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분명 같은 DNA인데…발생학자들의 고민은 분자생물학자들보다 먼저 시작됐다. 19세기 발생학자들은 발생과 관련된 정보들이 어떻게 저장돼 있는지를 두고 전성설(preformation)과 후성발생(epigenesis)으로 의견이 갈렸다. 전성설 지지자들은 성인에 필요한 세포가 생식세포에 처음부터 만들어져 있고 ... ...
- 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고추장과 같이 간단한 음식에도 강렬하고 진한 맛을 느끼고 서술하는 경향이 있었다. 18세기는 오늘날 만큼이나 탐식의 전성시대였던 셈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대한민국을 지지고 볶는 탐식 열풍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Part 2. 탐식에 빠진 TV : 쿡방, ... ...
- ‘펜타쿼크’ 반세기 만에 발견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신의 입자’ 힉스를 발견한 유럽입자물리 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 실험에서 ‘펜타쿼크(pentaquark)’라는 새로운 종류의 입자가 발견됐다. 보통 입자들은 2개나 3개의 쿼크로 구성된다. 원자핵을 구성하는 양성자나 중성자 같은 중입자(baryon)는 3개의 쿼크로, 파이온과 케이온 등 중간자 ... ...
- 수학으로 그리는 생명의 나뭇가지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바뀌었는데, 이제 수리 생물학이라는 여섯 번째 혁명을 눈 앞에 두고 있다. 저자는 “22세기가 되기 전까지, 수학과 생물학은 서로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변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과연 그의 말이 실현될까? 수학과 생물학의 흥미진진한 ‘밀당’을 지켜보자 ... ...
- [지식] 진단, 나 너 믿어도 돼?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받는다!의사가 최소한의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하는 데는 확률이 도움이 된다. 16세기 영국의 수학자 토마스 베이즈가 발표한 ‘베이즈 이론’은 새로운 사실이 발견됐을 때 어떤 사건이 일어날 확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려준다. 이 이론은 1950년대부터 의사가 질병을 진단하는 데 쓰였다. ... ...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두 점을 지나는 선분을 그려 구합니다. 아르키메데스가 도형을 잘게 쪼개 계산했듯이, 16세기 수학자들은 구하고자 하는 점과 ‘매우 가까운’ 한 점을 택해 기울기를 구하고자 했습니다. 하지만 둘 사이가 가까워질수록 거리가 0에 수렴하기 때문에 계산이 쉽지 않았습니다. 수학자들의 노력은 계속 ... ...
-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현상금은 최고급 포도주 600병!모사사우루스의 존재가 처음 확인된 것은 18세기 중반, 유럽에서였다. 1764년, 다양한 해양생물의 화석이 발견되던 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 지역의 한 백악(白堊) 채석장에서 거대한 머리뼈 화석이 발견됐다. 이 화석을 연구한 과학자 마르티누스 판 마룸은 이 거대한 ...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쑥쓰럽군, 허허~. 내가 살던 19세기 말에는 전기 그 자체가 신기한 존재였다네. 그런데 21세기에는 더 신기하고 재미있는 ‘발전’, 즉 전기를 만드는 방법이 그렇게 많다며? 그 중에서 내 후계자가 될 만한 정말 놀라운 전기가 있는지 한 번 찾아 보기로 했네. 다들 같이 보지 않겠나?공기방울이 퐁퐁, ... ...
- 중력파 검출, 초읽기 들어가나?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감도는 10배 높아졌다.귀가 밝은 사람만이 멀리서 나는 약한 소리도 들을 수 있다. 파동의 세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검출 감도가 10배 좋아진 라이고는 X, Y, Z축으로 각각 10배씩, 총 1000배 넓은 영역을 탐사할 수 있게 된다. 우주에서 중성자별과 블랙홀로 이뤄진 쌍성계가 합쳐질 때 ... ...
- 바닷속 경주에서 만난 수중 고고학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실측 작업은 선박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측량작업이다. 최첨단 기술이 발전한 21세기에도 사람의 손길이 필요한 걸까. “사이드 스캔 소너(측면주사음파탐지기)나 다중빔음향측심기와 같이 음파를 이용해 지형을 그리는 탐사 기법도 있어요. 하지만 선박은 단 몇 cm의 오차만 나도 배의 모양이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