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추락하는 비행기에서 살아남으려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것 이다. 막연한 두려움으로 벌벌 떨기보다는 생존 지침을 철저히 숙지한 뒤 확률과 맞서 보자.아시아나항공 214편은 어떻게 추락했나?사고 비행기는 한국 시각으로 7월 6일 오후 5시경 인천국제공항을 출발해 샌프란시스코로 향했다. 현지 시각으로 오전 11시 28분경 비행기는 샌프란시스코 ... ...
- UNIST의 힘은 세계 최고의 교수진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이차전지, 그래핀, 나노바이오 연구 두각UNIST가 특히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분야는 이차전지와 그래핀, 나노바이오다. 여러 번 충전해 쓸 수 있어 환경과 경제성 모두에 유리한 이차전지 ... 5년 만에 뛰어난 성과를 이뤄낸 UNIST가 앞으로 세계 과학계의 강자로 설 수 있을지 주목해 보자. ... ...
- 1개월을 1분으로 압축하기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역할을 할 수 있다. 기존 장비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간편하게 동영상을 만들어보자.예를 들어 식물이 자라는 과정을 타임랩스 카메라로 손쉽게 촬영할 수 있다. 화분 앞에 타임랩스 카메라를 두고, 몇 분마다 한 번씩 찍을지, 며칠 동안 찍을지만 설정하면 끝이다. 지정한 날짜가 되면 멋진 ... ...
- 우리의 이름은 별보다 많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그런 행적이 임무와 의무라는 미명 하에 등을 떠밀려서는 안 된다. 아주 단순하게 계산해보자. 92억에 8을 곱하면 우주에 흩어져서 정보를 모으다가 실종된 인간의 수가 나온다. 720억의 인간이 진화를 거듭하면서 형성하는 관계와 정보의 총합, 그건 다름 아닌 ‘삶’이라고 불러야 한다. 삶을 임무로 ...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길은 많이, 힘든 길은 적게마지막으로 좀 더 고난도의 수학 능력을 보여주는 개미를 만나보자. 페르마의 원리는 빛이 물속으로 들어갈 때 굴절하는 원리로 잘 알려져 있다. 빛이 비스듬한 각도로 물속에 들어가면 수면에서 진행방향이 꺾인다. 이것은 빛이 공기 중에서보다 물속에서 속도가 더 ... ...
- 유해화학물질 누출 현장에서 살아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뭔지 먼저 알아 보자. 플루오린화 수소, 염소, 염산에 대해 정보를 조사해 보자고. 화학물질은 ‘화학물질안전정보시스템(kischem.nier.go.kr)’에서 자세한 정보를 찾을 수 있단다. 뒤지면 다 나와~!플루오린화 수소구조식 HF상태 기체 또는 수용액(플루오르산, 불산)색깔 투명, 무색냄새 강한 자극적 ... ...
- [시사] 야구 하는 고릴라가 나타났다! 미스터 고수학동아 l2013년 07호
- 3D 디지털 캐릭터로 만들어진 탄생의 비밀과, 야구 속 수학 이야기도 만나 보자.야구 하는 고릴라, 한국 야구단에 입단하다!안녕? 난 야구하는 고릴라 ‘링링’이라고 해! 나의 유일한 친구이자 가족은 룡파 서커스를 이끄는 소녀 웨이웨이야. 난 웨이웨이가 태어났을 때부터 지금껏 ... ...
- 세상 모든 입체도형의 전개도를 그릴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알아내는 것도 흥미로운 연구 주제 중 하나다.가장 익숙한 도형인 정육면체부터 살펴보자. 정육면체 모서리를 따라 아래 그림과 같이 평면 위에 펼치면, 입체도형이었던 정육면체는 십자가 모양의 평면도형이 된다. 우리는 정육면체의 전개도가 여러 개라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다. 그럼 모두 몇 ... ...
- 두 얼굴의 글자를 해독하라!수학동아 l2013년 07호
- 핵심 원리는 수학의 ‘대칭’에 있다. 예를 들어 쪽지에 쓰여 있던 ‘ambigram’을 살펴보자. 이 단어를 180° 뒤집어도 똑같은 ‘ambigram’으로 보이는 것은 점대칭도형이 되도록 글씨체를 디자인했기 때문이다. 점대칭도형이란, 특정한 점을 기준으로 도형을 180° 돌려도 본래와 완전히 포개어지는 ... ...
- [동아리탐방] 해법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간다! 서울 안천중 HUG수학동아 l2013년 07호
- 한다. 잡지를 만들어 학교에 자랑이 되고 싶다는 당찬 HUG 학생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수학동아 편집부의 문을 두드리다!동아리 이름인 ‘HUG’는 ‘수학을 품다’라는 뜻을 담고 있다. 올해로 4년째 운영되고 있는 HUG는 현재 20여 명의 학생들이 함께 활동하고 있다. 수학동아 편집부를 찾은 날도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