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저
높낮이
해발
고도
마루높이
마루
처마높이
d라이브러리
"
높이
"(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뻥! 지구에 거대한 구멍이 뚫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가 봐야겠어! 작년 7월, 갑자기 땅이 무너지면서 과테말라시 한가운데 20층 건물
높이
만 한 구멍이 생겼다. 그 곳에 있었던 3층 건물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정부는 도시 개발로 지하수가 말라 지반이 무너져 내린 것이라고 밝혔다. 과테말라시에서는 2007년 4월에도 깊이가 100m나 되는 구멍이 ... ...
과학으로 하이킥! 애니메이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하지만 포는 용의 전사인 만큼 더 특별해야 하지 않을까? 점프를 할 때도 실제보다
높이
뛰어야 동작이 더 화려해 보일 테니까. 현실 세계와 똑같이 움직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현실을 넘어 더 크고 화려하게 움직일 필요가 있단다.그동안 저희는 포가 새로운 모습을 어떻게 보여 줄 수 있는지 ... ...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물이 뿜어지는데, 노즐의 지름에 따라 압력이 조절되고 노즐과 지면의 각도로 분수의
높이
가 결정된다. 이것이 조화를 이루면 물줄기들은 아름다운 포물선을 그리며 사람들에게 시원함과 황홀함을 선사한다. 이번 기회에 우리 주변에 숨 쉬고 있는 포물선을 찾아보는 건 어떨까 ... ...
바다를 품은 영재교육의 장, 군산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원리와 파도의 움직임을 배운 뒤에는 직접 측정 기구를 가지고 바다로 가서 파도의
높이
와 속도를 측정한다.바닷물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플랑크톤과 같은 해양생물을 공부할 수 있다. 바닷물의 풍화와 침식현상에 대한 강의는 바닷가의 울퉁불퉁한 바위 위에 서서 듣는다. 갯벌 생태계를 ... ...
펜보다 키보드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따라 키보드의 기울기를 적당히 조절하면 손목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키보드를 눈
높이
로 올려서 보면 대부분의 키는 손가락이 쏙 들어가도록 오목하게 생겼다. 하지만 맨 아래의 스페이스 바는 볼록하다. 엄지손가락으로 누르기 쉽도록 만든 것이다. 같은 이유로 맨 아래 열의 키 전체를 ... ...
직접 만드는 롤러코스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준비했다. 완성품의 덩치가 커서 좋다. 사용자가 어떻게 만드느냐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높이
2m의 롤러코스터도 거뜬히 만들 수 있다.시중에 나온 제품 중에서 가장 큰 것으로, 전시용으로도 훌륭하다. 유연성 좋은 스티로폼 줄이 레일이 되고, 수수깡은 롤러코스터를 지지하는 기둥 역할을 한다. ... ...
통계 휘어잡기!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이처럼 수학은 기본기를 갖출수록 블록을 차곡차곡 쌓는 것처럼 안정적으로 더욱
높이
올라갈 수 있답니다.또한 넘치는 자료에 휘둘리지 않고 통계를 휘어잡으려면 각각의 용어를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해요. 각각의 자료가 어떤 용도로 쓰이는지도 반드시 알아야 하죠. 예를 들어 도수분포표는 ... ...
PART 1. 산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위에서 보고 바둑판 모양의 격자를 그린 뒤 각각의 격자에서 다음 격자로 이동할 때
높이
차이가 가장 큰 쪽의 격자(즉 경사가 가장 급한 방향)를 선택한다고 단순하게 가정한다(38쪽 위 그림 참조). 기울기가 급한 방향으로 토석류가 흘러간다는 발상으로 얼핏 당연해 보인다.하지만 경사 차이가 크지 ... ...
‘월하정인’에 뜬 눈썹 달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등장인물들의 복장이 너무 두툼하다”거나 “삼경이면 달이 남중고도(달이 가장
높이
떠 있는
높이
)에 있을 때인데 너무 낮게 떠 있다”는 식의 의문을 제기했다.일부 전문가들도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천문학을 전공한 한 전문가는 “신윤복이 달을 똑같이 그렸다는 전제부터가 오류”라며 ... ...
해양관측 바다를 보면 OO 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종합해양과학기지위치 제주도 남서쪽 바다에 위치한 이어도설치 시점 2003년 완공규모
높이
76m(수중 40m, 수상 36m), 면적 약 1300㎡우리나라에 오는 태풍의 대부분은 이어도를 통과해 와요.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는 2004년 여름에 연속해서 온 태풍 4개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기상청에 제공했지요.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