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개성만점 수상자들수학동아 l2018년 09호
- Q 재미있는 연구를 발굴하는 노하우가 있다면? 수학뿐 아니라 산업 현장에 가거나 공학 분야를 공부해보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는 게 좋다고 생각해요. 저 역시 그렇게 했지요. NG! 숏터뷰 뒷이야기김 기자도 모든 수상자를 취재할 순 없었다! 수상자 중 취재에 실패한 두 명의 필즈상 ... ...
- [과학뉴스] 세균으로 충전하는 종이배터리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방출된 전자를 모아 전기를 만들 수 있다.최석현 미국 빙엄턴 뉴욕주립대 생체전자공학및미세시스템연구소장은 오염을 감지하거나 질병을 진단하는 일회용 종이 바이오센서를 개발한 바 있다. 그가 이끄는 연구팀은 이 바이오센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력을 공급하면서도 바이오센서와 잘 ... ...
- [Future] 운전자여, 잠에서 깨어나라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변화, 또는 심전도 등의 인체 상태를 파악해 졸음 여부를 판단한다. 백문기 충남대 컴퓨터공학과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연구실 박사과정 연구원은 “제대로 된 DSM 연구는 인공지능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기 시작한 2010년에야 시작됐다”고 말했다.DSM이 인공지능 기술과 ‘세트’처럼 묶이는 이유는 ... ...
- 중앙대 중앙사랑장학생 박준우 - “실수와 실패가 합격의 지름길”과학동아 l2018년 09호
- 큰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동아리 활동을 통해 소프트웨어와 컴퓨터공학 전반에 걸쳐 폭넓게 배우려고 노력했다. 박 씨는 “한 종류의 프로그램만 다루기보다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려고 노력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그는 고교 시절 역대 모의고사 및 수능 문제와 정답을 빠르게 ... ...
- [과학뉴스] 그리기만 해도 빛이? 연필로 그리는 배터리 발명!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진짜 불빛이 나오고 있어요. 어떻게 된 일일까요? 이 그림의 비밀은 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이상영 교수팀이 개발한 ‘연필로 그리는 배터리’에 있답니다. 연필로 그리는 배터리의 원리는 무엇일까요? 먼저 종이 위에 전도성 펜으로 배터리를 그려요. 전도성 펜은 전선 없이 전기가 흐르는 회로를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소프트로봇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주셨답니다. # 기자단 친구들은 이번 취재에서 다양한 모양의 로봇들을 보며 로봇 공학자의 꿈을 키울 수 있었어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은 어떤 로봇을 만들고 싶은가요? 주변의 물건들을 관찰하며 신기하고 특이한 로봇을 상상해 보세요 ... ...
- [과학뉴스] 항생제 없이 박테리아의 바이오필름 제거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바이오필름 형성에 필요한 유전자 발현을 억제한다. 연구를 주도한 최종훈 중앙대 융합공학부 교수는 “박테리아만 선별적으로 사멸할 수 있다”며 “항생제 내성이 있는 슈퍼박테리아도 공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스케일’ 7월 2일자에 게재됐다.doi:10.1039/C8NR0276 ... ...
- [Career] ‘하버드 공대 공부벌레들’과의 2주일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해수배터리. 지도는 서 교수가 맡았다. 참가자들에게는 김영식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이 교육용으로 제작한 3200밀리암페어시(mAh) 용량의 해수배터리 키트가 주어졌다.참가자들이 만든 해수배터리는 바닷물(양극)과 나트륨(음극)으로 구성돼 있다. 음극에 사용된 나트륨은 원래 금속인데, ... ...
- Intro. 200년만의 환생, 프랑켄슈타인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프랑켄슈타인’에서는 그야말로 소설 같은 일이었지만 지금은 아니다. 의학과 생체공학 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했다. “그러니 여보, 조금만 기다려. 내가 다시 살아 움직이게 해줄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200년만의 환생, 프랑켄슈타인[팔과 다리 만들기] 팔 이식, 전자의수 ... ...
- [Origin] 이런, 다이아몬드 같지 않은 나노 다이아몬드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특징이 나노 다이아몬드에서 확인됐습니다.” 펭 딩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부 특훈교수팀은 공동연구를 통해 다이아몬드답지 않은 다이아몬드의 특징을 새롭게 규명하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4월 20일자에 그 결과를 발표했다. 불변의 상징인 다이아몬드가 나노 세계에서는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