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저
높낮이
해발
고도
마루높이
마루
처마높이
d라이브러리
"
높이
"(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형성된다. 이 공기덩어리가 계속 상승하면 구름이 깊게 발달한다. 공기덩어리는 얼마나
높이
올라갈까. 만일 상승기류가 공기덩어리를 일정
높이
(대기의 온도가 공기덩어리의 온도보다 낮아지는 지점)까지 강제로 올려 보내면 그때부터는 공기덩어리가 자력으로 상승해 연직으로 높게 발달한 ... ...
고양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볼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받아 위로 올라가며 기둥을 형성한다. 그러나 우유 기둥은 그릇에 담긴 우유의 표면보다
높이
가 높아지기 때문에 위치에너지가 커진다. 그 결과 중력을 받아 다시 밑으로 내려오는 것. 검지 끝을 물에 대고 들어 올리면 물이 딸려 올라오다 곧바로 다시 떨어지는 것과 같은 이치다.고양이가 이런 ... ...
“20년 꿈을 달나라로 쏘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한국 최초의 액체추진로켓이다. 1997년말부터 개발이 시작돼 약 4년간 연구개발을 거쳤다.
높이
14m 정도로 나로호의 절반도 안 되는 크기지만 로켓의 자세제어기술, 로켓 상단부를 열고 위성을 내 보내는 ‘페어링’ 기술도 모두 이 당시 개발했다. 항우연 측은 “KSR-III를 개발해 본 경험이 소형 ... ...
고집쟁이 고고학자 '깐까나게 고르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부피가 가장 비슷한 측우기는 어떤 걸까?”문제 2업새블라가 가지고 있는 측우기는
높이
30㎝, 지름 14㎝인 원통이다. 여기 놓인 측우기 중 가장 비슷한 부피를 가진 것은 어떤 걸까?(단, 원주율은 3.14로 계산하고, 금속 두께는 무시한다. 또, 1000㎤=1ℓ이다.) 정확하게 9ℓ만 담아라“으으윽~, 정말 잘 ... ...
Part 3. 과학이 만든 '착한 토네이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어디에 있을까. 독일 슈투트가르트의 메르세데스 벤츠 박물관에 있는 인공토네이도는
높이
34.43m로 기네스북에 올랐다. 이것은 ‘세계에서 가장 든든한’ 토네이도이기도 하다. 둥근 벽을 따라 설치된 제트분출구 144개에서 강풍을 내뿜으면 단 7분 만에 토네이도가 된다. 토네이도를 이루는 공기의 ... ...
북극 빙산으로 아프리카 갈증 푼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것 같은 특수 상황에 대비해 추가 시뮬레이션을 연구하고 있다”며 “안전성과 경제성을
높이
면 빙산을 옮기는 게 결코 불가능한 일이 아닐 것”이라고 전망했다 ... ...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있다.척추동물의 진화와 눈이번에는 볼펜으로 간단한 실험을 해보자. 연필을 눈
높이
에 들고 왼쪽 눈을 감고 오른쪽 눈으로만 지우개 끝에 초점을 맞춘 다음, 눈의 방향을 고정시킨 채 연필을 서서히 오른쪽으로 움직여보자. 연필이 시선 방향으로부터 약 20° 정도 움직인 지점에 이르면 연필의 ... ...
건강한 신발 찾아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보관하라”고 조언했다. 최 원장은 “일부 남성들이 키가 커 보이기 위해 사용하는 ‘키
높이
깔창’도 발목과 종아리에 무리를 준다”면서 “자신의 발아치에 맞게 제작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매일 씻고 자주 마사지 하자과거에 비해 현대인은 많이 걷지 않는다고 하지만 하루 평균 6.5km를 ... ...
황금박쥐 아리랑5호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GPS를 이용한다. LRRA는 지상에서 송출한 레이저빔을 반사해 위성이 정확한
높이
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정확히 자기의 위치를 알고 있기 때문에 아리랑5호는 촬영하고 싶은 곳에서 정확히 촬영할 수 있다. 이런 기능들을 복합적으로 이용해 아리랑5호는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아리랑 ... ...
화산이 들썩들썩! 백두산이 폭발한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일어났다. 1959년에 이후 52년 만에 분화한 ‘기리시마’ 산 신모에 봉우리는 화산재를 3㎞
높이
까지 뿜어 올렸다. 이 때 바람을 타고 이동한 화산재와 화산 자갈 등의 분출물이 비처럼 하늘에서 쏟아지면서 사람들이 피신하고 농작물과 마을에 피해가 발생했다. 잠깐! 분화? 분출?화산에 대한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