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이종교배 - 네안데르탈인은 사라졌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어금니 등 일부만 발견된 상태이다. 호모 사피엔스, 어디서 왔을까? 현재 남아있는 인간은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 한 종으로, 약 30만 년 전 아프리카에서 나타났어요. 이 당시 지구에는 호모 에렉투스, 네안데르탈인, 데니소바인 등 여러 고인류가 공존했어요. 그러면 왜 다른 종들은 사라지고 ... ...
- Intro. 초보 집사의 유기동물 보고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다른 길거리 동물들은 어떻게 살까요? Intro. 초보 집사의 유기동물 보고서Part 1. 이슈! 인간이 책임 못 진 동물 지도Part 2. 반려동물 버리면 다른 동물도 위험해Part 3. 대안은? 버리지도 말고, 놓치지도 말자!Part 4. 인터뷰 - 저 멀리 ‘개토피아’를 찾아서! ... ...
- Part 1. 이슈! 인간이 책임 못 진 동물 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길거리로 나왔어요. 인간이 기르다 버리거나 잃어버린 ‘유기동물’들이지요. 이처럼 인간이 끝까지 책임지지 못한 유기동물에는 고양이뿐만 아니라 개와 토끼, 라쿤 등 다양했어요. 2018년 한 해 동안 이슈가 된 유기동물을 정리해봤어요. 질병 | 독립생활을 하는 고양이가 좁은 지역에 밀집되면 ... ...
- [통합과학 교과서] 나쁜 왕비가 다시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활용했답니다. 그 결과 좀비 바이러스가 발생하고 100일이 지나면 전세계엔 300명의 인간만 남고 나머지는 모두 좀비로 변했을 것이라고 결론 내렸어요. 한편 캐나다 오타와대학교 연구팀은 좀비의 움직임을 입자의 움직임으로 여기고 계산한 예측 모델을 발표하기도 했어요. 불규칙한 입자의 ... ...
- [프리미엄 리포트] ‘디자이너 베이비’의 탄생? 유전자 편집 기술의 명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유전자를 편집하는 경우에는 그 결과가 후대로 고스란히 유전될 위험이 있다. 그래서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합법적인 임상시험의 경우 대부분 T세포 등 체세포로 제한하고 있다. 이런 제약에도 불구하고 유전자 편집 기술은 계속 연구될까. 김 센터장은 “‘모든 약은 부작용이 있는데, 왜 개발해야 ... ...
- Part 5. 인류의 진화는 지금도 진행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젖당을 소화하는 효소 등 다양한 돌연변이가 문명이 시작된 이후에 생겨났어요. 인간이 사는 환경과 문화에 따라서 새로운 돌연변이가 나타나 퍼진 것이죠. 앞으로는 인류가 어떤 새로운 모습으로 진화하게 될지 궁금하지 않나요? ● 인터뷰 - 우은진 (세종대학교 역사학과 교수)한반도에는 ... ...
- Part 2. 반려동물 버리면 다른 동물도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만 3천~3만 년 전부터, 고양이는 약 8천~9천 년 전부터 인간과 더불어 살았어요. 오랜 세월 인간에게 먹이를 얻어먹으며 집을 지키거나 또 하나의 가족으로 사는 생활에 적응했지요. 이런 반려동물이 야생으로 가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외래종은 대부분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도태되지만, ... ...
- [과학뉴스] 움직이는 후각 유전자가 냄새 구별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구별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1월 9일자에 발표했다. 인간의 경우 1000만 개의 후각 뉴런과 400여 개의 후각 수용체 유전자를 이용해 1조 가지나 되는 냄새를 구별한다. 각 뉴런은 단 하나의 후각 수용체 유전자만 활성화하기 때문에, 그 많은 종류의 냄새를 어떻게 ... ...
- [시사기획] 독감 걸렸는데, 타미플루 먹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증가는 환청, 환시, 망상 등 사고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며 “아직까지 타미플루와 인간 뇌 속 도파민 농도의 연관성은 확인되지 않은 만큼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결국 일본 후생노동성은 타미플루와 신경정신과적인 이상 증세 사이에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확인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 ...
- [Culture] 머리는 사람, 몸은 기계 다시 깨어난 사이보그 전사 알리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근육의 움직임 등 움직임이 필요한 곳은 부위별로 최대한 세분화해 알리타의 움직임을 인간과 최대한 비슷하게 처리했다”고 설명했다. CG 기술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영화지만, 그는 영화의 1등 공신으로 CG가 아니라 배우를 꼽았다. 그는 “현장의 느낌과 감정은 배우가 아니면 보여줄 수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