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째로 뒤집어라! 콰트레인먼트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사각형 보드 위에서 하는 게임이기 때문입니다. 콰트레인먼트는 1984년 미국의 소프트웨어공학자 숀 퍼켓이 ‘계산!’이라는 잡지에 처음 소개하면서 유명해졌고, 1988년에 미국 데이턴대학교 수학과 교수인 톰 간트너가 수학적으로 분석해 해법을 찾아냈어요. 콰트레인먼트를 즐기려면 우선 16칸 ... ...
- [Issue] 애벌레로 비닐봉지 분해, 플라스틱 라이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교수팀은 옥수수나 나무, 풀 등 재생 가능한 재료로 부타디엔을 합성하는데 성공해 화학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지속 가능한 화학 및 공학(sustainable chemistry and engineering)’ 2017년 4월 2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doi: 10.1021/acssuschemeng.7b00745연구팀은 식물에서 자일 ...
- Part 4. 게임의 미래 책임질 인공지능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지식이 다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전공이 다양하다.어떻게 게임 개발자가 됐나컴퓨터공학을 전공했기 때문에 처음에는 IT 관련 기업에서 일을 할 계획이었다. 그런데 게임 회사 특유의 자유로운 분위기에 매료돼 결국 게임 개발자가 됐다. 이런 분위기에서 창의적이고 환상적인 게임이 탄생할 수 ... ...
- [Future] 줄었다 늘었다 자유자재, 이런 컵 슬리브는 처음이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있던 두 연구원의 동공이 미세하게 떨렸다. 이초희 KIST 인턴연구원, 오제훈 서울대 재료공학과 연구원(석.박사통합과정)과 ‘과학동아-KIST 4D 프린팅 프로젝트’가 시작되던 순간이다. 아디다스도 4D 프린팅으로 운동화를 만들었는데, 우리도 한번 해보자. 문제는 7월호 마감까지 3주라는 빠듯한 ...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못하고 소자 내에서 흡수돼 손실되기 때문입니다. 필자가 속한 윤의준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팀은 수십 나노미터 두께의 얇은 알루미나 박막을 활용해 속이 비어 있는 구조물을 삽입한 사파이어 기판을 개발했습니다. 이를 통해 질화갈륨 층의 결정성을 향상시키고, 기판이 휘는 현상을 ... ...
- Part 1. 피라미드는 초고층건물일까?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지상 123층, 높이 555m의 마천루. 국내에서는 1번째, 세계에서는 5번째로 높은 초고층건물 롯데월드타워의 전망대로 가기 위해 엘리베이터에 올랐다. 엘리베이터가 분당 480m의 속도로 빠르게 위로 솟구치자 가슴이 두근거렸다. 어느새 도착한 123층에서 본 서울의 풍경은 지금까지 봤던 서울과는 사뭇 ... ...
- Part 3. 지진으로 인한 ‘공진’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놀랍게도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주택, 학교, 아파트, 초고층건물 같은 모든 건물은 고유한 주기로 계속 흔들리고 있다. 흔들리는 범위가 아주 크지 않게 만들었기 때문에 느끼지 못할 뿐이다. 이렇게 건물이 흔들리는 건 평소에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지진이 일어나면 얘기가 달라진다. ... ...
- Part 6.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물의 끝은?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초고층건물은 꾸준히 진화하고 있다. 이볼로 2018 미래 초고층건물 아이디어 공모전에 선정된 작품도 당장은 힘들더라도 충분히 실현될 가능성이 있다. 정 센터장은 “SF에 나오는 여러 디자인이 결국 실현되는 것처럼, 이 공모전은 미래 건축의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준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
- 그는 건물에 무사히 닿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스카이스크래퍼도 그들의 레이더망을 벗어날 수 없었어요. 미국 플로리다대학교에서 공학을 전공한 한 트위터 이용자(아이디 @ChristianBedwel)는 포스터에 의문을 품고 소여가 얼마나 빨리 달려야 건물에 닿을 수 있는지 계산했어요. 드웨인 존슨의 키를 이용해 계산에 필요한 거리를 알아내고, ... ...
- [과학뉴스] 1분에 뉴클레오티드 200개 연결, DNA 초고속 합성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미국 과학자들이 효소를 이용해 기존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DNA를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지금까지는 폴리에틸렌 수지 같은 고체상에서 DNA를 합성했는데 ... 차단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생명공학’ 6월 18일자에 실렸다. doi:10.1038/Nbt.417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