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초롱아귀의 고향, 트와일라잇 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몸에 물이 가득해 높은 수압에서도 쪼그라들지 않고 잘 견디지요. 스스로 빛을 내는 생물도 많아 별이 빛나는 밤처럼 보이는 이곳은 과학자도 다가가기 어려울 정도로 깊어 아직도 모르는 점이 많답니다. 시민이 연구를 지원한다!지난 4월, 미국 우즈홀해양연구소가 미국 비영리재단 ... ...
- [지구사랑탐사대] 숲속 개미 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걸 무척 좋아했어요. 그중에서도 개미를 연구 주제로 잡은 건 대학에서 본격적으로 생물에 대한 공부를 시작한 이후지요. 개미의 다양성에 흥미를 느꼈거든요. 그래서 지금도 개미의 분류법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답니다.한반도에는 170여 종, 우리나라에는 140여 종의 다양한 개미가 있어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공간 조절 능력 획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깊이는 15~20m 정도로 추정돼요. 탐사 결과, 블루홀의 위쪽에는 거북과 열대어 같은 해양생물이 풍부했고, 아래쪽은 모래 퇴적물이 가득했지요. 무엇보다 블루홀 근처에는 그동안 발견되지 않았던 커다란 산호군락이 펼쳐져 있었답니다. ● 스토리 두 번째 아이템을 쓰자, 무너졌던 땅이 다시 ... ...
- 탐사 로봇, 트와일라잇 존을 부탁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Q 한국과 가까운 북서태평양도 탐사할 계획이 있나요?우리는 트와일라잇 존에 어떤 생물이 얼마나 사는지, 혹독한 환경을 어떻게 견디는지, 무엇을 먹고 어디에 똥을 싸는지 알아보기 위해 전세계 곳곳의 바다를 찾을 거예요. 실제로 지난 여름엔 북태평양을 다녀왔지요. 우리가 서쪽으로 더 가서 ... ...
- 트와일라잇 존, 바다눈이 지구온난화 막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식물플랑크톤이 모인 높이까지 올라온다는 걸 확인했지요. 황해에서는 동물플랑크톤 중 생물량이 가장 많은 크릴류와 두번째로 많은 요각류가 이와 같은 이동을 한답니다 ... ...
- [출동! 기자단] 이끼도롱뇽 탐사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문제에 취약해요.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생존에 위협을 받을 수 있지요. 이끼도롱뇽은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종이라는 걸 기억하고, 서식지가 파괴되지 않게 도와주세요 ... ...
- 바닷가 식물에 숨겨진 탄소 저장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간척하여 육지로 만들었지요. 하지만, 최근 연구를 통해 갯벌이나 염습지가 해양 생물에게 중요한 터전일 뿐 아니라,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죠. 어과동 친구들도 자연을 아끼는 마음을 가진다면, 갯벌과 염습지 생태계가 새롭게 보일 거예요 ... ...
- [화보] 숲속의 조그만 친구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어휴, 그렇게 큰 몸으로 들어오려고 하면 어떡해요. 여기는 하루살이만큼 작은 생물만 보고 느끼고 만지는 숲이라고요. 기다려요, 오늘만 몸을 작게 만들어 드릴게요. 1cm도 안 되는 꽃잎이 손가락만큼 커질 거예요. 자, 눈을 감고 왼쪽 페이지의 시를 읊으세요. 눈을 뜨면 새로운 세계가 ... ...
- [지구를 위한 과학] 매미 찾아 삼만리! 배윤혁, 허지만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생태학을 연구하는 대학원 연구실을 알아보려 해요. 대학원에 진학해 앞으로도 계속 생물 연구를 이어 나가고 싶어요. 허 제주도 한라산의 매미를 연구하고 싶어서 제주대에 진학했어요. 내륙에는 검정색 풀매미만 있는데, 제주도에는 초록색 풀매미만 있거든요. 과거 경기도 지역에도 ... ...
- 한눈에 보는 교과맵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