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뉴스
"
저장
"(으)로 총 2,674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유전자가위’ 창시자 다우드나 교수 “2∼3년 내 크리스퍼로 감염병 진단할 수 있게 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다시 소개한다. “2∼3년 안에 크리스퍼를 이용해 감염병을 진단하거나 DNA에 정보를
저장
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유전공학 효모를 통해 신약도 생산할 수 있을 겁니다.” 크리스퍼는 원하는 DNA를 자유자재로 끊어 유전자를 교정할 수 있는 차세대 ‘유전자가위’다. 크리스퍼를 최초로 개발한 ... ...
항공종사자 방사선 안전 나몰라라…1년간 엉터리 정보 제공하고도 까맣게 모른 부처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6
통보했으며 현재 NASA와 접촉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SAFE 시스템의 CARI-6 관련
저장
장치 오류도 원인”이라며 “올해 9월 이를 인지해 그 달 21일 복구 완료했으며 누락 자료는 신속히 업데이트 하겠다”고 덧붙였다. 항공 승무원의 우주 방사선에 대한 피폭 안전 조치 및 관리를 총괄하는 부처인 ... ...
ESS 화재 오명 극복할 배터리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공급하면 전극 표면에서 전해액 내의 화물질이 산화·환원 반응을 일으키며 에너지를
저장
하는 전지다. 레독스 흐름 전지 중 값싼 브롬화 아연을 활물질로 이용하는 아연-브롬 레독스 흐름 전지는 다른 수계 레독스 흐름 전지에 비해 구동 전압과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어 1970년대부터 ... ...
뇌가 낯선 공간을 기억하는 원리 밝혀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9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11일자에 소개됐다. 해마는 주변 환경과 자신의 위치정보를
저장
하며 새로운 사실을 학습하고 기억하는 뇌의 영역 중 하나다. 이런 이유로 알츠하이머병에 걸리면 가장 먼저 손상된다. 해마에서 위치를 인지하는 ‘장소 세포’가 발견된 이후 뇌가 공간을 탐색하는 방법에 ... ...
도시 발 아래에 '땅 속 탄소
저장
고'가 있다...새롭게 주목 받는 지하 탄소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재확산 지하에
저장
된 탄소 가운데 가장 큰 문제는 북극권 지하다. 강력한 지하 탄소
저장
고였던 북극권 역시 인류 활동으로 몸살을 겪고 있다. 국제 대기오염감시기구인 코페르니쿠스에 따르면 올해 북극권에서 1~8월 배출된 이산화탄소의 양은 2억4400만t이다. 이집트나 말레이시아 등 국가가 한 해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실험생물학의 새로운 도덕경제
2020.09.23
연구활동였고, 이처럼 보상이 필요한 연구결과가 아무런 댓가도 없이 유전자은행에
저장
된다는건 용납할 수 없는 일이었다. 특히 데이호프처럼 출판전 염기서열의 정보까지 공유하라는 압박은 실험생물학자들의 연구에 동기부여가 되는 출판의 선취권과 저자로서의 권뤼를 침해하는 것으로 ... ...
테슬라 배터리 데이 '전고체 배터리'는 없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3
전환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다만 아직까지 전고체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저장
용량과 출력 등에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지난해 리튬이온 배터리 개발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스탠리 휘팅엄 미국 뉴욕주립대 교수는 "고체 배터리가 기존 배터리보다 제조 비용이 비쌀 수 ... ...
일론 머스크 “3년 내 2만5000달러짜리 테슬라 전기차 내놓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9.23
00만원)의 전기차를 내놓겠다고 밝혔다. 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 비용을 낮추고 에너지
저장
용량을 늘리는 기술을 통해서다. 22일(현지시간) 뉴욕타임즈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테슬라의 캘리포니아 공장에서 열린 ‘테슬라 배터리 데이’에서 일론 머스크 CEO는 “더 저렴하고 강력한 전기차용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으로 살빼는 시대 오나
2020.09.22
열생성을 촉진할까. 저온 같은 환경에 놓여 열생성 신호가 발생하면 백색지방세포는
저장
하고 있는 지방을 지방산과 글리세린으로 분해해 혈액에 실어 보낸다. 갈색지방세포는 이 지방산을 흡수해 태워 열을 생성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파란빛이 옵신3을 자극하면 백색지방세포의 ... ...
[조정식 의원]5년간 방사능 오염 고철 6t 발생 1.3t 계속 방치
동아사이언스
l
2020.09.21
오래 걸려 원안위가 조사 결과를 확정 짓지 못해 여전히 포항제철소 방사성동위원소
저장
실에 보관 중이다. 조 의원은 “2018년 라돈 침대, 올해 일본산 화장품에서 검출된 방사성 물질 등에 비해 방사능 오염 고철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부족했다”며 “인천, 포항, 창원 등 전국 곳곳에 방치된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