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번역"(으)로 총 2,57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수학으로 만든 전쟁 시뮬레이션수학동아 l2017년 06호
- 군대는 여러 방법으로 전쟁을 대비한다. 현대에는 가늠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예측해 수학적으로 모델링하고, 모델링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한다. 이것을 가상으로 전쟁을 벌여 훈련하는 ‘국방 M&S’라고 한다. M&S는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의 약자다.대표적인 국방 M&S는 ‘워 게임’이다. 아군과 적 ... ...
- Part 4. 전투의 비밀병기, 수학수학동아 l2017년 06호
- ◀ 전쟁 중에 물품을 조달할 때는 적 군에게 눈에 띄지 않고 안전하게 전달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전쟁 중에는 모든 상황이 시시각각 변하며 전투가 벌어지는 장소와 시간, 날씨에 따라 전쟁의 양상이 달라진다. 무엇보다 물품 보급과 지휘관의 적절한 작전 지시는 전쟁의 승패에 결정적인 영향을 ... ...
- Part 6. 끝나도 끝나지 않은 전쟁수학동아 l2017년 06호
- ◀ 1946년, 헝가리의 화폐 펭괴가 길거리에 버려진 모습.전쟁을 대비하고 치르는 것도 문제지만, 전쟁이 끝나고 난 후에 발생하는 문제도 심각하다.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는 물론이고, 전후 처리 비용만 해도 천문학적이다. 전쟁을 누가 먼저 일으키느냐에 상관없이 전쟁에 패배한 나라는 패배한 죄 ... ...
- [Issue] 과학강국의 이면, 인도 ‘다리 밑 학교’를 가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몇 살이야?” “10살 아니면 11살.”“생일은 언제야?” “….”“커서 뭐가 되고 싶니?” “….”인도 델리 도심에서 차로 30분 가량 떨어진 야무나뱅크 지역. 45°C를 웃도는 찌는 더위를 뚫고 5월 1일, ‘메트로 다리’ 아래를 찾았다. 이곳에는 ‘다리 밑 학교’라 불리는 저소득층 어린이 교육기 ... ...
- Intro. 암(癌) 지독한 랜덤 게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지뢰찾기 게임의 목적은 지뢰를 피해서 지뢰밭의 모든 단추를 여는 것이다.가끔은 주변에 숨어 있는 지뢰 개수가 힌트처럼 주어지기도 하지만, 50% 확률에 맘 졸이며 무작위로 버튼을 눌러야만 할 때가 더 많다. 암이라는 병은 이런 지뢰찾기 게임과 닮았다. 유전적인 요인 또는 살아온 환경의 영향 ...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2015년 암 학계는 시끌시끌했다.그 해 1월 암 위험이 무작위적인 불운과 관련이 깊다는 연구가 ‘사이언스’에 실렸기 때문이다. 같은 해 12월에는 ‘네이처’에 곧바로 반박하는 논문이 나왔다. 그리고 약 1년의 시간이 지난 지금, 한동안 잠잠했던 논란이 다시금 불을 지피는 모양새다. ‘암이 불운 ... ...
- Intro. 인류 키운 빵, 그 4000년의 진화 효모 사피엔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단단하고 긴 바게트, 촉촉한 속살이 맛있는 식빵, 소라처럼 돌돌 말려 있는 크루아상, 달콤한 팥이 가득한 호빵, 상큼한 올리브가 콕콕 박혀 있는 치아바타, 납작한 주머니를 열어 양고기와 채소를 듬뿍 넣어 먹는 피타…. 세상에는 셀 수도 없이 많은 빵이 있다.대륙마다 나라마다, 그리고 빵마다 생 ... ...
- Part 3. 무기 속의 또 다른 무기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오늘날은 무기의 종류도 다양하다. 수많은 무기 중에 좋은 무기를 고르려면 ‘무기 효과’와 ‘무기 성능’을 비교해야 한다. 무기 효과는 전투 상황에서 단위 시간당 적군의 전투력에 손실을 입히는 정도를 뜻한다. 화력, 기동력, 생존성, 전투수행능력 등으로 만든 함수로 나타낸다. 무기 성능은 ... ...
- Intro. 딴따라 수학과 똑똑이 음악의 듀엣 타임!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독일에 브레멘 음악대가 있다면 여기엔 수학과 음악의 듀엣 음악대가 있습니다.달라도 너무 달라 보이는 수학과 음악이 부르는 듀엣곡을 들어봅시다. 음악이 수학을 만들고 수학이 음악을 만드는 닭과 달걀 같은 이야기가 시작됩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딴따라 수학과 똑똑이 음악 ... ...
- Part 2. 수학, 음악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음악만 수학을 만드는 게 아니죠. 수학으로 음악을 만든 역사는 훨씬 오래 됐습니다. 클래식 음악에 기여한 수학적 작곡법부터 최신 이슈까지 살펴봅시다.주사위만으로 음악을 만들면 어떨까.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1792년 ‘음악적 주사위 놀이’라는 왈츠 작곡법을 발표했다. 주사위 두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