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푸는 성공의 비밀! 매스 CEO 클럽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예를 들어 어떤 공장에서 초코우유와 초코아이스크림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다고 해 보자. 이때 두 제품에는 초콜릿과 우유, 생크림이 공통으로 들어가는 데, 그 양이 다음 표와 같다고 가정한다. 이 공장에서 하루에 만들어야 할 초코우유와 초코아이스크림을 각각 x와 y개라고 하면, 만드는 데 ... ...
- 11화 점차 밝혀지는 10개 방의 비밀수학동아 l2013년 11호
- 개의 성냥개비를 제거해서 모든 도형이 직사각형이 되도록 만들고, 어떻게 되는지 지켜보자.”미션 ❷ 미로를 통과해 다섯 번째 방으로 이동하라!폴 일행이 문제를 풀자 하루의 손거울 속 폴 일행은 환상의 방 밖으로 유유히 빠져나갔다. 하지만 실제 방에는 아무런 변화도 없었다.“거울 속에는 ... ...
- [매스미디어] 숨 막히는 레이스! 노브레싱수학동아 l2013년 11호
- 그리고 최적화된 영법을 이용해 전속력을 내는 수영! 수영이 품은 수학적 비밀을 파헤쳐 보자.두 라이벌의 황홀한 대결안녕? 난 정우상이야. 어릴 때부터 수영 신동으로 각광 받았어. 아쉽게도 예기치 않은 사건 때문에 태극마크를 벗었는데, 어느 날 명문 체고에서 나를 수영 선수로 부르더라. ... ...
- 수학으로 두는 신의 한 수, 바둑수학동아 l2013년 10호
- 구하기 위해, 먼저 가로와 세로가 각각 2줄로 이뤄진 가장 간단한 격자 바둑판을 생각해 보자. 이때 교차점은 4개다. 그리고 각 교차점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경우는 흑돌을 두는 경우, 백돌을 두는 경우 또는 아무 것도 두지 않는 경우로 총 3가지다.각각의 점마다 3가지 경우의 수가 있으므로, 바둑돌을 ... ...
- [체험] 세상을 이끄는 수학 고수 4인방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세계 여러 나라를 넘나들며 각 분야에서 활약하는 수학 고수들의 이야기를 들어 보자.통신 편 세계 통신 산업을 이끄는 슈퍼 우먼, 양현미 박사세계 각국을 누비며 활약하는 슈퍼 우먼이 있다. 최근 일주일 새 영국 런던에서 노르웨이 오슬로, 스페인 바르셀로나를 거쳐 다시 런던으로 돌아온 ... ...
- 썰렁홈즈의 퍼즐스승, ‘가르치메데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제가 오랜만에 감사의 뜻으로 등 좀 밀어 드릴게요.”썰렁홈즈는 스승님의 등을 보자 눈물이 핑 돌았다.“스승님이 나이 드시니까, 등도 많이 작아 지셨네….”하지만 조금 지나자 썰렁홈즈는 생각이 달라졌다. 스승님의 등에서는 끊임없이 때가 밀려 나왔다. 썰렁홈즈는 3일째 스승님의 등을 밀고 ... ...
- 세상이 나를 벗긴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있을까. 평범한 직장인 ‘나’의 하루를 통해 내 정보가 어디서 빠져나가는지 되짚어 보자.내 정보는 소중하다. 내 정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나만의 것이라고 하니 소중하다. 근데 내 정보라는 것이 대체 어디까지일까. 이름, 주소, 전화번호, 성별, 나이, 혈액형…. ... ...
- 우주보다 큰 허세 중2병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바로 ‘중2병’이다. 북한도 무서워서 쳐들어오지 못하게 한다는 중2병의 정체를 밝혀보자.고백부터 하자. 기자도 10대 시절 중2병에 걸린 적이 있었다. 갓 중학생이 된 주제에 어디서 주워들었는지 도스토예프스키니 헤밍웨이니 하는 작가의 소설을 읽겠다고 들고 다녔다. 무료해지면 천재적이고 ... ...
- 달토끼가 알아본 2020 대한민국 달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마침 저기 어과동 어린이 기자들이 항우연 박사님께 질문하고 있네. 몰래 숨어서 들어 보자!"과거 유인 탐사에 성공한 나라는 우주 기술이 발달했다는 평가를 받았어요. 하지만 로봇 기술이 발달한 지금은 유인 탐사의 필요성이거의 사라졌어요. 우주에서 사람 없이도 로봇으로 할 수 있는 일이 ... ...
- 야구 기록, 그림만 보면 다 안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이건 스포츠에서도 마찬가지다.실제로 아래의 야구 데이터를 살펴보자. 어느 팀이 가장 승률이 높은지, 타율이 높은지, 홈런을 가장 많이 치는지 표만 보고는 단번에 알기가 어렵다. 물론 일일이 따져서 보면 그 답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데이터가 100개, 1000개가 된다면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