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자"(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DAY2. 아인슈타인의 흔적을 찾아 고등연구소로!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선뜻 살지 않는다고 해요. 연구자의 낙원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고등연구소는 ‘연구자의 낙원’이라고 불리는데요. 수업을 해야 하는 의무도 없고 행정적인 업무도 거의 없어서예요. 학위를 수여하는 교육기관이 아니라 연구만을 목적으로 설립됐기 때문이지요. 덕분에 오로지 연구에만 집중할 ... ...
- [빅잼] 이그노벨상을 타면 노벨상도 받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공동 수상했다. 동시에, 가임 교수는 최초로 이그노벨상과 노벨상을 동시에 수상한 연구자라는 영예를 안았다.과학이 항상 진지해야 할까 어떤 연구가 중요하고, 사회에 기여할 수 있을까? 이 질문은 한정된 연구비를 어떤 연구에 지원할지 선택해야 하는 과학정책가가 항상 맞닥뜨리는 고민이다. ... ...
- [지구사랑탐사대] 우리 함께 지켜요! 지구사랑탐사대 제11기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모았어요. 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임주원 대원은 동물 사육사, 박범현 대원은 민물고기 연구자라는 꿈도 생겼지요. 장이권 교수는 발대식에서 탐사대원의 역할은 생물을 단순히 보는 게 아니라고 설명했어요. “탐사대원들이 하는 시민과학은 자세히 관찰하고, 살피며 그 생물의 생태를 알 수 ... ...
- 천재가 행복하려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하고 있지만, 대부분 멋진 문제를 발견하고 잘 풀 것 같은 사람에게 넘겨줍니다. 다른 연구자가 문제를 풀 때 도울 방법을 제안하지요. 이번에도 서울대학교에서 류경석 교수와 만나 이야기하던 중, 그가 제게 질문을 하나 했습니다. 마침 시차 때문에 밤에 잠을 못 자고 있어서 그 문제에 대해 ... ...
- [특집] 2030년에 10만 개 쏟아진다? 배터리 재활용 풀어야 할 숙제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된 이유를 묻자, 이같이 대답했습니다. 같은 질문에 90년대부터 이차전지를 연구한 1세대 연구자이자 국가 단위 배터리 정책과 방향을 잡아 온 박철완 서정대 스마트자동차학과 교수 역시 “차세대 이차전지 연구가 이뤄지고 리튬이온 배터리 재활용이 언급되기 시작한 것은 결국 자원의 편재 ... ...
- [최신이슈] 지구 밖 ‘보물섬’을 향한 여정...프시케 미션 시작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제4차 우주개발진흥계획에 소행성 연구는 아예 포함조차 되지 못했다. 국내 소행성 연구자도 한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 2023년 3월, NASA는 소행성 ‘베누’에서 채취한 소행성 샘플이 9월 24일 지구로 도착한다는 반가운 소식을 전했다. NASA는 “베누에서 얻은 샘플이 45억 년 전 태양계가 형성된 ... ...
- [커리어] 세계에서 가장 센 레이저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있는 실험실도 이곳(레이저과학 연구단)밖에 없기에 해외에서도 이 실험을 해보기 위해 연구자들이 많이 찾아온다”고 설명했다. 세상에 없던 레이저이기 때문에 할 수 있는 일 가장 강력한 레이저를 가지고, 그간 실험할 수 없었던 물리현상을 연구하는 일. 남 연구단장은 이를 “새로운 과학을 ... ...
- IMO 출신, 대학원생은 어떤 미래를 그리고 있을까?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무사히 박사학위를 받는 것입니다. 그 후에는 뚜렷한 가치관을 가지고 넓은 시야를 가진 연구자가 되면 어떨까 생각합니다. 그런데 학창시절 혼자 문제 풀던 습관이 남아 있어서 다른 사람에게 질문을 하고 토론하며 문제를 푸는 것이 아직 어색해요. 앞으론 더 적극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 ...
- [최신 이슈] LK-99 논란으로 다시 본 상온 초전도체 미스터리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이론은 매우 많다. 과학자들 사이에선 고온 초전도체 이론이 연구자 수만큼 많다는 농담이 나올 정도다. 방 교수는 “쿠퍼쌍이 생기면 초전도체가 된다는 사실은 자명하지만, 쿠퍼쌍이 높은 온도에서 어떻게 생기는지 그 과정의 비밀을 풀진 못했다”고 말했다. 방 교수에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암 후성유전학으로 희귀 뇌종양 치료를 꿈꾸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아무리 좋아도 막을 통과 못하면 암을 치료할 수 없다”며 “뇌혈관 장벽을 연구하는 연구자와 협업을, 임상 연구를 위해 병원과의 협업을, 신진대사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를 갖고 있는 기관과 공동 연구를 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2월에는 성균관대 삼성창원병원과도 협약을 맺었다. 정 교수는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