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뉴스
"
저장
"(으)로 총 2,67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인간은 특별하지 않다
2020.10.15
하다. 그러다 90년대 초반 인터넷이 보급되고 이를 이용해 예비논문(preprint)을 별도의
저장
소(arxiv.org)에 보관하고 유통하면서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 (처음에는 미 로스앨러모스 연구소에서 관리하다가 지금은 코넬 대학교에서 운영 중이다.) 학자들이 이제는 논문을 쓰면 학술지로 보내는 대신 ... ...
영화 아바타 속 '신비의 자원' 상온 초전도 사상 첫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손실 없이 전송하는 전력망이나 자기부상열차, 더 빠르고 효율 좋은 디지털 전자기기가
저장
기술이 개발될 것”이라며 “현재의 반도체 세상에서 배터리 등이 필요없어지는 초전도 세상으로 들어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은 아직 상온 초전도 분야를 본격적으로 연구하는 연구자가 없다. ... ...
[CAETS 2020]"재난 상황에서도 끊기지 않는 전기 '마이크로그리드'로 달성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0.10.13
액체의 화학 반응을 이용해 전력을
저장
하는 흐름배터리 등을 연결해 전기 생산과
저장
등을 통합했다. 중앙 제어실에서는 건물의 전력 부하와 태양광 생산량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전력을 관리한다. 남과 북의 마이크로그리드는 각각 독립적으로 운영되지만 일부 연결망이 존재해 한쪽에 ... ...
[코로나19 연구속보] 당신의 반려동물도 코로나19 감염에 취약하다
2020.10.13
위험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동물들은 코로나19 발병 위험이 있으며, 이 동물은 바이러스
저장
소 역할을 하며 추후에 인간을 재감염시킬 잠재성이 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또 동물 종간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얼마나 다른지 이해하기 위해 특정 종을 대상으로 보다 자세한 구조생물학적 분석을 ... ...
[과기장관회의]2030년 AI 반도체 시장점유율 20% 혁신기업 20개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0.10.12
개발한다는 전략이다. 또 세계 1위의 메모리 반도체 개발 및 생산 역량을 활용해
저장
과 연산을 통합한 ‘지능형메모리반도체(PIM·프로세싱인메모리)’ 기술을 선점한다. 초기 수요와 연계한 기술사업화 장벽 해소 전략도 가동한다. 국가 AI·데이터 인프라 구축시 AI반도체를 선제적으로 ... ...
[프리미엄 리포트] 비대면 시대 세상을 연결하는 클라우드
과학동아
l
2020.10.10
Station)’을 세상에 내놨다. 그라운드 스테이션은 다량의 인공위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
한 뒤, 기계학습을 통해 분석하는 서비스다. AWS는 현재 6곳에 지상국을 설치했고, 추가로 6개를 더 설치할 계획이다. 한편 MS도 자체 클라우드 서비스인 ‘애저(Azure)’를 이용해 인공위성 데이터를 곧바로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크리스퍼 혁명'은 지금도 진행중
2020.10.08
기억한다. 이렇게 외부 바이러스 등의 정보를
저장
한 부분이 크리스퍼(CRISPR)다. 이렇게
저장
된 정보는 세균의 유전체 안에 존재하므로 세균이 증식을 해도 증식된 세균에 그대로 복제돼 기억된다. 이렇게 크리스퍼를 가지고 있는 세균은 크리스퍼 RNA를 발현하고 캐스나인(Cas9)이라는 단백질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초파리, 다이너마이트 그리고 해커
2020.10.08
전산생물학은 빠르게 발전해나가기 시작했다. 월터 고드는 데이터베이스가 단순한
저장
소를 넘어 새로운 지식을 만드는 도구여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연구자들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해서 염기서열을 비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했다. 현재 유전자은행에는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화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7
침입하면
저장
해 둔 서열을 이용해 이 DNA를 제거하는 것이다. 크리스퍼는 바로 이렇게
저장
한 침입자 DNA의 서열을 말한다. 다우드나 교수는 박테리아의 자기 보호 시스템이 RNA 간섭과 비슷하다고 생각했다. ●다우드나 교수, 복잡한 기전을 밝히다 박테리아가 고대의 면역체계를 가졌다면 ... ...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샤르팡티에 교수 “크리스퍼 개발했을 때 가장 먼저 난치병 환자 치료 떠올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뒤 다시 체내에 투여했다. 그 결과 환자의 체내에서 HIV의 번식과 HIV가 잠적해 있는
저장
소가 모두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학계에서는 이미 크리스퍼로 에이즈를 완치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크리스퍼를 활용해 에이즈 치료제를 개발 중인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장은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