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개를 위한 예술?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할 점입니다.”도슨 박사는 개의 행동과 인지에 대한 전문가인 미국 바너드대 심리학과 알렉산드라 호로비츠 교수의 연구를 포함해 다양한 과학적 연구결과를 읽었다고 덧붙였다. 그래서 호로비츠 교수에게도 e메일로 물었다. 개가 정말로 행복을 느끼고, 예술을 감상할 수 있느냐고.그는 “개를 ... ...
- [Career] 나의 상상력이 인류의 미래를 좌우한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구체적인 관심을 가질 기회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곽영직 수원대 물리학과 교수가 말했다. 국립과천과학관은 2014년부터 그 해 노벨상을 수상할 연구 주제를 예측하는 에세이를 쓰고 본선에서 그 내용을 발표하는 ‘노벨상 에세이 경연대회’를 개최해 왔다. 그런데 자문과 심사에 ... ...
- [과학뉴스] 까마귀도 배신자를 기억한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이 비유가 과학적으로 맞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스트리아 빈대 인지생물학과 자나 뮐러 박사팀은 까마귀가 얼마나 오랫동안 적을 기억하는지 실험했다.연구팀은 훈련된 까마귀과 레이븐 7마리에게 빵을 주고 사람이 가지고 있는 치즈와 맞바꾸도록 했다. 까마귀가 교환에 익숙해질 때쯤 ... ...
- [Origin] 그날 에드워드 뭉크는 무엇을 봤을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보곤 자연스레 그 날의 하늘을 떠올린 겁니다. 필자가 노르웨이 오슬로대 지질학과 욘 에길 크리스챤슨 교수와 노르웨이 기상연구소 외위빈드 노들리 연구원과 함께 진주구름과 뭉크의 ‘절규’를 비교 분석한 이유입니다.고도 20km에서 나타나는 희귀한 기상현상과학용어로 ‘자개구름(nacreous cloud ... ...
- Intro. 더 빠르게 더 폼나게, 수학 입은 슈퍼카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맹수의 울음소리 같은 엔진 소리와 총알 같은 스피드. 게다가 매혹적인 디자인까지 갖춘 슈퍼카는 자동차 마니아라면 꼭 한번 운전해보고싶은 꿈의 자동차다. 한계를 모르고 질주하는 폭발적인 스피드의 비결은 무엇일까? 슈퍼카를 ‘슈퍼’하게 만드는 비밀을 낱낱이 파헤친다!▼관련기사를 계속 ... ...
- 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3가지 비결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엔진 속 최적의 비율사람이 섭취한 음식은 소화기관을 거쳐 몸을 움직일 수 있는 에너지로 바뀐다. 자동차가 섭취하는 음식이 가솔린, 디젤 같은 연료 또는 전기라면 소화기관은 바로 ‘엔진’이다. 엔진은 화학, 전기에너지를 자동차 바퀴를 회전시키는 에너지로 바꾼다.소화기관이 크고 튼튼하면 ... ...
- [과학뉴스] 30만 년 전에 태어난 현생인류!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모로코 고고학및유산과학국립연구소의 압델루아헤드 벤엔서 박사, 미국 뉴욕대 인류학과 새라 베일리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모로코의 제벨 이르후 지역에서 약 30만 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추측되는 현생인류의 화석을 찾아냈다. 연구팀은 당시 현생인류가 사용했을 것으로 보이는 석기도 발견했다 ... ...
- Part 1. 얼마나 ‘슈퍼’하길래?수학동아 l2017년 07호
- 특징이다. 이런 특징이 자동차의 정체성을 완성한다.구상 국민대학교 자동차운송디자인학과 교수는 “고성능, 비싼 가격이 슈퍼카의 정체성을 만들지 않는다”며, “자동차 회사가 오랜 시간 고심해 쌓은 철학이 디자인에 들어있을 때 비로소 슈퍼카로 거듭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 ...
- [게임카페] 장애물 피해 폴짝! 런 게임 上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영화는 소재에 따라 코미디와 액션, 로맨스, 공포 등으로 장르가 나뉘어요. 영화와 달리 게임에서는 유저와 게임의 상호작용 방식에 따라 액션과 플랫포머, 퍼즐, 슈팅 게임 등으로 장르를 구분해요. 따라서 게임의 장르가 액션일 수는 있어도 코미디일 수는 없어요. 그렇다면 조작 방식 자체가 매우 ... ...
- Part 3. 사나이 가는 길을 막는 건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치료하는 게 아니라 다음 세대로 미루는 시술”이라고 말했다. 계명찬 한양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세대를 거듭하면서 체외수정으로만 아이를 낳을 수 있는 인구가 늘 수 있다”며 “그러나 이 시술은 비싸다. 이대로 가다간 돈이 많은 사람만 아이를 가질 수 있는 미래가 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