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3,918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수상자 예측 ‘액체 금속 전자 구조’ 한국 물리학자들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5
구조를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먼저 검은 인으로 불리는 ‘흑린’이라는 결정 고체
표면
에 나트륨·칼륨·루비듐·세슘 등 알카리 금속을 뿌렸다. 알카리 금속으로 도핑된 흑린의 전자 구조를 측정한 결과 1960년대 앤더슨과 모트가 예측했던 뒤로 휘는 독특한 형태의 전자 구조와 ‘유사갭’을 ... ...
뿌리고 삼키고 들이쉬고…주사기 안쓰는 '민첩한' 코로나 백신·치료제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4
'호이스타정'의 주요 성분인 카모스타트 메실레이트가 염증을 완화하는 과정에서 세포
표면
에 있는 ACE수용체와 ACE2수용체를 닫아버린다는 점에 착안해 코로나19 치료제 '코비블록'을 개발했다. ACE수용체와 ACE2수용체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투하기 위해서 반드시 결합해야 하는 부위로, ... ...
한미 연구팀 세계 최고 효율 열전소재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3
전고체 태양전지를 세계 처음으로 만든 정 교수팀은 순도 높은 주석이라도
표면
이 산화물로 덮인다는 점을 주목했다. 전도성 물질인 산화물을 따라 열을 흐르면서 열전효율이 떨어진 것이다. 연구팀은 주석의 산화물을 제거한 후 셀레늄과 반응시키고 이후로도 추가로 순도를 높이는 공정을 개발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비너스의 꽃바구니'로 불리는 해면 이야기
2021.08.03
두 번째 모형은 이 원기둥에 레이스(돌출물)가 나선을 그리며 달려 있다. 세 번째 모형은
표면
이 비너스의 꽃바구니 골격의 그물망인 속이 빈 원기둥이고 네 번째 모형은 여기에 레이스가 달린 상태, 즉 온전한 비너스의 꽃바구니 골격이다. 비너스의 꽃바구니가 심해에서 바닷물의 흐름에 휩쓸려 ... ...
암스트롱 태웠던 달 착륙선 '이글' 아직 달 궤도 돌고 있을 수도
연합뉴스
l
2021.08.02
추락시켜 행방이 불투명한 착륙선은 이글호가 유일하다. 미도르 연구원은 처음에는 달
표면
에서 이글호의 추락 지점을 찾는 것이 가능하지 않겠느냐는 생각으로 연구에 착수했다. 지난 2012년 NASA가 달 궤도에 위성을 보내 달의 상세한 중력장 변화를 파악한 '그레일(GRAIL) 프로젝트'의 자료와 ... ...
넘치는 음식물 쓰레기 석탄 대체 연료가 되다
과학동아
l
2021.07.31
부식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된다. 연구팀은 열분해 과정에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염분이
표면
으로 빠져나와 결정화(가운데)된다는 점을 알아내고, 이를 물이나 구연산으로 씻어내는 방식으로 염분을 제거했다(오른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제공 김 선임연구위원이 개발한 음식물 쓰레기 고형연료는 이 ... ...
캐나다서 8억9000만년 전 해면동물 흔적 발견…最古 화석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1.07.29
캐나다에서 8억 9000만년 전 해면의 화석이 발견됐다. 해면은 바다 바닥이나 다른 동물
표면
에 붙어 자라는 동물로 실제 해면이 맞다면 지금까지 발견된 동물 화석 중 가장 오래된 화석이 된다. 동물 발생의 역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새로운 증거가 발견되며 학계가 들썩이고 있다. 엘리자베스 터너 ... ...
[과기원은 지금] UNIST, ‘인공 나뭇잎’ 효율 3배 성공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29
산화철(Fe₂O₃)을 활용한 ‘인공 나뭇잎’의 수소 생산 개념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에너지화학공학부 장지현 교수팀이 식 ... 구현할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응용재료 및
표면
’ 지난달 30일자 속표지 논문으로 실렸다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콧속 섬모세포에서 복제·증식하는 코로나19 바이러스
2021.07.28
제공 ○ 비강 섬모세포, 코로나19 감염의 시발점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바이러스
표면
의 스파이크단백질, 인체 세포의 안지오텐신전환효소(ACE2), 막관통 세린 프로테아제2(TMPRSS2) 및 퓨린(Furin) 수용체 단백질의 결합을 통해 세포 내로 침투한다( 참고). 이들 수용체 단백질을 가지고 있는 ... ...
빛 유도하는 물결무늬
표면
으로 AR디스플레이 제작속도 끌어 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7
일정 패턴으로 쏘아 물질이 모이게 한 뒤 이를 굳히는 방식으로 물결 모양의 푸리에 광
표면
을 구현했다. 이 교수는 “수율은 시간당 얼마나 많은 면적을 만들 수 있느냐로 정해지는데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기존 기술보다 최대 10만 배 수율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홀로렌즈나 구글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