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기"(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본질, 성질’을 의미하는 마지막 글자 ‘바탕 질(質)’까지 합치면 ‘전해질’은 ‘전기를 띠는 이온으로 분해되는 물질’이란 뜻을 갖게 된답니다.‘유도’는 ‘누군가를 꾀어내 특정 방향으로 이끌다’란 뜻을 가진 단어예요. 이때 누군가를 잘 꾀어내기 위해서는 설득력 있고 조리있는 ... ...
- [과학뉴스] 바닷물이 저절로 맹물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모세관과 물 속 소금을 걸러내는 필터로 구성돼 있답니다. 모세관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기가 없어도 정수를 할 수 있고, 하루 동안 1L의 소금물에서 100mL의 맹물을 얻을 수 있지요.김성재 교수는 “이 기술은 먹을 물이 부족한 국가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소프트웨어] 마인크래프트로 배우는 코딩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에너지를 이용하는 물건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작은 스위치 하나를 열고 닫으며 전기 신호를 조절하는 것은 0과 1의 조합으로 프로그램을 만드는 컴퓨터 코딩과 같은 원리다.어릴 적 빠졌던 코딩으로 꿈을 이루다코딩을 하려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를 이용해 명령을 내려야 한다. 컴퓨터 ... ...
- [과학뉴스] 그래핀, 2차원에서 3차원으로 업그레이드!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사용해 3차원 그래핀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그래핀은 구리나 강철보다 강도가 세고 전기전도성이 뛰어나 꿈의 소재로 불리지만, 3차원으로 만들면 성능과 구조 안전성이 떨어져 실생활에 활용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탄소를 가진 아세틸렌과 에틸렌을 마이크로미터(μm․100만 분의 1m) 크기의 구멍이 ... ...
- 건전지VS충전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극에 저장된 리튬이온이 (+)극으로 이동한답니다. 이 과정에서 전자가 함께 이동하며 전기에너지를 만들지요. 반대로 충전을 하면 (+)극으로 이동했던 리튬이온이 다시 (-)극으로 돌아와요 ... ...
- [과학뉴스] 심근세포로 움직이는 가오리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근육’ 아이디어를 얻었다. 연구팀은 쥐의 배아에서 심근세포를 채취한 뒤, 뇌의 전기 자극 대신 파란색 빛에 반응하도록 유전자를 변형했다. 그리고 앞서 실리콘으로 만든 가오리로봇에 이 유전자 변형 심근세포 20만 개를 부착했다.가오리로봇은 파란색 빛을 비추자 지느러미를 움직였다. 빛을 ... ...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해 양궁팀에서는 바이오피드백 중 하나인 뉴로피드백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뇌의 전기적 활동(EEG)을 활용해 뇌파의 변화를 파악하고 뇌기능을 변화시키는 훈련입니다. 두피에 붙인 전극을 통해 뇌파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한 정보를 선수에게 알려주는 과정을 반복합니다. 그러면 원하는 ... ...
- Part 2. 생활에서도 스포츠 컨디셔닝하라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도형 군이 주먹을 오므렸다, 폈다 하자 그래프가 꿈틀댔다. 힘을 내면 낼수록 근육의 전기신호는 더 활발히 생성되고, 그래프는 위아래 더 큰 폭으로 요동쳤다.이곳은 태릉에 있는 한국스포츠개발원. 국가대표 선수들에게 과학적 지원을 하는 한국스포츠개발원은, 국가대표 선수들이 활용하는 ... ...
- Part 1. 인공지능, 바둑에 도전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사실 나 이전에도 바둑을 두는 인공지능 프로그램들은 있었어. 하지만 인간 챔피언과 공식적으로 대결해 이긴 인공지능은 없었대. 그건 바둑이 ‘인공지능이 도전할 수 있는 최후의 영역’으로 여겨질 만큼 엄청 어려운 게임이기 때문이야.바둑은 가로, 세로 19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격자 모양에서 ...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기보 16만 개를 달달 외웠으니 이길 수밖에 없겠다고? 바둑은 기보를 외운다고 할 수 있는 게임이 아니라니깐! 그럼 기억력 좋은 사람이 무조건 바둑에서 이기게? 내 진짜 실력은 기보에 나온 고수들의 방법을 스스로 공부하고 이길 수 있는 수를 열심히 계산한 데서 나와. 그게 바로 ‘딥러닝’이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