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주제로 강연할 예정이다. 사실 대중에게 뇌공학이라는 분야는 낯설다. 그는 “뇌공학자들의 연구실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앞으로 미래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함께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질 계획”이라고 말했다 ... ...
- 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창의적이고 재미있는 일을 하고 싶어서 게임 개발자가 됐다. 게임 개발자 중에는 컴퓨터공학이나 미술 전공을 한 사람이 많다. 하지만 나처럼 다른 분야를 전공하더라도 게임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실제로 듀랑고 세계를 현실과 비슷하게 구현하는 과정에서 전공 지식이 도움이 됐다. 또 ... ...
- [Career]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2018, 미래 노벨상 인재들의 기발한 아이디어 열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챌린지 대회부터 심사위원을 맡았고 올해는 운영위원장을 맡은 김은기 인하대 생명공학과 교수는 “보기 그럴듯한 아이디어보다는 기발하고 신선한 아이디어를 중요하게 여기고, 완성도보다는 가능성을 본다”며 “전문가 흉내를 내기 보다는 자신의 역량 안에서 최선을 다해주길 기대한다”고 ... ...
- [Issue] 빅데이터 하나로 미래 도시 탈바꿈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hongsikjeong@tsinghua.edu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연애 기술이다. 학문에도 밀당이 있다면, 화학은 밀당을 가장 잘 하는 학문이 아닐까.생명공학 박사 출신인 저자는 화학을 ‘밀당의 고수’이자, 자연의 규칙과 예외가 고스란히 녹아 있는 매력덩어리라고 표현한다. 하나의 원리를 통해 이제 조금 알겠다고 생각하는 순간, 어김없이 예외의 경우가 ...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느낀 것들을 통해 진로를 정할 수 있었다. 그는 “비록 실패했던 것이라도 조선해양공학으로 진로를 정하는 과정에서 했던 다양한 활동을 자기소개서에 적었다”고 말했다. 가령 이 씨는 친구들과 에어컨 바람을 분산시키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는데, 고등학생 수준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라는 ... ...
- Part 5. 수학으로 새 옷 입은 초고층건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가장 좋은 설계안을 선택하면 된다. 스트라우토 개발을 주도한 김치경 단국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자유로운 모양의 초고층건물을 설계할 때, 설계 변수가 구조와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예측하기가 어렵다”며, “그래서 설계안을 많이 만든 뒤 최적의 설계안을 찾는 방식을 써야 한다”고 ... ...
- [수학공작실] 빨대로 만드는 정사면체 복합체수학동아 l2018년 07호
- 3개 째의 정사면체를 결합할 때 포기합니다. 그런데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인공지능 연구소의 재커리 아벨은 재미있는 방법으로 이를 해결했습니다. 바로 빨대를 이용한 것이지요. 아벨의 방법을 이용해 정사면체-5개-복합체를 만들어 봅시다 ... ...
- [서울대 공대] 조선해양공학과, 72년의 역사 ‘세계 최고’의 자부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세계에서 최고 수준”이라며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에 진학해 세계를 선도하는 조선해양공학연구자의 전통을 계속 이어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
- Intro. 수학으로 쌓아올린 미래도시, 초고층건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멀리서 보면 얼핏 땅바닥에 꽂힌 가느다란 막대기처럼 보이는 초고층건물. 하늘을 찌를 듯이 높이 솟아있는 건물이 어떻게 똑바로 서 있는 걸까? 안전하기는 한 걸까? 혹시 대기권을 넘어 우주까지 높이 지을 수는 없는 걸까? 초고층건물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해결하고,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