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기"(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강아지 눈에 나침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단백질은 나침반과 비슷한 역할을 해요. 크립토크롬 단백질은 지구의 자기장과 반응해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는 뇌로 전달된답니다. 즉, ‘자기장을 보는 눈’을 갖고 있는 거죠.크립토크롬 단백질을 가진 동물들은 눈으로 자기장을 직접 볼 수 있기 때문에 나침반보다 훨씬 정확하게 ... ...
- [과학뉴스] 뜨는 소재 흑린, 그래핀도 뛰어 넘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전자들을 기판에 가까운 몇 개 원자 층에 가뒀다. 그 결과 기판 표면의 불순물들이 전기장을 만들어내 흑린의 전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이 관찰됐다.연구팀은 온도를 바꿔가며 흑린의 열전현상을 추가로 관찰하는 과정에서 흑린의 전하가 불순물의 영향을 받으며 평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 ...
- [과학뉴스] 암 RNA 이용한 만능 항암백신 나올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수지상세포에 항원 RNA를 잘 붙여야 한다. 연구팀은 RNA를 지질로 감싼 나노입자를 만들고, 전기적인 자극을 줘서 음전하를 띠게 했다. RNA가 파괴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 동시에 수지상세포에 잘 들어가게 하기 위해서다.연구팀은 이 나노입자를 암에 걸린 쥐와 흑색종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 투여했다 ... ...
- Part 4. 인공지능 키워드 3. 센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이왕 밝힌 김에 내 약점을 하나 더 알려 줄게. 난 모니터 밖의 세상을 보지도 듣지도 못해. 혼자서는 실제 바둑판에 돌을 올리기는커녕, 바둑판에 돌이 어떻게 놓여 있는지도 모르지. 나에게는 외부 환경을 인식하는 ‘센서’가 달려 있지 않거든.목소리 인식도 척척, 농담도 척척알파고의 대국을 처 ... ...
- [수학뉴스] 복잡한 알고리듬만큼 어려운 게임?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위해서는 악당들을 요리조리 피해 깃대가 있는 곳까지 가야합니다.그런데 최근 MIT 전기컴퓨터공학과 에릭 드메인 교수팀이 슈퍼마리오 브라더스 게임이 ‘계산 복잡도 단계’에서도 어려운 문제인 ‘PSPACE’만큼 어렵다는 사실을 증명해, 지난 6월 이탈리아에서 열린 ‘재미있는 알고리듬에 관한 ... ...
- [News & Issue] ‘풀풀’ 여름 하수도 냄새… 문제는 정화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악취가 위쪽으로 상승하는 것(굴뚝효과라고 한다)을 막아주기 때문이다.또 이 방법은 전기가 필요 없다. 2~5bar 정도 되는 주변 수도관의 압력을 이용해 물을 분사하기 때문이다. 수도관에 작은 구멍을 내고 태양광 전지를 이용해서 구멍의 밸브만 여닫으면 악취를 50~80%까지 제거할 수 있다. 비용도 ... ...
- Intro. 이세돌 9단 VS 알파고 인공지능의 무한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모습은?도움 및 사진 : 장병탁(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 임창환(한양대학교 전기생체공학부 교수), 김현기(ETRI 지식마이닝연구실장), Google Deepmind, IBM, 독일 튀빙겐대학교, 게티이미지뱅크 외참조: ‘Mastering the game of Go with deep neural networks and tree search ...
- Part 2. 인공지능 키워드 1. 빅데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난 이미 지난해 10월, 유럽챔피언인 판후이 2단과 대국해서 이긴 적이 있어. ‘바둑 인공지능이 사람을 꺾었다’고 다들 난리들이었다고~. 그리고 이번엔 세계 챔피언인 이세돌 9단과의 대국에서도 멋지게 우승했지! 내가 바둑을 잘 두는 비결? 아주 많은 데이터와 아주 빠른 계산 속도지. 인간은 ... ...
- Part 5. 인공지능과 함께할 미래의 모습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내가 이긴 뒤에 ‘알파고가 언젠가 인간을 지배할 것이다’라며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대. 사실 난 아직 허점투성이인데 뭘 걱정하는 건지…. 응? 거짓말 하는 거 아니냐고? 아 좀 믿으라니까! 기계는 거짓말 못 해! 터미네이터가 정말 우리를 찾아올까? 인간처럼 생각하거나, 인간을 뛰어넘은 ... ...
- [과학뉴스] 낮과 밤을 마음대로 바꾸는 유리창?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평소엔 은 실이 너무 가늘어 유리가 투명해 보여요.여기에 전기를 흘려 주면 은 실에 전기적 인력이 생겨 은 실끼리 서로 잡아당겨요. 이때 은 실이 투명 고무를 함께 잡아당기며 표면이 울퉁불퉁해지는데, 그 결과 빛이 어지럽게 반사되면서 유리가 불투명하게 변한답니다.클라크 교수는 “이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