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케네스 리벳 미국수학회 회장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의 숨은 공신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생물
학을 전공한 사람이 수학을 공부해서 연구에 적용하는 것보다 수학을 전공한 사람이
생물
학을 연구하는 것이 빠르다”고 설명했다. 그런 의미에서 수학은 여러 분야로 진출하는 데 가장 좋은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엡실론 추측과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 ...
[화보]양자역학과 예술의 만남, 나노 조각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프시케의 아름다움을 시기한 비너스는 아들 큐피드를 시켜 프시케가 세상에서 가장 추한
생물
과 사랑에 빠지게 하라고 명령한다. 큐피드는 잠든 프시케에게 다가가 화살을 쏘려고 하지만 아름다운 프시케의 모습에 화살을 쏘지 못하고 사랑에 빠진다. 프시케는 질투에 눈이 먼 비너스의 계략으로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9년 찰스 다윈이 주장했던 자연선택이론과 진화론을 현 시대의 생명공학자들이 단백질과
생물
분자의 기능 향상을 위해 도입한 것이다. 진화를 이용해 효소의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 효소를 생산하는 DNA에 다양하게 돌연변이를 일으킨다. 이후 돌연변이 개체들의 기능을 분석해 가장 ... ...
영화 속 기생
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생명공학’ 10월 8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doi:10.1038/nbt.4232 김 교수는 “동물의 장내 미
생물
의 역할과 유사한 개념”이라며 “식물의 프로바이오틱스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잠복기 짧은 ‘좀비 바이러스’는 없어 이번엔 따끈따끈한 신작, 영화 ‘창궐’을 살펴보자. 창궐은 조선 시대를 ... ...
[과학뉴스] 두 살배기 입속 구강미
생물
로 비만 예측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교수는 “어린이는 장내미
생물
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비만의 지표로 여겨지는 미
생물
조성이 장보다는 구강에서 나타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리포트’ 9월 19일자에 실렸다. doi:10.1038/s41598-018-31866- ... ...
[과학뉴스] 네안데르탈인에게 물려받은 ‘바이러스 저항 유전자’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에너드 미국 애리조나대 생태학및진화
생물
학과 교수와 드미트리 페트로프 스탠퍼드대
생물
학과 교수는 인간의 유전자에서 바이러스와 상호 작용하는 유전자 4500여 개를 찾아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와 대조했다. 그 결과 현대 인류에게 남아 있는 네안데르탈인 유전자는 총 152개이며, 이 유전자가 ... ...
튜링의 마지막 유산 수리
생물
학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컴퓨터과학의 아버지, 암호 해독으로 2차 세계대전 승리를 이끈 주역. 눈치 채신 분들도 많을 겁니다. 영국의 수학자 앨런 튜링을 수식하 ...
생물
학에 한 획을 긋다Part2. 자연을 아우르는 절대 수식Part3. 튜링의 논문은 현대 수리
생물
학자에게 어떤 의미일까요?Part4. 튜링 모형 쓰는 별별 ... ...
노벨상 5대 트렌드- 연령 높아지고, 여성 증가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등 다른 분야와의 융합이 잦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며 “특히 20세기 후반부터 분자
생물
학과 생화학 분야가 각광 받으면서 화학상과 생리의학상의 경계가 모호해졌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노벨상이 100년 이상 수상 기준과 수상 분야의 틀을 고스란히 이어온 탓에 새로운 연구 분야가 ... ...
[과학뉴스] ‘조상 찾기 서비스’로 범인 잡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두 데이터가 90~99% 일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에 참여한 김재희 미국 스탠퍼드대
생물
학과 박사후연구원은 “친족 확인도 30% 이상 맞히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doi:10.1016/j.cell.2018.09.00 ... ...
Part 1. 참고래, 땅에서 꺼내던 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골격표본을 만들면 많은 사람들이 참고래의 실제 크기를 느낄 수 있고, 이렇게 큰
생물
과 함께 살고 있다는 생각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어요. 현재 고래연구센터 뒷마당에는 혹등고래와 밍크고래가 참고래처럼 골격표본이 되는 날을 꿈꾸며 잠들어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