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면"(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2014년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일까?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이 공간의 부피를 구하는 것은 수학자들의 오래된 골칫거리였다. 그런데 그녀가 공간의 표면에 고리를 그린 뒤, 그 길이를 계산해서 부피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 냈다.5 Ben Green “이제 타오 교수와 어깨를 나란히 하고 싶어요!”벤 그린 ♂국적 | 영국생년월 | 1977년 2월(만 37세)연구 분야 | ... ...
- 진주에서 발견된 별에서 온 그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있는 돌과 우주에서 온 너는 어떻게 다르니?하늘에서 떨어진 지 얼마 안 된 운석은 표면에 검게 탄 흔적이 있어요. 대기를 지나면서 뜨거운 열에 녹았다가 식으면서 생긴 ‘용융각’이에요. 저희는 주로 규산염 광물로 이뤄진 석질운석과 철과 니켈의 합금으로 이뤄진 철질운석, 규산염 광물과 철이 ... ...
- 맨틀에 제2의 바다가 있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물의 행성인 이유는 표면의 바다뿐만 아니라 맨틀 속에 갇힌 물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또 나왔다. 올해 봄, 410~660km 지하의 맨틀에 있는 ‘링우다이트’라는 광물에 물이 포함돼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온 데 이어(5월호 과학뉴스 참조), 이번에는 맨틀에 바다만큼 많은 물이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 ...
- [수학뉴스] 비누막에서 찾은 태양의 비밀!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다.그 결과 클라인 병의 목 부분과 같이 비누막 표면의 넓이가 급격히 좁아지는 지점에서는 비누막을 구성하는 입자의 이동 속도가 지수함수꼴로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곡면의 모양에 따라 비누막이 터지는 지점을 예측할 수 있는 ...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2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만든 뒤, 팔라듐을 소량 첨가해 전도성 높은 나노촉매를 완성했다. 기존 촉매보다 표면적이 넓어서 효율이 높으며, 유독한 화학물질 없이 물로만 만들 수 있어서 안전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 ...
- "SCV good to go, Sir"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채취한 뒤 분석하게 된다. 이태식 한양대 교수는 “가까운 미래에 아예 달이나 화성 표면에 우주 광산을 개발하고, 그곳에서 나오는 광물을 이용해 현지에 우주 기지를 건설하는 날도 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SCV의 기본조건=인공지능 갖춘 소형로봇이렇게 채취한 우주자원은 채굴비용과 ... ...
- 세계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 같이 만들래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교수는 미국 일리노이대 재료공학과 석좌교수 출신으로 지난해 미국화학회 콜로이드 표면화학 분야에서 최고상을 수상했다. 네이처나 사이언스를 비롯해 국제 기준인 SCI급 논문을 400여 편 게재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화학분야 국가과학자인 김광수 교수와 펄스분광학 분야 연구를 주도하는 ... ...
- [과학뉴스] 화성 탐사에는 비행접시가 딱?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펼쳐 바다에 무사히 착륙하는 게 목표다. NASA는 이번 비행이 성공하면 향후 화성 등 행성표면에 유인우주선이나 탐사로봇 등 무거운 화물을 지금보다 안전하게 착륙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지름이 4.6m에 이르는 LDSD는 외계인이 타고 온 비행접시처럼 생겼다. 화성대기권에 진입하면 ... ...
- 넌 컵으로 물마시니? 난 공기에서 빨아 마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나무를 심듯 세로로 고정시켜 두께 1cm 정도의 재료를 만들었다. 그런 뒤 재료의 위쪽 표면에 물을 끌어들이는 친수성 재료를 붙였다. 맨 위에서 친수성 재료가 공기 중의 습기를 끌어당기면, 물이 재료 내부의 소수성 탄소나노튜브 ‘숲’에 갇힌다. 스폰지가 물을 머금는 것과 비슷한 원리다.실험 ... ...
- [hot science] 달의 여신의 눈빛, 루나 스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표토의 입자 크기와 노화 사이의 관계를 지역별로 비교하는 연구를 제안했다. 빛은 달 표면에서 표토 입자에 부딪혀 반사되거나 산란, 흡수되는데, 그 중 반사된 빛의 편광을 분석하면 표토 입자의 크기를 알 수 있다. 김 교수팀은 15cm 반사망원경으로 달 앞면 전체의 편광 지도를 만들고 지상 실험을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