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d라이브러리
"
전기
"(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간지럼 느끼는 뇌 부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담당하는 뇌 영역인 체감각피질이 활성화됐다. 또 직접 간지럼을 태우지 않고 이 부위에
전기
자극을 주자 쥐가 간지럼을 느낄 때 낸 소리를 똑같이 냈다.마이클 브렛 교수는 “간지럼을 느낄 때와 놀이를 할 때 뇌 반응이 비슷했다”며 “간지럼은 타인과 상호작용하거나 놀이를 할 때 즐거움을 ...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모두 끊길 경우 자체 발
전기
로 한 달 정도는 충분히 저장고를 가동할 수 있다. 또 발
전기
마저 멈춘다 해도 지하 터널의 온도가 한여름에도 15℃를 넘지 않기 때문에 저장고 내부 온도가 급격하게 높아지지 않아 한동안 버틸 수 있다.장기저장고 내부에 들어온 지 5분이 채 되지 않아 손발이 따끔해지기 ... ...
Part 1. 우리 몸에는 프랙탈 나무가 자란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그래프로 그리면 직선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만든
전기
모터나 내연기관은 프랙탈 구조를 띠지 않으며, 멱함수 법칙을 따르지도 않는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인체 부위의 생김새나 몸속에 나타나는 현상의 패턴이 멱함수 법칙을 따르는지 계산해 프랙탈 여부를 ... ...
[소프트웨어로 세상을 지켜라! 코드마스터] 신발 먼저 신을래, 양말 먼저 신을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제조하는 과정에 유용하게 쓰인답니다.예를 들어 자동차는 자동차를 움직이는 데 필요한
전기
부품들과 운전할 때 필요한 부품들이 정확하게 맞아 떨어져야 해요. 그런데 컴퓨터가 순서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해서 바퀴를 굴러가게 하는 전선에 엑셀 대신 브레이크를 연결해 버렸다고 해요. 그럼 ... ...
[Career] 나노물질과 인체의 ‘궁합’ 봅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처리한 것보다 그렇지 않은 세포의 엑소좀에서 더 많이 발현된 단백질을 2차원겔
전기
영동법을 이용해 찾아낼 수 있었다. 유방암 에 걸렸을 때 많 아지는 LRRC23과 폐암 및 유방암의 생체 지표인 KRT5였다. 김 책임연구원은 “엑소좀을 독성평가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인 것”이라며 “양자점이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탐사개발연구센터 책임연구원팀이 지하 16km까지 볼 수 있는
전기
비저항 측정 장비를 개발해 탐사 준비에 앞장서고 있다. 정 책임연구원은 “한국과 북한, 중국의 공동연구가 가능해지면 북한에서 중국까지 긴 측선을 이어서 그 하부를 동서방향으로 측정할 수 있다”며 ... ...
[News & Issue]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번개라도 찾아 다녀야 하나, 고민이 많았습니다.”우여곡절 끝에 전북 완주에 위치한
전기
안전연구원에 대전류공급장치가 있다는 걸 알게 됐다. 케이블을 싸 들고 다시 완주로 내려갔다. 2000A를 흘리는 순간, 케이블의 군데군데에서 연기가 나기 시작하더니 곧 불연속적으로 불이 붙었다. 화재 당일 ... ...
[과학뉴스] ‘마술종이’로 감쪽같이 사라지는 전자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전자 장치의 기본이 되는 반도체용 트랜지스터를 제작했다.특히 무선 조작이 가능한
전기
히터를 새겨 넣어 원하는 시점에 히터의 열로 종이 기판을 파괴할 수 있게 했다. 최 교수는 “군사적으로 보안이 필요한 분야, 회수가 필요하지 않은 폐기물, 수술 없이 자연스럽게 사라지게 하는 몸속의 ... ...
[과학뉴스]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이런 멤리스터가 신경세포 사이에 위치한 시냅스 역할을 해서 적은 에너지로도 뇌의
전기
적 신호를 저장하거나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통로역할을 하게 된다.연구팀은 여러 개의 멤리스터를 연결한 뒤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제어하면 향후 뇌의 작동방식과 닮은 인공신경망을 구현할 수 있을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잘려나간 뒤에도 잘린 손의 손가락을 움직이는 근육을 향해 뇌가 ‘동작하라’는 명령(근
전기
신호)을 내려 보내기 때문이다. 잘린 손의 운동을 담당하는 운동영역이 뇌에 그대로 남아 있어 가능한 일이다.Thalidomide전자의수가 처음 개발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부터다. 이 시기는 생체공학 역사에서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