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인터뷰 - 저 멀리 ‘개토피아’를 찾아서! 언더독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먹고 살아야 하니까 이렇게 된 게 아니냐!”라고 항의를 했을 거예요. 원인을 제공한 건 인간이니까요. 개들도 자신의 생명을 지키고 행복을 추구할 권리가 있거든요. 이런 측면에서 동물의 권리를 영화에서 말하고 싶었어요. Q 영화에는 멋진 개부터 귀여운 개까지 다양해요. 견종을 선택할 때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디트리히 스타우트 교수는 직접 석기를 만들며 실험한 결과를 바탕으로, 인간의 뇌가 석기를 만들면서 발달했다고 주장했답니다. 1780년, 영국의 약사 윌리엄 배시는 배를 움직이는 기계를 만들고 특허를 신청했어요. 이 장치에는 3개의 날개가 달려있어, 물속에서 회전하면서 배를 앞으로 움직였죠. ... ...
- [TECH] 카메라는 눈높이에 스피커는 어디에?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로봇 설계자가 될 자질이 있는 것입니다. 로봇 몸통에 전자 부품들을 배치할 때 인간의 몸과 비슷하게 위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람들과 의사소통하려면 아무래도 사람과 비슷하게 보이는 것이 좋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같은 장비는 눈의 위치에 배치하는 게 좋겠지요. 스피커는 ... ...
- [과학뉴스] 태아 성별 결정하는 메커니즘 밝혔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흔히 인간의 성별은 XX염색체(여자)와 XY염색체(남자)의 성염색체에 의해 결정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호주 연구팀은 성별 결정이 단순히 성염색체의 종류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소위 ‘정크 DNA’로 여겨졌던 유전자 바깥의 증강인자(enhancer·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DNA ... ...
- [프리미엄 리포트] 내 모든 걸 다 줬는데, 날 미워하면 안 ‘돼지’ 인류를 구원한 돼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980일 동안 정상혈당을 유지했다.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은 2019년 1월 돼지의 췌도를 인간에게 이식하는 임상시험을 계획했지만, 현재 임상시험은 연기된 상태다. 국내에서 아직 이종 간 장기이식을 뒷받침할 법규가 갖춰지기 않았기 때문이다. 박 단장은 “WHO는 임상시험을 할 경우 이식받은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내 몸의 설계도 읽는 유전체 해독 기술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사실도 이때 처음 밝혀졌습니다. 하지만 당시 기술로는 약 30억 개의 염기쌍으로 이뤄진 인간의 유전체를 일일이 분석하기란 불가능했습니다. 가늠할 수 없이 막대한 비용과 많은 시간이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더욱 싼 가격에, 그리고 훨씬 빠른 속도로 유전체를 분석할 수 있는 ... ...
- [수학뉴스] 1월의 수학자 - 다비트 힐베르트 탄생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자신의 말을 수학으로 증명하려고까지 했지요. 그러나 불과 수십 년 뒤, 과학에는 인간의 힘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영원히 해결하지 못할 것이라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라틴어로 ‘우리는 모르고, 모를 것이다’라는 어구가 유행처럼 문화 전반에 걸쳐 퍼졌죠. 힐베르트는 본인의 은퇴 ... ...
- [과학뉴스] 지질학적으로 지금은 ‘치킨 시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일어났다고 밝혔다. 베넷 연구원은 “지구상에 가장 수가 많은 척추동물이자 동시에 인간에 의해 가장 많은 변화를 겪었다는 점에서 현대의 닭이 인류세의 상징이 될 만하다”고 주장했다.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학회 오픈 사이언스’ 2018년 12월 12일자에 실렸다.doi:10.1098/rsos.18032 ... ...
- [이달의 PICK] 한반도에서 자취 감춘 호랑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점은 1100만 년 동안 37종으로 빠르게 종분화가 이뤄졌다는 점이다(같은 기간 오랑우탄과 인간은 영장류 네다섯 종을 사이에 두고 분화했다). 또 고양잇과 동물은 서로 게놈 서열이 비슷하고 염색체 개수가 같아 교배도 가능하다. 국내 연구진이 호랑이 게놈 지도를 이용해 백호랑이, 사자, 설표범의 ... ...
- Part 1. 달 탐사 기술의 어제와 오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보내다바퀴에 큰 욕조를 얹은 듯한 로봇이 안테나를 세우고 있다. 1970년대 옛 소련은 인간을 보낸 미국과 달리 원격제어 로봇을 달에 보내는 전략을 택했다. 옛 소련은 1970년 11월 10일 루나 17호에 원격제어 로봇 ‘루노호트(lunokhod) 1호’를 실어 보냈다. 길이가 2m 가량인 루노호트 1호는 일주일 뒤 달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