시가 생 ... ...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추출한다.이를 통해 해당 지역의 피해 규모나, 조난 요청 등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국립
재난안전연구원은 올해부터 총 34억 원을 들여 스마트 빅보드 시스템을 각 지방자치단체에 확산시킬 예정이다. 내비게이션 → 빠른 대피 경로프로젝트 311에서는 차량 이 동 정보에도 주목했다. 지진 당시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뒷걸음질 쳐서 중심을 잡는다.하나의 해저 지형이 그려질 때마다 연구원들은 정용화
국립
해양문화재연구소 수중발굴과 학예연구사와 논의를 거듭했다. 전봉환 실장은 "수중문화재 발굴을 오래 하신 분은 초음파 영상만으로 어떤 물체인지 단번에 안다"며 "우린 로봇을 잘 알고 고고학자들은 바다 ... ...
전염병 예측하는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에볼라가 빠르게 번지기 시작하던 작년 9월, 미국
국립
보건원 병원균모델연구팀(NIH MIDAS)은 심각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내놨다. 현 수준으로 방역을 하다간 한 달 만에 감염자가 1만 명 이상 늘어날지 모른다는 것. 에볼라 대유행에 대비해야한다는 경고의 의미였다. 그런데 이런 시뮬레이션은 어떻게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