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저장"(으)로 총 2,5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산소 방출 막았더니, 차세대 배터리 양극재 수명 개선동아사이언스 l2024.12.20
- 국제학술지 '에너지 & 환경과학'에 공개됐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전기자동차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등에서 핵심적인 부품이다. LLO는 상용화된 니켈 기반 배터리 양극재에서 니켈(Ni)과 코발트(Co) 함량을 줄이고 리튬(Li)과 망간(Mn) 함량을 높인 소재다. 기존 양극재보다 에너지 밀도가 20% 더 높고 ... ...
- 한수원, 2조8000억 규모 루마니아 원전 리모델링 참여동아사이언스 l2024.12.19
- 65개월간 설비 개선을 수행한다. 한수원은 주기기 교체 등 시공 총괄과 방사성 폐기물 저장시설 등 주요 인프라 시설 건설을 담당한다. 총 2조8000억원 중 한수원의 계약 규모는 약 1조2000억원이다. 한수원 협력업체로 한전KPS, 두산에너빌리티, 현대건설, 삼성물산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황주호 한수원 ... ...
- 햇빛으로 자가 충전하는 국내 첫 고성능 에너지 저장 장치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12.19
- (왼쪽부터) 김정민 DGIST 나노기술연구부 선임연구원, 이다민 경북대 RLRC 연구원. DG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태양광으로 스스로 충전하는 에 ... 강화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지속적으로 이어가겠다”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에너지 저장 및 변환 기술 분야 국제학술지 '에너지'에 12월 게재됐다 ... ...
- 탄소 포집·활용·저장 특수분류체계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12.18
- 구성했다. 산업부와 과기정통부는 “이번 특수분류체계를 통해 이산화탄소 저장·활용법의 적용 대상과 범위를 명확히 규정할 수 있게 됐다"면서 "CCUS 산업의 체계적 육성은 물론, 향후 정부지원의 객관성 확보와 기본계획 등 정책수립에 중요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 서울대, 손바닥 저장 전략 구현한 로봇손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12.16
- 공정에 투입하는 작업을 가리킨다. 조 교수는 연구성과에 대해 "여러 물체를 손바닥에 저장해 하나씩 옮기는 사람의 동작을 로봇에 최초로 적용한 사례"라며 "자연의 핵심 원리를 로봇에 맞게 재구성하는 것이 로봇공학자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는 조 교수 외에도 1저자로 엄재민 ... ...
- 맞춤형 교육의 새 시대?…AI 디지털교과서 명과 암 과학동아 l2024.12.07
- 것이었다. 새로운 정보가 뇌에 들어올 때 이를 단기 기억과 장기 기억으로 분류하고 저장하는 데는 일정한 시간이 필요하다. 특히 단기 기억은 기억이 형성되고 공고화되는 단계를 거쳐야 한다. 공고화 과정은 뇌 안의 여러 부위에서 정보를 복합적으로 처리하며 이뤄지는데 새로운 정보가 ... ...
- 사용후핵연료 처분 안전성 보여주는 '자연유사연구관' 개관동아사이언스 l2024.12.05
- 시작으로 관람 신청자에게 상시 공개될 예정이다. 조동건 원자력연 사용후핵연료저장처분기술개발단장은 “자연유사연구관은 향후 도입될 사용후핵연료 심층처분시설의 안전성을 국민께 알리는 핵심 시설이 될 것”이라며 “사용후핵연료의 안전한 처분과 국민 안심을 위해 계속 ... ...
- 2차원 소재와 강유전체 접합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세계 최초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12.04
- 원자층의 구조를 가졌다. 나노 단위의 두께로도 고유의 물성을 가져 반도체나 에너지 저장 장치 등에 주로 활용된다. 강유전체는 외부 전기장 없이도 스스로 분극을 가지는 재료다. 전원이 꺼져도 정보가 유지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적용될 수 있다. HZO는 강유전체 특성을 지닌 대표적인 재료다. ... ...
- 컴퓨터 시뮬레이션만으로 나노소재 구조 스펙트럼 도출동아사이언스 l2024.12.04
- 형상분석과 같은 정밀한 구조 이미지를 얻었다. 김 연구원은 “반도체, 에너지 저장소자, 마이크로 LED 등 나노 단위의 소재 및 디바이스 성능을 높이려면 소재의 정밀한 구조분석이 중요하다”고 설명하며 “확보한 기술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해 분광분석만으로 소재의 구조를 이미지화하는 ... ...
- '고농도 상태' 작용 전해질 기반으로 암모니아 생성동아사이언스 l2024.12.02
- 기반으로 그린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암모니아는 최근 수소 에너지를 저장 및 운송하는 매개체로 탄소 배출을 줄일 고부가가치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포스텍은 용기중 화학공학과 교수, 윤혜주·임채은 통합과정생 연구팀은 윤용주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팀, 서동화 KAIST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