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인공 감각 신경을 개발해 ‘사이언스’에 게재했다. 연구팀이 만든 인공 촉각 신경은 생물의 촉각 수용체처럼 압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압력 센서, 뉴런처럼 전기 신호를 만드는 유기 링 오실레이터, 인공 시냅스 역할을 하는 유기 시냅스 트랜지스터로 구성돼 있다. doi:10.1126/science.aao0098 이 ... ...
- [동아리탐방] 동아리계 VIP를 꿈꾼다! 포항제철고 Math V.I.P수학동아 l2019년 01호
- 활동을 해보고 싶어 들어왔다”고 말했다. Math V.I.P는 연구 활동도 열심히 임했다. 수리 생물학을 전공한 김문석, 이동호 교사의 지도로 경북 지역에서 열리는 학술 대회에 틈틈이 참가했다. 2015년에는 ‘제4회 대구 경북 청소년 학술한마당’에서 소논문을 발표해 최우수논문상과 우수논문상 그리고 ... ...
- [지구사랑탐사대] 나는야 우리 동네 생태연구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1만 152건의 탐사 기록을 남겼어요. 이들 기록은 지사탐에 참여하는 연구자 24명이 다양한 생물을 보존하고 지키는 연구를 위해 사용할 예정이지요. 대원들의 임무는 수원청개구리와 제비, 매미, 조류, 귀화식물, 화분매개자 6종을 탐사하고 기록하는 거예요. 6종 중 3종 이상의 활동 기준을 만족해야 ... ...
- [과학뉴스] 도마뱀붙이는 물 위에서도 달릴 수 있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통합생물학과 교수는 “도마뱀붙이는 이 모든 방법을 결합해 물 위를 걷는 독특한 생물”이라며 “물 위에서 움직이는 로봇을 만드는 데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12월 6일자에 실렸다.doi:10.1016/j.cub.2018.10.06 ... ...
- [이달의 PICK] 한반도에서 자취 감춘 호랑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이에 따라 자국에만 서식하는 생물의 유전자가 귀중한 자원으로 인식되는 추세다. 생물의 유전 정보가 앞으로 어떻게 활용될지, 그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이항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는 “남한은 인구밀도가 너무 높아 더 이상 호랑이가 살 수 없지만, 북한의 백두산과 개마고원 일대는 가능성이 ...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01 유병언은 언제 사망했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전신에 백골화가 진행된 시체는 32점으로 본다.*유효적산온도 : (ADD·Accumulated Degree Days) 생물에서 특정 시기의 생장이나 발육에 필요한 온도량. 검시에서는 사망 이후 시체가 부패할 때까지 누적된 온도량을 뜻한다. 부패 과정에서 의외로 시간은 중요하지 않다. 차가운 영안실에 시신을 오래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내 몸의 설계도 읽는 유전체 해독 기술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2008년 박종화 당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장(현 UNIST 게놈산업기술센터장)이 이끄는 연구팀이 최초로 한국인 유전체(SJK)를 해독한 바 있습니다. 세계에서 다섯 번째 개인 유전체 지도였습니다. 중요한 사실은 이 유전체를 당시 ...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작용으로 쉽게 사라질 수 있고, 설령 화석이 된다고 하더라도 너무 작아 이를 연구하는 고생물학자들에게조차 쉽게 눈에 띄지 않는다. 진주 랩터 공룡 발자국을 발견한 것도 여러 조건들이 잘 맞았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다. 그렇다면 한국에서 가장 작은 랩터 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됐다는 것은 ... ...
- [기획] 2018 어과동 어워드 당신의 기자에게 투표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있어요. 2017년,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마크 존슨 교수는 192개 논문을 분석해 도시 개발로 생물 서식지가 분리돼 새로운 종이 생기는 등 인간이 다양한 진화 과정에 영향을 끼쳤다고 발표했지요. 예를 들어, 우연히 런던 지하철에 들어간 모기는 기존 집모기와 분리돼 살면서 겨울에 잠들지 않는 새로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원추세포)로 나뉘죠. 두 세포의 이름은 그 모습에서 따왔어요. 시각 세포를 관찰하던 생물학자들이 어떤 세포들은 가늘고 긴 막대 모양으로 생겼고, 어떤 세포들은 끝이 뾰족한 원뿔 모양으로 생겼다는 사실을 알아낸 거지요. 두 세포는 하는 일도 달라요. 막대세포는 빛에 민감해서, 엄청나게 약한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