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군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연구팀은 큰홍학 암컷 50마리와 수컷 50마리가 짝짓기에 추는 춤을 관찰했어요.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홍학의 춤 동작이 얼마나 다양한지를 분석했지요. 그 결과 홍학은 2~8개 이상의 다른 자세로 춤을 췄고, 각 동작 사이에도 2~17개의 변화된 동작들을 선보였어요. 짝을 찾는 데 매우 복잡하고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8화] 코딩이란 무엇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나타낸답니다. 코딩과 알고리즘을 배우면 ‘컴퓨팅 사고’를 할 수 있어요. 즉, 컴퓨터처럼 논리적인 방식으로 문제를 풀 수 있지요. 컴퓨팅 사고는 현대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능력으로 손꼽히고 있답니다. 코딩펫과 함께 즐겁고 신나게 코딩을 배우자! ‘코딩펫’은 로봇을 ... ...
- Part 2. 모래, 어디에 쓰이는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두 번째로 많은 원소라서 얻기가 훨씬 쉬워 가장 많이 쓰여요. 반도체는 스마트폰, 컴퓨터, 태양전지 판 등 점점 더 많은 곳에 쓰이고 있어요. 그 결과, 지난 5년간 전세계의 규소 사용량은 30% 정도 증가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바다가 들썩들썩~, 사라진 모래를 찾아라 ... ...
- Part 2. 코로나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카메라를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잘 작동하는지 확인했지요. 전 관측장비의 필터와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사용해 개기일식을 관측하였습니다. Q. 코로나그래프의 성능을 시험한 결과는 어떤가요?앞으로 관측 결과를 정밀하게 분석해야 하지만, 작년 개기일식 관측 결과와 비교해 ... ...
- Part 1. 로봇이야, 물고기야? 로보피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후방 5m, 상어 출현! 상어 출현!’이…, 이게 무슨 소리야? 내가 상어란 걸 어떻게 알았지? 설마 너는…, 로봇?수중촬영 로봇, ‘비키’지난 5월 23일, 미국의 ●크라우드펀딩 사이트 ‘킥스타터’에 동글동글 귀여운 물고기 모양 로봇이 등장했어요. 로봇회사인 ‘로보씨(Robosea)’에서 ‘비키(Biki)’ ... ...
- Part 5. 내 손으로 직접 만든다! 수중로봇 경연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항구도시를 지켜라! MATE 2017지난 6월 23일부터 25일까지 미국 캘리포이나주 롱비치에는 전세계에서 온 학생들이 모여들었어요. 학생들은 각자가 만든 수중로봇을 직접 수영장 물에 넣어 시연해 보였지요.학생들이 모인 이유는 매해 열리는 ‘수중로봇 경연대회’에 참가하기 위해서예요. 미국의 국 ... ...
- Part 3. 폭염, 막을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우리나라에서 폭염이 발생하는 지역이 앞으로 얼마나 늘어날지 컴퓨터로 분석해 봤어요. 온난화의 영향은 세계적으로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노력을 상당히 했을 때로 가정했지요. 그 결과, 현재는 8월에 우리나라 국토의 30%에서 폭염이 발생하는데 비해, 2050년엔 국토의 70%에서 폭염이 발생할 것으로 ... ...
- Part 4. 바닷속 도시를 만드는 수중건설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에휴~, 번번히 수중로봇들만 만나다 보니 피곤해졌어. 그냥 사냥은 포기하고 집에 가서 쉴까 봐. 어? ‘쿵쾅쿵쾅’ 하는 이 소리는 뭐지? 바닷속에서 공사라도 하는 걸까?▲바다 밑 케이블은 내가 책임진다! ‘우리-T’_(우리나라의 수중건설로봇 3총사)•크기 : 6.5m X 5m X 4.5m•무게 : 15~20t•작업 수심 ... ...
- [공룡은 왜?] 골반 뼈가 넓으면 암컷? 공룡의 암수 구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수컷 골판의 면적이 암컷 골판보다 약 45%나 더 크다는 점을 근거로 내세웠지요.연구팀은 컴퓨터단층촬영(CT)으로 골판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크기와 모양이 다른 표본들 모두 성체로 다 자란 스테고사우루스인 것으로 나타났지요. 티라노사우루스나 프로토케라톱스처럼 성장 속도에 따라 골판의 ... ...
- Part 2.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10여 명의 과학자 중에는 우리나라 김보연 연구원도 있어요. 현재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컴퓨터공학과에서 박사 과정 중인 김보연 연구원으로부터 오션원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보았어요.Q. 오션원을 만들게 된 계기가 있나요?저희 연구실에서는 본래 일본의 휴머노이드 로봇 ‘아시모’를 이용해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