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풍미
향미
미각
향기
정취
경험
d라이브러리
"
맛
"(으)로 총 1,576건 검색되었습니다.
2. 나는 인터넷을 얼마나 좋아하나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한다는 강박관념에 시달리느냐는 질문에 ‘네’라고 대답했다면 당신은 이미 인터넷에
맛
을 들리기 시작한 것이다.피츠버그 대학의 킴벌리 영 교수는 웹에 ‘온라인 중독센터’ 를 개설하고 인터넷 중독증을 보이는 사람들의 상담역을 맡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통신서비스 동호회 시솝이 ... ...
1. 피라미드가 에너지를 모은다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정신력을 높이고 안정시킨다.■ 물을 정화시킨다.■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킨다.■ 음식
맛
을 변화시킨다.이상의 결과를 보면 피라미드는 우주의 어떤 에너지를 내부로 응축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 분명하다. 1979년 미국의 넬슨박사 부부는 키를리안 사진기를 이용해 실험실에서 모형 피라미드를 ... ...
1. 먹거리의 대차대조표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것들을 찾아보기 힘들다. 현재 사용되는 식품첨가제는 3천여종. 영양 강화용에서부터
맛
을 좋게 하거나 색깔을 좋게 하기 위해, 부패와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하지만 이것들이 인체에 들어가 다른 여러가지 나쁜 작용을 하는 것을 막기 위해 그 허용량을 정하는데, 그 과정은 무척이나 ... ...
기름기 음식 냄새만 맡아도 심장병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씹게 한 집단에 비해 혈액 내 지방산 농도는 65%나 많았다.매츠박사는 고지방성 음식의
맛
과 향기가 캡슐에 든 식물성 기름이 혈관으로 흡수되는 과정을 촉진시켰다고 말했다. 하지만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불명확한 상태다. 그는 몇 년 전 필라델피아의 모넬화학감성센터에서 쥐를 대상으로 행한 ... ...
3.
맛
좋고 키 큰 콩나물 기르려면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그렇다면 가게에서 검은 천으로 덮어놓는 것은 크게 자라는 것보다 노란 떡잎을 가진
맛
있는 콩나물을 만들기 위해서겠지. 그럼 마지막으로 온도에 따라 콩나물의 길이가 어떻게 달랐는지 토론해 보자. 우리는 모두 상온에서 콩나물이 가장 잘 자란다고 가설을 세웠어.미선) 그것도 맞는 가설인 것 ... ...
1. 소화효과 각양각색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같은 첨가제들이 들어 있었다. 알약의 성분에는 호르몬과 소화촉진제 등이, 물약에는
맛
을 부드럽게 해주는 것들이 공통으로 쓰였다.그러나 우리들은 이 실험을 하면서 몇가지 문제점을 드러냈다.첫째 소화제가 소화 이외에 다른 효소나 호르몬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지 못했다.둘째 지방 실험은 ... ...
왜 양약과 한약으로 나눠졌을까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약효와 관계있으며 약이 작용하는 신체의 일부와 관련돼 있다고 여긴다.서양에서도
맛
과 약효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영국의 유명한 의사 위더링은 1785년 디기탈리스의 수종(水腫)치료 효과를 발표한 책에 “식물의 형태, 색깔,
맛
, 냄새는 그 식물로 치료할 병에 대한 효과와 전혀 관련이 ... ...
은하수는 식초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매디슨에서 열린 미국천문학회에서는 이색 보고가 있었다. 은하수가 신
맛
을 가지고 있다는 것. 전파망원경으로 은하수를 관측해 온 과학자들이 은하수가 초산(식초)으로 이뤄졌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우리은하의 중심에 위치한 사수자리 B2는 거대한 가스구름이다. 이 곳에서 초산(acetic acid ... ...
능란한 화술, 지능적 의사소통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집에서 다른 일개미를 만나면 우선 자기가 물고 온 먹이를 시식하게 해준다. 먹이의
맛
을 보고 자극을 받은 다른 일개미는 곧바로 냄새길을 따라 먹이가 있는 곳으로 향한다.개미가 냄새길을 그릴 때 사용하는 화학물질은 일종의 페르몬(pheromone)이다. 개미가 만드는 페르몬의 종류는 무척 다양하다. ... ...
3. 날씬해지는 행동요법5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성인병을 예방하기 위해 '머리로 먹읍시다' 라고 강조한다. 외부로부터 여러 정보(냄새
맛
색깔 등)에 유혹되지 말고 먹는 양을 의지력으로 조절하자는 것이다.그러나 머리로 먹는다는 것을 잘못 이해하면 거식증을 유발한다. 거식증 환자의 경우 '먹으면 안된다' 는 강한 의지가 식욕 본능을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