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월등해졌다. 몇 년 간 수많은 얼굴들을 태그하면서 학습한 결과다. 윤 책임연구원은 “컴퓨터는 저장 공간이 무한하다는 특징이 있어 현재 딥미러가 외우는 얼굴 수는 제한이 없다”면서도 “저장된 얼굴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 닮은꼴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로 오히려 인식률이 떨어질 수 ... ...
- Part 2. 현대 수학의 보물, 그로텐디크의 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원했습니다. 말구아르: 제게 미공개 연구 자료를 모두 주셨을 때, 그 양이 아주 많아 컴퓨터에 입력하려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릴 것으로 예상했어요. 그래서 원본 그대로 스캔해 모두 올렸지요. 그중에는 이미 알려져 있던 내용도 있지만, 완전히 새로운 내용도 많습니다. 많은 사람과 그의 업적을 ... ...
- [과학뉴스] 인공지능, 영화 속 성별 편향 발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캐릭터의 성별 편향이 심각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예진 미국 워싱턴대 폴앨런 컴퓨터과학및공학대 교수팀은 기계학습 기반의 인공지능으로 영화 800여 편의 스크립트 속 언어를 분석하고 각 캐릭터에 얼마나 많은 힘과 정보가 제공되는지 정량화했다. 분석 결과, 영화가 성 고정관념을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사흘 만에 학습시키는 것이 가능해졌다. 많은 사람들이 최근의 인공지능은 고성능 컴퓨터와 데이터만 많으면 완성된다고 여기고 있는데, 알파고 제로의 핵심은 이처럼 그 둘이 배제된 알고리즘에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열었다고 볼 수 있다. 인공지능 핵심은 알고리즘알파고 제로에 ... ...
- [Career] 원자로 안전 책임질 설계 프로그램 ‘맥카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있지만, 우리는 몬테카를로 기법을 이용해 k값과 시간에 따른 중성자의 상태를 예측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몬테카를로 기법은 난수를 이용해 특정 함수의 값을 확률적으로 계산해 내는 수치 해석 방식이다. 주사위를 많이 던져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과 비슷하다는 뜻에서 ...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가장 빠른 기상청 슈퍼컴퓨터와 비교하면 연산 속도가 약 50% 수준이며, 세계 슈퍼컴퓨터 순위 500위 안에 3번이나 등재됐다. 20년 가까이 단백질을 연구하면서 장 교수는 뇌 조직에 찌꺼기처럼 쌓여서 치매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형성되는지를 밝히는 등 중요한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식으로 이뤄졌습니다. 약 5000줄 정도의 C++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컴퓨터로 증명했지요. 컴퓨터의 도움을 받지 않고 이 증명을 할 수 있는지는 아직 모릅니다. 더 쉬운 문제긴 하지만, 왜 이런 무늬의 수가 유한 개뿐인지를 간단하게 증명할 수 있는지도 흥미로운 미해결 문제입니다. 볼록오각형 ... ...
- [과학뉴스] 격자로 알루미늄 접어 소음 차단벽 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접는 방식에 따라 원기둥 간의 거리와 각도가 달라지는 소음 차단벽을 만든 것이다.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7분의 1 축소 모형 실험 결과, 새롭게 개발한 소음 차단벽은 접는 방식에 따라 소음 차단 효과가 달랐다. 공저자인 콘 웰 왕박사는 “격자 구조에 따라 잘 차단할 수 있는 소음의 주파수를 ... ...
- [Future] ‘부정맥 모음곡’으로 부정맥 조기 진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렇게 세 연구원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우리는 부정맥 환자의 심전도 데이터를 모으고, 컴퓨터를 이용해 이 데이터에 있는 심박을 추출한 뒤 박자에 따라 음표를 그렸습니다. 그런 다음 부정맥이 나타나는 부분의 리듬을 조금씩 바꿔 이어붙이면서, 이와 동일하거나 비슷한 리듬 패턴을 가진 ... ...
- [수학뉴스] 오각형 테셀레이션 하는 방법은 오직 15가지!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수가 나왔습니다. 그리고 어떤 경우든 이미 밝혀진 15가지 방법 중 하나에 속한다는 것을 컴퓨터로 밝혔지요. 1918년 독일 수학자 칼 라인하르트가 최초로 5가지 방법을 찾은 이래 2015년까지 총 15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었거든요. 이제 더 이상 볼록 오각형 테셀레이션의 새로운 방법을 찾겠다고 매달릴 ...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