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습관 좌우하는 중간뉴런 첫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건 한 종류의 세포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니콜 카라코스 미국 듀크대 신경 생물학과 교수팀은 기억과 학습에 관여하는 뇌의 선조체 부위에서 습관 형성의 지휘자 역할을 하는 뉴런을 찾아냈다. 연구팀은 레버를 누르면 설탕을 제공해, 쥐가 습관적으로 레버를 누르게 한 뒤 뇌를 ... ...
- [Career] “이런 대학 또 없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큰 도움을 받았다”고 말했다. DGIST 학부생은 동서양철학, 예술사, 비교역사학 등 인문학과, 악기와 태권도 등 예체능 과목도 수강하면서 융·복합 인재로 거듭나고 있다. 최 씨는 “회사대표가 자신만의 철학을 갖고 있어야 변호사와 투자자, 팀원 등 여러 사람의 의견을 제대로 조율할 수 있다”며 ... ...
- 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만든 부직포를 추가로 쓰는 제품도 있다. 고성혁 연세대 패키징학과 교수는 “폴리에틸렌 필름은 식품포장용 플라스틱 가운데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할 만큼 독성이 없고 안정적”이라고 말했다. 공정과정에서 원료 아닌 화학물질 포함 가능성도 일회용 생리대의 층별 소재 ... ...
- [Origin] 국제이론물리센터과학동아 l2017년 10호
- 10월은 노벨상 시즌입니다. 그래서 이번 호에서는 파키스탄인 최초로 노벨상을 수상한 이론물리학자 모하마드 압두스 살람 박사가 설립한 ‘국제이론물리센터(ICTP·International Centre for Theoretical Physics)’를 소개하려고 합니다.ICTP는 이탈리아의 동북쪽 국경 트리에스테(Trieste) 시에 있습니다. 트리에 ... ...
- [수학뉴스] 생물다양성 위해 내부 경쟁은 필수?!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약한 종도 힘이 센 종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지요. 최근 장봉수 울산과학기술원(UNIST) 수리학과 교수팀이 이런 생태계 현상을 잘 설명하는 수학 방정식을 만들었어요. 교수팀은 생태계에서 가위, 바위, 보처럼 서로 물고 물리는 세 집단에 외부 경쟁과 함께 내부 경쟁이 발생한다고 가정했어요 ... ...
- Part 2. 오빠에게서 방을 사수하라!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이번엔 어제 얘기예요. 가족이 이사를 하면서 오빠와 제 방을 정해야 했죠. 그런데 오빠가 큰 방과 작은 방을 보더니 당연하다는 듯 큰 방에 들어가서 눌러앉는 거예요. 1년 먼저 태어난 게 벼슬인가. 용돈도 많이 받으면서 큰 방까지 가지려 하다니! 저도 오빠에게 무조건 작은 방에 가라고 하는 게 ... ...
- [과학뉴스] 철새의 장거리 비행은 바다 냄새 덕분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땅에서보다 바다 위를 날 때 어려워했다. 연구를 이끈 올리버 패드젯 옥스퍼드대 동물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은 “철새들이 바다에서 나는 냄새를 따라 방향을 찾는다”고 결론 내렸다. doi:10.1038/s41598-017-09738- ... ...
- Part 1. 그 男자의 ‘개기름’ 그 女자의 콜라겐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연구 결과들이 있다”고 덧붙였다. 린다 시라큐사 미국 토머스제퍼슨대 미생물학및면역학과 교수팀은 성호르몬 수용체가 피부의 콜라겐 함량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피부과학연구저널’ 2004년 12월호에 발표한 바 있다. 연구팀은 남성호르몬 수용체 유전자에 변이를 일으킨 ... ...
- Part 2. “소변에서 일부 화학물질 농도 2~3배 증가”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사용하기 전후 소변 성분 분석을 진행했다. 소변 검사는 고영림 을지대 보건환경안전학과 교수팀(김성민 석사과정 연구원)이, 결과 해석은 최경호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와 김선미 서울대 보건환경연구소 연수연구원이 맡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여성용품 안전성 긴급 ...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지구의 미래를 묻는 질문에 데이비드 크리스천 호주 맥쿼리대 근현대사 정치국제관계학과 교수가 이렇게 말했다. 그는 1980년대 후반 빅 히스토리 개념을 처음 만든 창시자다. 빅 히스토리는 138억 년 전 우주의 탄생부터 인류 문명의 발전까지를 종합적으로 살피는 거대한 이야기다. 물리학, 화학,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