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자"(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IMO 출신, 대학원생은 어떤 미래를 그리고 있을까?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무사히 박사학위를 받는 것입니다. 그 후에는 뚜렷한 가치관을 가지고 넓은 시야를 가진 연구자가 되면 어떨까 생각합니다. 그런데 학창시절 혼자 문제 풀던 습관이 남아 있어서 다른 사람에게 질문을 하고 토론하며 문제를 푸는 것이 아직 어색해요. 앞으론 더 적극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 ...
- Part2. 외계행성의 숨결을 맡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2023년 2월 23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의 표지에는 외계행성으로 향하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모습이 실렸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관측 자료로 외계행성 WASP-39b를 ... 지구를 닮은 외계행성이 많이 없습니다. 지구와 비슷한 외계행성을 찾는 것은 모든 연구자들의 목표일 겁니다 ... ...
- [최신 이슈] 신약 개발에 불어온 새 바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백신을 개발할 때 좋은 참고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남 교수는 “팬데믹 이후로 이 분야 연구자가 많이 생기면서 연구가 활발해졌다”면서 “한국도 곧 경쟁력을 갖출 것”이라고 내다봤다.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위기는 mRNA 백신 기술의 발전을 앞당겼다. 그렇게 성장한 기술이 다시 사회가 품고 ... ...
- Part1. 별 탄생의 순간을 엿보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시작하는 이 교수의 감회를 물었다. “2000년대 초반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을 때, 그곳 연구자들로부터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프로젝트에 관한 이야기를 처음 들었습니다. 그때는 ‘쟤네 SF소설 쓰나?’ 하고 생각했는데, 20년이 지난 지금 현실이 돼 제가 그 망원경으로 연구를 하게 됐군요. 기대가 ... ...
- [통합과학 교과서] 손끝으로 읽는 점자책을 만들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알림 진동이나 게임 속에서 적의 공격을 받으면 흔들리는 컨트롤러 등이 그 예죠. 연구자들은 가상현실에서 다양한 촉감을 느끼기 위한 햅틱 장치를 개발하고 있어요. 하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햅틱 장치들은 부피가 크고 전선이 많아 사용하기 불편했어요. 지난해 12월, 홍콩시립대학교 연구팀은 ... ...
- [기획] 86, 230, 345. 메달이 한국에 온이유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동시 수신 체계에 큰 관심이 없었다”고 말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한국 연구자들과 교류가 많아지고, EAVN의 관측 성과가 EHT 공식 논문으로 발표되며 점차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특히 ngEHT 프로젝트가 시작된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다주파수 동시 관측 방식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그리고 ... ...
- [과동키즈] 과학자, 작가, 예술가의 공통점은 ? 가치관에 대한 끝없는 고민이죠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항상 감사한 마음을 갖고 있습니다. 자신만의 방향으로 나아갈 미래의 과학자들에게 연구자가 아닌 제 개인적인 목표는 ‘남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하며 살기’입니다. 이 목표를 지키려면 항상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합니다. 특히 SNS가 활발한 ... ...
- (광고) 과학으로 우리의 삶을 바꾼 사람들 '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유공자 지원사업을 통해 그들의 업적을 기리고,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자들이 자긍심을 갖고 연구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답니다.-이호왕 교수 (1928~2022) 고려대학교 명예교수1976년, 당시 유행성 출열혈을 일으키는 ‘한탄바이러스’를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 병원체를 ... ...
- [과학사 극장] 오펜하이머가 원자폭탄을 만들었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한국 사회에서 필요한 과학자가 바로 이런 사람이 아닐까? 최형섭 과학기술사 연구자로 미국 존스홉킨스대에서 과학기술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과기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오펜하이머 평전인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를 번역했으며 저서로는 ‘그것의 존재를 알아차리는 ... ...
- [과학뉴스] 금성 대기 미스터리 풀 국제 연구 한국이 주도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러시아 팀도 참여할 예정이다.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이연주 행성대기 그룹 수석연구자(CI)는 “유럽우주국의 ‘인비전’, 미국항공우주국의 ‘베리타스’ 등 새로운 금성 탐사선 발사 계획이 발표되고 있지만, 단일 임무로는 금성 대기를 넓은 파장대에서 한 번에 관측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며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