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농게의 정체가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아주 유용한 집게라고~! 수컷은 집게가 짝짝이?!자연계에선 대칭이 대세예요. 생물 대부분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같은 모습이지요. 그런데 갑각류 중 하나로 전세계 100여 종이 살고 있는 농게는 예외예요. 수컷의 한쪽 집게가 다른 쪽보다 4~5배 정도 크지요. 암컷은 좌우 같은 크기의 집게를 ... ...
- Part 3. 흰발 농게, 새집으로 이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않아요. 심지어 과학자들은 게들의 정확한 수명도 제대로 알지 못해요. 게를 포함한 바다생물이 우리 곁에 계속 머무를 수 있도록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 주세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내 마음을 받아줘~♡ 농게의 프러포즈 대작전Part 1. 농게의 정체가 궁금해!Part 2. 농게 구애춤의 ... ...
- [핫이슈]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8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지난 5월 26일부터 27일까지, 국립수목원 등의 주최로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8’이 열렸어요. 대전 만인산자연휴양림에서 열린 이번 탐사에 ... 소감을 밝혔어요. 또, 이연우 대원은 “생물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함께 어울려 생물에 대해서 알아보는 점이 좋았다”고 말했지요 ... ...
- [과학뉴스] 무더위 때문에… 번식력 떨어진 수컷 곤충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능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매튜 게이지 영국 이스트앵글리아대 생물학과 교수팀은 폭염에 노출된 곤충의 정자 수와 기능이 세대를 거듭하며 떨어진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스’ 11월 13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곡물 해충인 거짓쌀도둑거저리(Tribolium ... ...
- [과학뉴스] 샤워기 헤드에 박테리아 득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때문에 청결할 것이라고 오해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는 다양한 미생물이 엉겨 붙어 생물막을 구성하고 있으며, 그 안에 폐질환을 유발하는 박테리아도 들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매튜 게버트 미국 콜라라도대 환경연구기관 CIRES 연구원팀은 미국과 유럽에서 656가구의 샤워기 헤드를 조사한 ...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12] 자원과 지속가능한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과정에서 다량의 오염 물질이 배출된다는 환경 문제가 있다. 자원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생물 종이 감소하고 대기 오염, 토양 오염, 수질 오염 등 다양한 환경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지구온난화나 사막화가 심각해지는 등 전 지구적 차원의 환경 문제로 이어져 삶의 질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 ...
- [팩트체크 4] DMZ, 멸종위기종의 천국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5978종의 생물이 살고 있었답니다. 이 숫자는 한반도 생물종의 약 24%, 우리나라 멸종위기 생물의 41%에 해당해요. DMZ가 우리나라 면적의 1.6%에 불과한 좁은 지역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엄청나게 많은 수지요. 이에 우리나라 통일부는 5월 2일, DMZ 지역을 세계생태평화공원으로 만들 준비를 시작하겠다고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이템을 모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아이템이요?”“그래, 이 새는 미션을 해결하고 얻은 아이템이야.”레게머리 아저씨는 새의 등을 쓰다듬었어요. 그러자 큰 새는 할 일을 다했다는 듯, 길게 ... 게임을 만든 사람이야.” [개념 퀴즈] 세포 내부가 막으로 구분된 기관을 가지고 있는 생물을 원핵생물이라 한다. ( O , X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창경궁에서 만난 원앙과 꿀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여러 꽃을 다니며 꽃가루를 옮겨 꽃의 수분을 돕고 열매를 맺을 수 있게 하는 생물이에요. 꽃이 피는 시기라면 언제든지 탐사가 가능해 봄부터 가을까지 밤낮을 가리지 않고 탐사를 할 수 있답니다. 화분매개자 탐사는 같은 자리에서 15분 동안 머물며 꽃 주변에 모여드는 화분매개자의 수를 세고, ... ...
- [과학뉴스] 박테리아로 전기 생산하는 ‘바이오닉 버섯’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수분, 수소이온농도(pH), 온도 등의 환경을 제공한다”며 “세균과 균류라는 서로 다른 생물에 나노 물질을 합쳐 인위적인 공생 관계를 만들 수 있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레터스’ 11월 7일자에 게재됐다. doi:10.1021/acs.nanolett.8b0264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