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쑥쓰럽군, 허허~. 내가 살던 19세기 말에는 전기 그 자체가 신기한 존재였다네. 그런데 21세기에는 더 신기하고 재미있는 ‘발전’, 즉 전기를 만드는 방법이 그렇게 많다며? 그 중에서 내 후계자가 될 만한 정말 놀라운 전기가 있는지 한 번 찾아 보기로 했네. 다들 같이 보지 않겠나?공기방울이 퐁퐁, ... ...
- [지식] 진단, 나 너 믿어도 돼?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받는다!의사가 최소한의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하는 데는 확률이 도움이 된다. 16세기 영국의 수학자 토마스 베이즈가 발표한 ‘베이즈 이론’은 새로운 사실이 발견됐을 때 어떤 사건이 일어날 확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려준다. 이 이론은 1950년대부터 의사가 질병을 진단하는 데 쓰였다. ...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것이다. ‘계산해 보자’고 하면 될 일이다.”중세 암흑기를 벗어나 이성이 꽃을 피운 17세기.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는 사상을 전개하는 데 일상에서 쓰는 말보다 수학 같은 추상적인 기호가 더 낫다고 여겼다. 특히 단어를 기호로 바꾸는 수준을 넘어 기호를 조합해 새로운 ...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그의 연구는 이후 광섬유의 개발을 가속화시켰다. 카오의 노벨상 강연 제목 ‘수 세기 전 과거로부터 온 모래, 미래의 목소리를 빠르게 전송한다(Sand from Centuries Past: Send Future Voices Fast)’처럼, 모래의 주성분인 이산화규소로 전세계를 연결하는 광섬유의 시대를 연 것이다.광섬유를 개발하고 몇 ... ...
- 광장에 몇 명 모였나? WIFI로 센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없는 사람의 숫자도 셀 수 있는 게 장점”이라며 “집에 있는 사람 수에 따라 난방 세기를 조절하는 스마트 주택 기술이나, 재난 발생 시 구조 활동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지식] 근의 공식과 평양냉면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비장의 무기◀ 타르탈리아의 초상. 가난과 장애를 극복한 굳은 의지가 느껴집니다.16세기 유럽의 수학자는 승부사였습니다. 마치 격투기처럼 수학 문제로 결투를 벌였죠. 얼마나 치열했던지 ‘수학승부’가 진짜 몸싸움으로 번지는 일도 잦았습니다. 승자는 부와 명예를 거머쥐었지만, 패자는 야유 ... ...
- 18년 만의 슈퍼 엘니뇨 강타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적도 부근 태평양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태풍이 뜨거운 해상에 오래 머물면 태풍의 세기가 세지고 활동 기간도 길어진다.하지만 이 때문에 한반도를 강타하는 태풍의 개수는 오히려 감소할 수 있다. 발생 위치가 오른쪽으로 치우치면서 우리나라보다는 일본으로 진로를 틀 가능성이 높아지기 ... ...
- [Life & Tech] 전자 하나의 전류도 측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전자가 이동하기 때문에 흐른다. 그렇다면 1 A는 ‘이만큼 많은 전자가 흘렀을 때 전류의 세기’라고 간단하게 정의할 수는 없는 걸까. 아쉽지만 그럴 수 없었다. 전자 하나가 흘러갈 때 얼마나 약한 전류가 흐르는지 도대체 측정할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전류를 다루는 표준과학자들은 미터같이 ... ...
- Part 2 번개 사냥의 수학수학동아 l2015년 07호
- 통해 지구의 평균 기온이 1℃ 올라갈 때마다 번개가 약 12%씩 잦아진다고 밝혔다. 또 이번 세기 말까지 지구의 평균 기온은 4℃ 가량 올라가며, 번개도 약 50% 많아질 거라고 예상했다. 나이지리아 물리학자 모세 이미티어 박사 연구팀은 신속하게 번개를 예측하는 방법을 수학적으로 찾아내 지난 2014년 ... ...
- 존 내쉬, 영화처럼 잠들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두고 있다. 이 논문에서 그는 ‘내쉬 평형’이라는 개념을 제안했다. ‘게임이론’이 20세기에 미친 영향력은 심대하다. 게임이론 연구자가 받은 노벨경제학상이 모두 10개나 되니, 우리가 체감하는 것보다 그 영향력이 더 큰 셈이다.현대 게임이론은 존 폰 노이만의 연구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는 게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