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회색 도시를 빛으로 물들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400~7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인 가시광선은 빛 중에서도 일부 영역에 불과하지만, 인간은 이것만으로도 총천연색을 볼 수 있고 또 이를 통해 다채로운 감정을 느낀다. 프랑스 출신의 다니엘 뷔렌은 이런 풍부한 색을 줄무늬라는 가장 단순한 시각적 도구로 표현하는 현대 미술계의 거장이다. ... ...
- [탄생 150주년] 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주기율표 이야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자연 상태에서 발견되기 전 과학자들이 실험 중 인공적으로 합성했다. 특히 테크네튬은 인간이 최초로 합성에 성공한 원소다. 이름도 그리스어로 ‘인공’을 뜻하는 ‘테크네토스(technetos)’에서 따왔다. 테크네튬은 1936년 이탈리아 화학자 에밀리오 세그레와 카를로 페리에르가 사이클로트론 실험 ... ...
- Intro. 동물 축제, 이대로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되려면 동물 축제가 어떻게 변해야 할지 동물 대표단의 의견을 듣고, 그 의견을 모아 인간들에게 전달하려 합니다. Intro. 동물 축제, 이대로 괜찮을까?Part 1. 동물 축제, 무엇이 문제인가? Part 2. 놀이 대상이 아니에요!Part 3. 나가고 싶지 않아요! 먹지 말아 줘요!Part 4. 잡지 말고 관찰하세요!Part 5. ... ...
- Part 1. 에이즈 예방 VS 실패한 연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면역세포에 들어오지 못한답니다. 2018년 11월•허젠쿠이, 유튜브 영상 업로드•인간 유전자 편집 국제회의에서 연구 발표 2018년 12월•국제학술지 가 뽑은 ‘2018 과학계 화제의 인물 10인’에 선정•의 ‘2018 가장 실패한 기술 5’에 선정의 ‘2018 가장 실패한 기술 5’에 ... ...
- 공룡 멸종의 결정적 요인, 행성출동과 화산폭발의 '원투펀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기 때문이다. 폼페이를 비롯한 여러 사례에서 볼 수 있듯 화산은 인간의 삶에 큰 영향을 주고 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데칸 트랩에 대한 연구가 어느 때보다도 필요한 이유다. 이성진수각류 공룡을 연구하는 고생물학자다. 서울대에서 척추고생물학으로 석사학위를 ... ...
-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수학동아 l2019년 04호
- 할 수학 교과서의 진짜 거짓말은 아직 아무도 모르게 숨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지금 인간이 이해하는 수학도 200년 전의 유클리드 기하학처럼 절대 진리는 아닐 수도 있기 때문이죠. 정우성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는 자신의 칼럼에서 교과서의 거짓말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현재 우리가 알고 ... ...
- 정재승|재밌는 과학, 따뜻한 과학으로 대중의 마음을 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시작한 것이 계기가 돼 ‘과학콘서트’ ‘눈먼시계공’ ‘뇌과학자는 영화에서 인간을 본다’ ‘열두발자국’ 등 수많은 교양 과학책을 펴냈다. 특히 ‘과학콘서트’는 2001년 출간된 이래 85만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그리고 2년 전 ‘알쓸신잡’이라는 TV 프로그램에 출연하면서 그의 인기는 한 ... ...
- Part 3. 안전성에 태클을 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흠…. 과학적 원리와 역할만 보면, 크리스퍼는 크게 잘못이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일부 과학자들은 아직도 크리스퍼의 안전에 대해 염려하고 있 ... 행동입니다. 배아 발달의 분자생물학적 이해를 위한 연구는 할 수 있지만, 이러한 연구 또한 인간 배아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 ...
- 2019 과학계 파워피플 7인과학동아 l2019년 04호
- ● 전 국민을 수학과 사랑에 빠트리다김민형 (영국 옥스퍼드대 수학과 교수)● 인간이 풀지 못한 세포의 비밀, 프런티어 과학자가 밝힌다김빛내리 (서울대 생명과학부 석좌교수)● 국회의원이 된 과학자, 과학 현장의 목소리를 높이다 신용현 (바른미래당 의원)●급변하는 4차 산업혁명시대, ... ...
- 10대 '저녁형 인간'이 30대 '아침형 인간' 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사실을 확인했다. 청백색의 빛이 저녁형 인간의 아침잠을 깨워 생체리듬을 아침형 인간처럼 만드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제1저자인 최경아 연구교수는 “향후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앱)과 연계한 조명 조절시스템을 개발하면, 각자의 생활 패턴에 맞는 권장 수면 시간과 기상 시간을 유지하는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