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높이"(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 돌돌이, 너는 내 운명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생활해야 했다. 주말에 청계천에 나가 파충류 사육장을 사왔다. 가로 60cm, 세로 45cm, 높이 45cm 크기로 돌돌이가 슬슬 기어 다니기에 적당했다. 바닥에는 물에 적신바크(나무껍질을 잘게 조각낸 것)를 깔아줬다. 폭신폭신한 느낌을 주기에도 그만이지만 습도를 맞추는 기능도 있다. 여기에 하루 한 번씩 ... ...
- 투명 인간 '보이눙게 업시옹'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2호
- 120㎝×120㎝÷2=7200㎠사각형의 넓이 : 밑변×높이= 85㎝×85㎝=7225㎠평행사변형의 넓이 : 밑변×높이= 85㎝×85cm=7225㎠3. 출동~! 투명인간 스텔스기 드디어 레이더에 잡히지 않는 스텔스기가 개발됐다.“레이더파를 난반사시키기 위해 새로 설계했습니다.”“적외선을 줄이기 위해 엔진 배기구를 특수 ... ...
- 마트와 적립카드, 수학으로 엮인 사연은?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많이 팔렸으며, 눈높이보다 낮거나 높은 위치에 있으면 덜 팔렸다. 그래서 가게에선 눈높이에 가장 이득을 많이 볼 수 있는 상품을 둔다.이런 쇼핑몰에 적용된 과학도 점차 변하고 있다. 쇼핑몰에 바깥이 시원하게 보이는 쾌적한 공간을 제공하고 놀이공간과 식당을 적절히 배치하는 식이다. ... ...
- 태국 남 뚜엄(홍수), 수학을 알았더라면?수학동아 l2011년 12호
- 태국에서 홍수가 났다. 조금 먼 얘기지만 우리 생활에 큰 영향을 끼쳤다. 10월말 갑자기 하드디스크 값이 두 배 이상 올랐고 덩달아 컴퓨터 가격도 올라갔다. 원인은 ... 태국에서 자주 일어나는 남 뚜엄을 막는 비결은 바로 수학에 있다.*만조는 밀물이 가장 높이 들어오는 현상을 말한다 ... ...
- 로마 성 베드로 광장에서 햇빛으로 만든 달력을 찾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θ = 90°-(남중고도)일때, tanθ의 값에 100을 곱해 정수로 만든 값이다.① 1년 중 해가 가장 높이 뜨는 하지일 때 100×tan(90°-71.3°)≒34② 1년 중 해가 가장 낮게 뜨는 동지일 때 100×tan(90°-24.4°)≒220따라서 성당 바닥의 자오선에는 34부터 220까지 숫자가 기록돼 있다. θ의 값은 20부터 65까 ...
- [수학클리닉] 삼각비 정복하기!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시작한 건물의 높이이므로, 실제 높이는 삼각비로 계산한 높이(h)에 측정자의 눈높이(b)를 더해야 해요.삼각비는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들이 처음 연구했어요. 그들은 두 별 사이의 거리를 정확히 측정하는 일에 집중했는데, 이 때 삼각비를 활용한 거예요. 모든 별들이 하나의 구면 위에 높여 ... ...
- 발도 튼튼! 몸도 튼튼 ! 신발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정말 과학적인 연구로 만들어진 신발이 효과가 있긴 하군요? 그런데 혹시 빨리 달리거나, 높이 뛰는 데 도움을 주는 신발은 없을까요? 저랑 깡통 로봇, 사자와 허수아비는 여행 중에 위험한 일을 겪을 때가 많거든요~.도로시 님의 여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신발이 있어요! 바로 다양한 과학 기술이 ... ...
- 서커스 최고 스타, 저글링에 도전하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안 했거든요. 하지만 아직 희망을 버리진 않았어요. 멋진 묘기를 볼 수 있는 수, 즉 공을 높이 던져야 하는 적당한 횟수를 찾는 중이랍니다."저글링하면 머리가 좋아진다?“단장님, 크리스마스 공연을 위해 이제부터 연습이에요! 카푸친, 내 묘기가 어때? 멋지지? 공연 때 이 묘기를 선보이면 분명 최고 ... ...
- 성격별 수학 학습법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더우면 땀이 날까?수학자의 질문●에베레스트 산의 정상을 올라가지도 않고 어떻게 산의 높이를 알 수 있을까?●강을 건너지 않고도 어떻게 강의 폭을 알 수 있을까?●우주에 가지 않고도 어떻게 우주의 모양을 예측할 수 있을까?● 스마트폰을 개발할 때 스마트폰 버튼의 개수는 최소 몇 개까지 ... ...
- 쭉쭉 늘어나는 팔다리, 그녀의 이유 있는 변신 애니메이션 인크레더블수학동아 l2011년 11호
- 때 모든 건물과 건물 사이, 도로와 도로 사이를 실제 거리로 그리지 않는다. 건물의 높이와 건물 사이의 거리를 정확히 알지 못해도 간단한 선과 네모 몇 개면 충분하다. 아마도 그가 발걸음 수를 세며 찾아오지 않을 테니까. 이는 그녀의 초능력을 설명한 원리와 많이 닮았다. 모습은 실제와 다르게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